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뉴스] KAIST, 뇌 구조 정확히 볼 수 있는 3차원 분석기술 개발

특이점 만세!(121.177) 2020.06.08 13:46:50
조회 687 추천 33 댓글 7
														

백세범 교수 연구팀, KAIST내 실험실 및 해외 유수 대학 연구팀서도 활용(지디넷코리아=방은주 기자)KAIST(총장 신성철)는 바이오 및 뇌공학과 백세범 교수 연구팀이 뇌신경과학 연구에서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실험용 쥐의 뇌 절편 영상을 자동으로 보정하고 규격화, 신경세포의 3차원 분포정보를 정확하게 얻을 수 있는 핵심 분석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이 기술은 실험자 경험에 의존하던 기존 분석 방식 문제점을 해결하는 한편 여러 개체에서 얻은 뇌 이미지를 표준적인 3차원 지도상에서 비교, 분석할 수 있다. 기존 개체별 분석은 관측하기 힘든 뇌세포 간 상호 연결 형태의 정확한 공간적 분포를 발견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KAIST는 설명했다.

연구팀은 생명과학과 이승희 교수팀과 협력 연구를 통해 실험에서 얻어진 쥐의 뇌 절편 데이터를 분석했는데, 이 기술을 적용한 결과 시각시스템의 초기 구조인 외측 슬상핵(Lateral geniculate nucleus)과 시각피질 (Visual cortex) 사이의 정확한 연결 구조 분포를 측정했다.

기존 분석 방식은 불가능한 다중 개체에서 얻은 데이터 표준화로 뇌 전역에 걸친 신경세포 연결성을 분석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백세범 KAIST 교수

뇌인지공학프로그램 최우철 박사과정과 송준호 연구원이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셀(cell)의 온라인 자매지 셀 리포츠(Cell Reports) 5월 26일 자에 게재됐다.(논문명: Precise mapping of single neurons by calibrated 3-D reconstruction of brain slices reveals topographic projection in mouse visual cortex).

앞서 연구팀은 이 기술을 활용해 UC 버클리대학 양단(Yang Dan) 교수와 공동연구에도 참여했고, 그 결과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Science) 1월 24일 자에 발표했다. (논문명: A Common Hub for Sleep and Motor Control in the Substantia Nigra).

통상 쥐의 뇌 절편 영상을 이용한 연구에서는 특정 단백질에 형광물질을 발현시킨 뇌를 잘라 신경세포의 분포 등을 분석하는 방법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이때 형광을 발현하는 신경세포를 현미경을 통해 연구자 육안으로 관측하고, 얼마나 많은 신경세포가 뇌의 어느 특정 영역에 위치하는지 일일이 수동적으로 분석한다. 이런 방법은 연구자 경험에 크게 의존해 오차가 클 수밖에 없고, 각각 개체에서 관측한 신경세포 위치나 수량을 표준적 공통 방법으로 동시에 분석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백 교수 연구팀은 미국 Allen Brain Atlas 프로젝트에서 제공한 쥐 두뇌의 3차원 표준 데이터에 기반, 임의 각도에서 잘라낸 뇌 절편 이미지들을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 Points) 특징점과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 descriptor) 형상 기술자를 이용해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는 계산적인 분석 방법을 사용했다.

그 결과, 실험에서 얻은 뇌 이미지와 가장 잘 일치하는 데이터베이스 3차원 위치를 100마이크로미터(μm), 1도 이내 오차로 찾아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각 2차원 뇌 이미지 위치 정보를 3차원 공간상 위치로 정확히 계산하고, 여러 개체에서 얻어진 신경 세포 위치를 동일한 3차원 공간에 투영해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왼쪽부터 송준호 연구원, 백세범 교수, 최우철 박사과정

이 기술을 활용하면 다양한 기법으로 생성한 뇌 슬라이스 이미지를 이용해 신경세포 3차원 위치를 뇌 전체에서 자동적으로 계산할 수 있어, 기존 방법으로 분석하기 어려운 수천~수만 개 신경세포들의 정확한 뇌 내 분포 위치 및 상대적 공간 배열을 한번에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또 신경세포들의 연결성을 표준적으로 보정된 3차원 공간에서 표현할 수 있어 특정 뇌 영역 간의 연결은 물론 뇌 전역의 네트워크 분포를 여러 개체의 데이터를 사용해 동시분석도 가능하다. 따라서 기존 방식의 동물실험 분석에서 요구되던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올 6월 현재 백 교수 연구팀의 이 기술은 KAIST내 여러 실험실과 미국 MIT, 하버드(Harvard), 칼텍(Caltech), UC 샌디에고(San Diego) 등 세계 유수 대학의 연구 그룹에서 진행하는 뇌 신경 세포의 네트워크 분석에 활용되고 있다.

백세범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은 형광 뇌 이미지를 이용하는 모든 연구에 바로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밖에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 데이터에도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하다?면서 "향후 쥐의 뇌 슬라이스를 이용하는 다양한 분석에 표준적인 기법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및 원천기술개발사업, KAIST의 모험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92&aid=0002190559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33

고정닉 6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3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412470 공지 레이 커즈와일 신간 6월 25일 발매 [29] 모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1.24 7827 32
242613 공지 특갤 통합 공지 / 댓글 신고,문의 / 차단 해제 요청 [3093] 특갤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6 39185 43
433260 공지 웬만하면 신문고에 문의 해주시면 차단 풀어드립니다 [1] 부패하는유전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6 2518 2
363220 공지 선형글 삭제 기준 [7] 특갤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14 7207 24
375493 공지 필독) 유입 특붕이를 위한 AI 정보글 모음 (01/23) [40] ㅇㅇ(182.230) 23.11.11 13299 122
373402 공지 직업 비하, 조롱 글 30일 차단됩니다. [51] 특갤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7 8914 79
385147 공지 구글의 AGI 분류 체계 [1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2 8340 31
332612 공지 음모론 삭제 기준을 안내드립니다. [23] 특갤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5 9125 30
259237 공지 특갤 용어 모음집 [6] 특갤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9 22704 33
484320 일반 뭐가 더 코딩 잘함? 무메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24 5 0
484319 일반 지금 gpt5 공개한다>>>이건 희망사항 아님? Ggg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23 5 0
484318 일반 alt-맨 간지나는점 그냥 트윗에 챗 gta 딸각하고 올렷는데 [1] ㅇㅇ(122.36) 15:21 25 0
484317 일반 코타나<<이거만 봐도 마소는 감 다 뒤졌음 ㅇㅇ(211.187) 15:20 22 0
484316 일반 애플이랑 계약이 엄청 큰거였네 그럼 [4] ㅇㅇ(121.131) 15:20 36 0
484315 일반 alt-맨은 존윅이에여 ㅇㅅㅇ [2] ㅇㅇ(122.36) 15:16 28 0
484314 일반 트럼프가 대통령돼면 오픈아이 화웨이에 팔고 석유산업 [3] ㅇㅇ(223.175) 15:13 50 0
484313 일반 WWDC에서 티징만 해도 파급력이 어느정도인데 암것도 안 할리가 [4] ㅇㅇ(211.187) 15:11 66 0
484312 일반 wwdc에서 알트만이 gpt5 77일후 출시한다하면 어케됨? [5] ㅇㅇ(121.131) 15:11 69 0
484311 일반 헬렌토너를 오픈아이 ceo로 올려야함 ㅇㅇ(223.175) 15:10 19 0
484310 일반 3월에 이미 레드팀 가동이라고 애들아 6월 출시 가능할 수도 있어 [1] 이런내가특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8 76 0
484309 일반 근데 내가 알트만이어도 WWDC 나올 수 있으면 무조건 가지 [3] ㅇㅇ(211.187) 15:05 59 0
484308 일반 혹시 헬렌토너 복귀할 가능성 없냐 [10] ㅇㅇ(223.175) 15:05 60 0
484307 일반 6월6일gpt5보이스 출시한다 [6] 야상섹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3 131 0
484306 일반 솔직히 마소보다 애플에 기대 걸 수밖에 없는게 ㅇㅇ(211.187) 15:03 29 0
484305 일반 진짜 GPT-4o 출시랑 애플WWDC가 절묘하게 들어맞노 [5] ㅇㅇ(211.187) 15:01 81 0
484304 일반 WWDC에서 GPT-5 공개할 수도 있음 [8] 이런내가특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1 126 0
484303 일반 나 알트만 증오해서 그런지 헬렌토너가 선녀로 보임 ㅇㅇ(223.175) 14:57 30 0
484302 일반 GPT-5는 6월에 출시될 가능성이 높으며 레드팀 테스트 초대장이 발송 [3] 이런내가특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56 151 2
484301 일반 헬렌토너가 옳았다.. [1] ㅇㅇ(223.175) 14:55 48 0
484300 일반 지금 구글 ai studio 렉 안 걸리네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51 43 0
484299 일반 오픈AI, 올해 중반 'GPT-5' 출시 유력...일부 기업에 데모 전달 [2] 이런내가특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49 193 0
484298 일반 트만햄 어디까지 보는거냐 ㅇㅇ(112.186) 14:48 49 0
484297 일반 WWDC 나올 거 같긴함 알트만 [3] 이런내가특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43 106 0
484296 일반 4o공개하고 1달뒤에 5공개하면 4o 왜 출시함? [5] xdxd33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9 178 0
484295 일반 애플 탑재를 위해 털드만 1년전부터 준비 ㄷㄷㄷ [1] 누붕이(182.209) 14:39 84 0
484293 일반 6월6일에 GPT5 공개하면 웃기겠네 [4] 이런내가특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4 226 0
484292 일반 근데 난 oai가 agi만들거같음 [12] ㅇㅇ(121.131) 14:29 165 0
484291 일반 구독자 기만이 전유물적 사고? ㅋㅋㅋ [42] 분탕치러온거아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21 257 0
484290 일반 시발 구독자 기만이 맞지 이게 아니야 ㅋ? [9] ㅇㅇ(14.37) 14:19 180 0
484289 일반 6월에 큰거 옴? 개혁신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8 55 0
484288 일반 곧큰거오긴할거같노 [1] ㅇㅇ(14.53) 14:15 172 0
484287 일반 AI 수준에 관한 유튜버 지웅배의 의견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4 191 0
484285 일반 와 진짜 잘생겼다 [1] ㅇㅇ(121.172) 14:12 161 0
484284 일반 일리야가 왜 정렬하다가 탈모빔왔는지 알겠네 ㅇㅇ(124.49) 14:11 57 0
484282 일반 알트만도 머스크처럼 정자기증 해야되는거 아님? [7] 선샌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9 124 1
484281 일반 근데 보수적인건 제미니가 제일 심함 ㅇㅇ(175.200) 14:08 55 0
484280 일반 세상엔 의식이 있는 사람과 NPC가 따로 있는게 아닐까 [3] ㅇㅇ(121.155) 14:08 107 1
484278 일반 구독자 기만? 그게 전유물론적 사고야 ㅋㅋㅋ [4] ㅇㅇ(125.129) 14:01 135 4
484277 일반 Gpt-5 출시까지 D-88 [3] ㅇㅇ(121.131) 13:52 157 0
484276 일반 클로드는 가끔 도덕적으로 가르칠려 들때가 있네 [10] ㅇㅇ(14.50) 13:50 14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