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최근 방문

NEW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D-21:분석적인식론/저항이론/동기-위생이론/학교중심교육과정개발모형

30일전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7.11.03 15:15:27
조회 975 추천 0 댓글 4

#개요

1. 분석적 인식론

 - 지식의 유형: 방법적 지식/명제적 지식(사실적 지식/논리적 지식)

 - 지식의 조건: 신념/진리/증거/방법


2. 윌리스의 저항이론

 - 학교: 헤게모니 쟁탈 장소

 - 저항: 학교가 퍼뜨리는 학력 이데올로기에 대한 저항

 - 친학교/반학교 문화

 - 저항: 간파+한계


3. 허츠버그의 동기-위생 이론

 - 만족/불만족: 연속선상의 개념이 아님

 - 동기요인: 만족요인

 - 위생요인: 불만족 요인

 - 의의: 내족 보상 중요성 강조/성취동기에 대한 새로운 관점 제시

 - 한계: 분류 기준 논리적 일관성 없음/동기요인 개인차 


4. 스킬벡의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

 - 학교 학습상황 비판적으로 평가

 - 타일러와의 차이점: 목표분석이전에 상황분석 단계 추가/순서에 상관없이 단계를 거침

 - 5단계 과정: 상황분석/목표설정/프로그램 구성/해석과 실행/모니터링,피드백,평가,재구성




#서론

교사가 교육철학, 갈등론에서 학교를 바라보는 관점, 동기이론 그리고 교육과정 개발 모형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중요하다.

이를 토대로 보다 유기적인 학습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이는 학생들의 학교적응과 학업성취에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본 글에서는 철학에서의 지식의 분류와 조건, 윌리스의 저항이론, 허츠버그의 동기-위생 이론, 스킬벡의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대해 논해보겠다.


#본론

전통적으로 철학에서는 지식을 방법적 지식과 명제적 지식으로 나누었다.

방법적 지식은 '~을 알 줄 안다'로 표현되는 지식으로 기술과 기능에 관한 지식이고

명제적 지식은 '~인 것을 안다'로 표현되는 지식이다. 명제적 지식은 사실적 지식과 논리적 지식으로 나뉘는데,

사실적 지식은 경험적이고 과학적인 지식을, 논리적 지식은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식이다. 

논리적 지식은 넓은 의미에서 사실적 지식이지만, 새로운 지식을 주지는 못한다.

명제적 지식에는 다음과 같은 지식의 조건이 적용된다.

신념조건은 안다는 것이 곧 믿는 다는 것이다.

진리조건은 그 지식이 참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증거조건은 참이라는 증거를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방법조건은 증거를 얻는 방법이 온당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윌리스는 저항이론에서 학교를 사회계급들의 이데올로기가 충돌하며 대결하는 헤게모니 쟁탈의 장소로 보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생의 반항은 단순한 반항이 아니라 학교가 퍼뜨리는 학력 이데올로기에 대한 저항으로 보고, 이를 학습자의 능동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즉, 이데올로기를 거부할 줄 아는 주체성을 가진 존재로 학생을 파악한 것이다.

그리고 학교에는 친학교 문화와 반학교 문화가 공존하였는데, 친학교 문화는 모범생들의 문화이고, 반학교 문화는 불량학생들의 문화이다. 윌리스는 반학교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하였다.

저항에는 간파와 제한이 있는데, 간파는 학력 이데올로기의 모순을 간파하는 것이고, 제한은 다른 이데올로기는 간파하지 못한다는 점과 자신의 계급을 되풀이하여 사회 평등 측면에서 재생산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허츠버그는 동기-위생 이론에서 일에 대한 긍정적 혹은 부정적 태도를 유발시키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작업환경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직무 만족과 불만족은 1차원의 연속선상의 개념이 아닌 것을 관찰하였다. 만족요인이 충족될 경우 만족하겠지만, 충족되지 않는다고 해서 불만족이 생기는 것은 아니었으며, 불만족 요인이 있을 경우 불만을 갖게 되겠지만 이것이 제거 된다고 해서 만족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동기요인은 만족요인을 말하며, 성취감이나 인정과 같은 작업 자체로부터 도출되고,

위생요인은 불만족요인을 말하며, 보수, 인간관계, 근무조건과 같은 작업 환경에서 도출된다.

동기-위생 이론의 의의는 내적보상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성취동기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는데, 이 이론을 계기로 작업 환경뿐만 아니라 동기요인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한계점으로는 분류 기준에 논리적 일관성이 없고, 동기요인에는 개인차가 있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스킬벡의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은 학교에서 일어나는 학습상황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학습자와 사회의 특성, 요구분석과정을 중시한다.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과 차이점을 보이는데, 첫째로 목표분석이전에 상황분석 단계를 추가하였고, 둘째로, 순서에 상관없이 단계를 거칠 수 있어 개발자가 지각한 요구에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단계에서 모형을 시작할 수 있다.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5단계 과정은 상황분석, 목표설정, 프로그램 구성, 해석과 실행, 모니터링,피드백, 평가, 재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황분석은 상황을 구성하고 있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으로 학교 내적, 외적 변화를 모두 검토해야한다.

목표설정은 1단계 상황분석 단계에서 도출된 것으로, 기대되는 학습 성과와 종류를 포함하여 교사와 행동의 행동을 담는다.

프로그램 구성은 교수학습활동의 설계, 수단, 자료, 규정 등을 구성하는 것이다.

해석과 실행은 교육과정 변화를 야기시키는 문제들을 미리 예측하고 경험의 회고, 관련 있는 이론 분석, 최신 이론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한다.

모니터링, 피드백, 평가, 재구성 단계에서는 평가 계획 등을 조절하고 유지한다.


#결론

이상으로 지식의 분류와 조건, 윌리스의 저항이론, 허츠버그의 동기-위생 이론, 스킬벡의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교육학 이론에 대한 이해는 교사가 2015개정 교육과정을 학교현장에 적용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이는 또한 학생들의 올바른 학교적응과 학습활동 이해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교사에게는 앞서 언급한 교육학 이론들에 대한 철저한 이해가 요구된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2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 ㅇㅇ(223.38)

    아는 여자애 무토 있고 기미남 결혼

    04.02 21:52:04
  • 역갤러1(39.113)

    나 무토뜬계미 신금남편

    04.02 21:56:01
1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잘못하면 바로 인정하고 사과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4/07 - -
AD 해커스 공무원·경찰·소방·임용 인강 100% 무료 운영자 25/04/08 - -
공지 임용고시 갤러리 이용 안내 [48] 운영자 22.02.17 16945 185
108249 진주 명신고 사립에서 공립된 유일한 학교라는데 ㅇㅇ(125.183) 01:13 60 2
108248 이재명 집권하면 도덕 과목 폐지될 확률 있음? [3] ㅇㅇ(39.7) 00:43 78 0
108247 니네 교사가 담배피는거 인식 어떰? [4] ㅇㅇㅇ(218.232) 00:40 128 0
108246 사립 중에 하나고, 민사고 이런데는 어떰? [1] 전재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3 56 0
108245 대학교 2학년인데 수업이 너무 힘드네요 ... [4] 임갤러(59.30) 04.08 138 1
108244 신규인데 옆자리교사 자는거보면 신기함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222 5
108243 울학교 보건 [1] 임갤러(211.235) 04.08 65 3
108242 좆소 다녀봤는데 교사집단에서 일하듯이 하면 진지하게 짐승취급임 ㅇㅇ [2] 임갤러(39.7) 04.08 133 2
108241 사립학교 교장 교감 = 이사장 따까리 [3] ㅇㅇ(118.235) 04.08 68 0
108240 임용 티오 전망 어떰? ㅇㅇ(183.108) 04.08 60 0
108239 사범대 있는 곳 교대원생은 임용 붙어서 교수한테 가면 욕먹음 [5] 임갤러(183.106) 04.08 126 0
108238 ㅋㅋ 기간제를 ㅈ소에 비비는건 ㅋㅋㅋㅋ [9] 임갤러(106.102) 04.08 187 1
108237 요즘은 정말 재수안에 다 붙는 분위기네 [5] 임갤러(223.39) 04.08 185 0
108235 사립 정 퇴사고민 [10] 임갤러(211.234) 04.08 171 1
108234 만 1년차인데 나름 쏠쏠한듯 [6] 임갤러(117.111) 04.08 279 0
108232 건동홍 사대부터는 임용 준비 학벌 아까움 [4] 임갤러(223.39) 04.08 177 1
108231 윤리 기간제 중간에 그만둬도 [1] 임갤러(223.39) 04.08 65 0
108230 기간제<<고학력자 아니면 가장 꿀아님? [4] 임갤러(121.169) 04.08 176 0
108229 님들 교사 늦게 시작할 수 있나요? [10] ㅇㅇ(211.234) 04.08 253 1
108228 일사 기간제 런치면 임갤러(118.235) 04.08 80 0
108226 애초에 학교안에서 친목하는게 [1] 임갤러(180.71) 04.08 113 3
108225 모르면 호구되는 정보들 모음 [1] ㅇㅇㅇㅇ(121.126) 04.08 160 0
108223 특수 전망 어떻게 봄? [2] 임갤러(211.234) 04.08 105 2
108222 임갤 ㅂㅅ top2. [3] 임갤러(211.207) 04.08 246 9
108221 교사 시급은 대기업급임 [4] 임갤러(106.101) 04.08 204 3
108219 최탈하고 마음가짐 어떻게 먹니 [14] 임갤러(118.36) 04.08 220 2
108218 애들이 복도에서 나를 만나면 인사를 안 해 ㅠㅠ [5] 임갤러(121.161) 04.08 211 1
108217 좆같은 일은 항상 연달아 터지네 임갤러(118.235) 04.08 72 0
108216 퇴근하고 할거 ㄹㅇ없노 ㅇㅇㅇㅇ [15] 임갤러(49.173) 04.08 267 1
108215 텃세 부리는데 어캐야됨 [7] 임갤러(211.235) 04.08 152 1
108213 금공필기 준비하다기 일사 경제보니까 임갤러(111.118) 04.08 72 0
108212 과학실험하다가 이런 앰창새낀 첨보네 [2] 임갤러(211.36) 04.08 162 1
108211 중등은 1년 수험생활 돈 얼마나 듦? [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262 0
108210 교사이제별론가여? [5] 임갤러(211.251) 04.08 250 0
108209 일병행 낼부터 겅부시작한다 [1] 임갤러(211.36) 04.08 87 0
108208 최원휘 2순환 모고 너무 어렵다 [1] ㅇㅇ(106.102) 04.08 64 0
108207 초수생 미술 [3] 임갤러(211.174) 04.08 79 0
108206 걍 개빡통 학교에서 근무하고싶다 차라리 [1] 임갤러(211.252) 04.08 144 0
108205 윤리교육과 3학년인데 국일행94점받았음 합격하면 [5] ㅇㅇ(106.101) 04.08 144 1
108204 진보정권은 윤리왤케좋아하노 [2] ㅇㅇ(155.230) 04.08 136 1
108203 화학교육과인데 복전 뭐 할 지 추천 좀 [5] 임갤러(211.235) 04.08 140 0
108202 퇴근하고 싶다 임갤러(121.162) 04.08 29 0
108200 일사말고 이재명이 밀어주는 과목 직접 언급한적 없음 [3] ㅇㅇ(121.151) 04.08 214 0
108199 영양은 티오 줄어들일만 남았는데 뭔 떡상? [2] ㅇㅇ(162.19) 04.08 104 4
108198 티오랑 경쟁률은 몇월쯤 나오나요? [1] ㅇㅇ(183.108) 04.08 117 0
108197 학교에서 00학번 합격자 이런사람은어케알아요? [10] 임갤러(211.221) 04.08 250 0
108196 교사 망테크중임 [1] 임갤러(14.39) 04.08 270 1
108195 형님들 내신 2.초 원서 이렇게 써볼까 생각중인데 어떤가요 [9] 페이트로수능공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130 4
108193 수행 전원만점 불가능하지 않냐 ㅇㅇ(211.235) 04.08 100 0
뉴스 [트렌드피플 2위] 추혁진, ‘미스터트롯3 비긴즈’서 존재감 폭발 디시트렌드 04.0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