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신규 사서교사 1년차입니다.

ㅇㅇ(1.251) 2022.07.26 14:57:15
조회 2933 추천 22 댓글 61

 우연히 사서교사 단톡방에 올해 임용 가티오 0명이라고 하는 걸 보고

검색 좀 해보다가 여기를 발견했는데,

뭔가 비교과나 그런 논란들이 많은 것 같아서... 

일단 방금 잠깐 눈에 띈 몇 개를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 수업은 하나요?

→ 일단 현재 저는 중학교입니다.

자유학기제 진로수업 2시간, 동아리 1시간 + 도서관 이용교육 전학년 정도 했고 2학기도 마찬가지일 예정입니다.

저는 아직 계획 중에 있지만 보통은 저기서 도서관 협력수업으로 전 교과 선생님들 신청을 학기 초에 받아서

정규 수업 시수를 배당 받는 것 보다 협력수업을 많이 하시는 것 같습니다 

 (케이스가 무수히 많지만 예를 들면 학기에 수업이 총 18차시인데 그중에 4차시 정도를 협력수업으로 계획하시고, 그런 신청을 2 ~ 3개 교과랑 진행하는 것 같아요

  프로젝트 수업 등의 형태로 첫 시간에 교과 선생님이 관련 교과 내용을 설명하시면 이후에 계획에 따라 관련 책이나 온라인 자료를 수집 관리 선정 정리 발표 등을

  수업하고 활동 하는 부분을 하게 됩니다. 대학생이 조별과제하는 것을 상상하시면 비슷할 것 같습니다.

  물론 교사 분 마다 하시는 형태나 진행하는 협력 수업의 수 등은 매우 다르기 때문에 모두 이렇다고 이야기 할 순 없습니다.

  일단 수업을 하게 되면 어떠한 커리큘럼을 타는 것이 아니므로 수업 전체를 계획해서 만들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떠한 이론을 전달하는 것 보다 활동이나

  실생활에 관련된 경우가 많아서 더욱 다양한 형태를 띄게 됩니다.)

* 담임과 방과 후 수업은 가능합니다. 

실제로 담임도 하시는 분도 꽤 계시지만, 아무래도 도서관과 학급을 동시에 맡기에는 두 파트 모두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많이 하지는 않으시는 것 같습니다. 방과후수업은 저는 독서논술수업을 개설하고자 했으나 요즘 아이들이 학원이나 여러 이유로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인원은 적었습니다. 같은 교무실 선생님들께서도 방과후를 개설하고자 신청하신 분이 계셨지만 대부분 개설하진 못하셨습니다. 다만, 교육청에서 내려오는 기초학력미달 방과후수업은 개설하고 참여하게 해야 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수업이 많이 열리게 되었습니다.

* 업무분장은 저는 현재 수업 외엔 도서관, 교과서, 장학, 소식지 정도를 하고 있습니다.

아직 신규다보니 이러한 일들도 벅차게 하고 있지만, 다른 선생님들 말씀으로는 그래도 신규라서 적게 배정해둔 편이라고 하셨습니다. 내년에는 더 많아질 것 같습니다...ㅠㅠ

* 이외에  학교 일들

학교 친목회 총무(막내라서 그런 것 같아요...), 교원 동아리 2개 정도, 교육청 거꾸로 멘토링 멘토, 해당 지역 내 사서교사 미배치 학교도서관 현장 지원(저는 8번 정도?), 장서 선정 구비, 교육청 프로그램 학생 책 출판(교육장 인증 프로그램, 전교생), 기타 여러 행사나 프로그램 등 학기 중에 진행되는 프로그램들은 저희 부서가 아니더라도 맡게 되는 경우도 좀 있습니다(저는 지금 교무부입니다). 학교 행사 시 참가하고 인솔지도 모두 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 상황 때문에 수업 보강이나 종 조례를 상대적으로 많이 맡고 있습니다. 코로나 뿐이 아니더라도 연수나 기타 사유가 생각보다 많이 발생합니다. 생기부 역시 수업을 들어가기 때문에 작성하고 있습니다.


- 우선 대부분의 학교에 배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선생님들이 잘 모르시는 경우도 많고, 또한 명확하게 이렇게 해야한다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개인 차가 많이 생기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이렇다 보니 한다면 정말 무수한 많은 일들을 할 수 있고,,, 안 하고자 하면 정말 하는 일 없이 갈 수도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당장에 도서관 행사만 하더라도 사서교사 재량에 대부분이 달려있습니다. 가볍게 행사를 하고 지나갈 수도 있고 행사를 해보신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크게 벌리면 계획, 예산, 진행, 관리, 정리까지 한번만 해도 보통 일이 아니기 때문에 꽤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합니다. 심지어는 행사의 횟수도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더욱 그렇죠. 적어도 일 년에 4번 정도는 하시는데 전교생과 교원들 모두 대상이 되기 때문에 저는 쉽지 않다고 느꼈습니다... 참여를 유도하는 일부터 시작하여 혼자서 행사의 과정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더욱 고민이 많았습니다. 수업도 위의 설명처럼 사서교사의 재량에 달려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마찬가지입니다.


교육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현재 제가 관심을 많이 두고 있는 부분은 일단 문해력 (문자를 많이 접하지 않기 때문에 가볍게라도 접근을 늘릴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그리고 정보활용능력과 미디어 리터러시 (현재 강조되고 더욱 중요해지는 부분입니다. 다양한 정보원을 활용하고 특정 주제나 교과와 연결 시켜 학습활동을 진행하며 어떠한 과제나 문제에 대해서 올바른 정보를 활용하고 나아가서 평생학습의 기반을 이룰 수 있게 스스로 혼자 학습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최종적인 목표입니다.) - 현재는 동아리를 매체활용반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실 저희 과의 반은 사실 컴퓨터와 데이터베이스 관련입니다. 단순히 도서관에서 책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옛날의 이야기이고 실제로 많은 분야와 기업에서 이러한 부분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학교도서관 현장에서도 다르지 않습니다. 그냥 책만 읽게 하는 것보다는 다양한 매체를 접할 수 있게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도서관 장소에 대해 현재는 그냥 도서관이 아닌 일종의 문화센터 처럼 운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들이 가볍게 여가를 즐기는 것도 매우 필요한 부분이고, 학업을 위한 다양한 정보원으로써의 역할, 때로는 편하게 쉬어갈 수 있는 공간, 여러가지 행사가 진행되어 책을 읽을 기회를 만들 수 있는 공간, 책 뿐만 아니라 인터넷 자료 영상 여러가지 문화적 요소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 등 여러가지 요구에 맞추기 위해 도서관을 운영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실 저는 발령이 잘 된 경우이고 보통은 도서관 자체가 잘 활용되지 않아 정비, 리모델링, 점검부터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대규모 공사들이 진행된다면 1~2년 간 다른 활동을 하기가 어렵고, 정비를 한 후에도 2년 뒤 다른 학교로 발령을 받아 다시 책정리, 리모델링부터 하게 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사서교사의 인원이 적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가 사실 대부분입니다. 사서교사가 떠나면 학교도서관이 또 유명무실해지는 경우가 많고 이런 도서관의 경우 다시 배치가 되었을 때 수많은 손길을 요구합니다. 하지만 혼자서 수백 수천명을 대상으로 하는 시설을 계획부터 예산, 직접 정리 하고 관리 하는 일이 쉽지 않습니다... 교육적인 부분과 많은 수업 기회를 원하시는 분들도 많지만 현실적으로 여건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어느 일이나 어느 자리를 하더라도 자신의 업무나 해야 할 일들을 물어본다면 얼마나 할 일이 많고 힘든 지는 무수하게 설명해주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저의 모든 일들을 다 이야기 할 수도 없을 뿐더러, 제 힘듦을 토로하는 것은 아닙니다.

교과 선생님들에 비해 어떤 부분의 일이나 역할은 적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제 일에 대해서 필요성을 느끼고 있고, 저만의 교육관을 가지고 아이들의 성장을 이끌어 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어떤 단면이나 일부를 보고 일반화 하는 것을 옳지 않습니다. 어떠한 프레임을 가지고 그 전체를 재단하기 보다는 상대의 생각관과 노력 등을 봐주신다면 더욱 그 상대를 집단을 나아가 사회를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이야기해봅니다.

추천 비추천

22

고정닉 0

136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AD 지방직9급 합격예측 사전예약 네이버페이 증정 운영자 24/05/31 - -
공지 임용고시 갤러리 이용 안내 [45] 운영자 22.02.17 8330 185
66740 교사되어서 좋은거 개꿀대체공휴일ㅎㅎ 임갤러(118.235) 23:06 37 0
66739 초등 몇명안되는 아이들 40분 돌봄 경기도 6만원이네 임갤러(180.211) 22:53 47 2
66738 남고에서 여선생은 거의 연예인급임 ㅋㅋ [2] ㅇㅇ(223.38) 22:37 72 0
66737 가티오 언제남 임갤러(122.43) 22:28 27 0
66736 배신은 좋아요 배신자는 싫어요 ㅇㅇ(223.38) 22:27 22 0
66735 40 모쏠임 ㅇㅇ(211.234) 22:27 29 0
66734 학교가고싶다 임갤러(112.168) 21:51 37 0
66733 우리 작년에 잘생긴 쌤 새로 왔었는데 [3] ㅇㅇ(223.39) 21:48 135 5
66732 남자교생이 공학이나 남고에서 단체사진찍고 선물받으면 [2] 임갤러(118.235) 21:42 73 1
66731 행복주택 당첨됐는데 ㅇㅇ(218.38) 21:38 45 0
66729 인천 근무하는 선생님 계신가요? [3] ㅇㅇ(211.33) 20:55 69 0
66728 선생새끼들이 좆같은게 이거임 임갤러(118.41) 20:46 92 1
66727 여고에서 남자 교사는 걍 신급이던데 [12] ㅇㅇ(122.43) 20:41 186 0
66726 학생들 인사 안하는거 가지고 ㅈㄹ하는새끼들은 개꼰대새끼들임 ㅋㅋ 임갤러(118.41) 20:36 45 0
66725 대학 무전공 선발 + 통합사회 + 종합전형으로 득본건 일반사회뿐임 임갤러(118.41) 20:35 45 0
66724 지금 좃고딩들 회사 입사하는 시대오면 회사 십창난다 [6] ㅇㅇ(122.43) 20:30 71 2
66723 '한국 월드컵 예선에서 싱가포르 7:0으로 완파하다' J♡^^(118.235) 20:17 16 0
66722 과탐 수능 폐지되면 [1] 임갤러(39.7) 20:15 66 0
66721 좃같은 놈들 4일간 안보니 살거같으면 개추 ㅋㅋ [2] ㅇㅇ(223.39) 19:59 110 8
66720 정컴 전망 어떰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53 33 0
66719 수업하는데 밖에서 들여다보는거 민폐맞음 [3] ㅇㅇ(223.39) 19:36 103 0
66718 기간제여서 딴쌤들이 무뚝뚝한게 아니라 ㅇㅇ(223.39) 19:08 129 3
66717 고딩때 체벌과 관련했던 기괴한 썰 ㅇㅇ(210.94) 18:59 43 0
66716 30대 교사 차 gv70어떤가요? [1] 임갤러(223.39) 18:59 85 1
66715 대학 무전공 선발(사탐 호재?) [2] ㅇㅇ(118.235) 18:30 95 0
66714 지금 해야할 일: 기말출제, 2번째 수행평가, 세특시동걸기 [3] ㅇㅇ(223.39) 18:16 100 0
66713 중학교 애들 수준 여기만 그런건가 [4] ㅇㅇ(223.62) 17:11 152 0
66712 솔직히 임고 떨어졌으면 9급이나 했을텐데 ㅇㅇ(211.36) 17:05 105 0
66711 중학교 도덕 이거 그냥 다른 과목 내용 베껴서 그대로 만들어놓은거같은데 [4] 임갤러(121.151) 17:02 124 0
66709 임고 8개월만에 붙었는데 [5] 해주갤센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41 249 0
66705 남 수업 ㅈㄴ 노골적으로 보는거 무례한거 맞지 않냐 [3] 임갤러(223.39) 15:41 156 0
66704 니들은 서술형 출제할때 난이도 어떻게함? [6] ㅇㅇ(223.39) 15:23 116 0
66702 경남에 취업박람회인지 직업박람회인지 그걸하는데 [1] 임갤러(39.7) 15:14 55 0
66701 다른 공무원시험은 양평있는데 여긴 왜 없음? [3] 임갤러(183.96) 14:43 133 0
66700 임용고시 언제부터 [2] 임갤러(124.59) 13:55 213 0
66699 지가 빡대가리인건 모르고 피해의식만 가득한ㅅㄲ존많 ㅇㅇ(223.38) 13:20 85 0
66698 개 씹지잡대 출신이라 그런가 [5] 임갤러(115.139) 13:20 225 1
66697 기간제 취급어떰? [7] ㅇㅇ(128.134) 13:10 191 0
66696 사실 교사가 잘맞으면 어떤 과목이든 할만함 ㅇㅇ(59.22) 13:07 90 0
66695 임용 쉽게붙든 어렵게붙든 그게그거 아닌고? [2] ㅇㅇ(106.101) 12:27 150 0
66694 사립은 기간제나 정교사나 별 차이없음 [1] 임갤러(183.109) 12:11 135 0
66693 독실 쓰는 과목은 뭐뭐있음? [7] ㅇㅇ(112.72) 12:05 157 0
66692 시발 이번에 대학 합격하면 30살에 초수임용이네 [4] 임갤러(218.152) 11:47 188 0
66691 임용고시는 과목별 편차가 너무 큼 [5] ㅇㅇ(223.39) 11:13 255 0
66690 사대에 왔습니다 [4] 일치불일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2 140 0
66688 재량휴업일에 근무조 신청 받잖아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1 146 0
66687 기간제 오래 써주는 사립은 왜 그런건가요? [5] 임갤러(106.102) 09:10 193 0
66686 아줌마선생년 존나 거슬리네 ㅇㅇ(218.38) 07:03 137 2
66685 문과는 사범대가 그렇게 최악은 아닌듯 [2] 임갤러(211.33) 03:50 17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