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최근 방문

NEW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아래 어그로글에 교과교사로서 답을 해봄

ㅇㅇ(180.70) 2021.03.07 21:36:59
조회 1559 추천 21 댓글 27

사실 어그로라 무시하는게 나은데 나도 관종이라 한 번 답을 해보려고 함.

일단 교과교라사고 말한건 내가 교과교사 비교과교사 나누는 성향의 사람이라서가 아니라 그 어그로글이 그걸 나누길래 내 속성을 밝히는거.

그리고 내 답변이 교과교사 생각 전체를 대변하지 않음.



1. 교직과 무관한 사람이 갖는 교직에 대한 전반적인 편견이 다 들어가 있음.

사실 교사만큼 전문성이 무시당하는 직업이 없을 듯.

왜냐하면 우리나라에서 중졸 이하 학력은 손에 꼽을 정도거든.

대부분의 사람이 학교를 다녔고 많은 사람들이 친구들에게 공부를 가르쳐주거나 배운 경험이 있음.

그래서 겉으로 보이는 대로 생각하니 교사의 일 = only 혹은 almost수업 이라는 편견이 다 들어가있음.

교사의 전문성이란

1)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2) 학교에 맞는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고

3) 자기 교과에 대한 수업을 진행하고

4) 학생을 평가하고

5) 생활지도를 하고

6) 동아리 등 학생 활동 전반을 지도하고

7) 교육공무원으로서 다른 행정 업무


가 있다고 생각함. 수능 수준만 생각해서 대충 문제 분석한 뒤 수업하려한다면 쉽겠지.

쉽다면 쉽고 어렵다면 어려운 일임. 최소 자기 교과에 대한 전문성은 갖추고 해야지.

학원 강사들이 자기 교과에 대한 그정도의 전문성을 갖고있을까? 전공 아닌 교과목으로 제일 만만하게 도전하는게 수학인데 미적분 가르칠 때 해석학을 공대에서 문제 해결하려고 툴로서 이해하고 쓰는 수준 말고 이론적으로 제대로 이해하고 수업하고 있을까?

내 교과만 하더라도 학생들 오개념 생길까봐 아 다르고 어 다른 차이를 얼마나 주의하는데 흔히 말하는 사교육 일타강사가 오개념 내뱉는거 보고 혀를 내둘렀음.




2. 이전 교육과정 출신의 편견도 들어가있음.

7차 교육과정 출신이라고 하는데 나도 마찬가지임.

당시는 대학도 수능이 거의 원툴이었고 지금보다 입시의 중요성이 큰 시기였지. 수능으로 대학 정원의 80% 정도를 뽑았던걸로 기억함.

흔히 가고싶어 하는 대학, 가고싶어하는 과의 수시선발 인원은 너무 적어서 수시로 대학가기는 거의 하늘의 별따기였지.


이렇게 입시에서 학교가 가지는 역할이 너무 작다보니 입시공부를 챙겨 한 학생 입장에서 학교는 크게 의미가 없었고 학원이나 인강 등 사교육에 크게 의존함. 나 역시 그러했고.

그 관점에서 보면 저 글이 꽤 설득력이 있어보임.

하지만 지금은 15개정교육과정 시기이고 작성자의 경험은 더이상 보편적이지 않음.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목표로 하고 개별화 교육과 성장을 강조하고 학교단위의 교육을 강조함.

한국의 교육은 입시에 종속되는 경향이 강하니 (의도대로 잘 돌아가는지는 둘째치고) 수시를 확대하고 수치화 할 수 없는 학생들의 성장을 기록한 생기부를 강조하는 것임.

학교에서는 교과교육 이외에도 많은 활동을 하며 동아리 등을 활용한 대외활동도 다수 함. 7차 출신이라면 상당 수준의 코딩 다루는 학생들이 생각보다 많다는걸 보고 놀랄거임.

이 체계에서 글쓴이가 주장한 현우진 등과 같이 일타강사의 강의만 지원하고 교사가 학생 관리하는 조교같은 역할을 하자는 것은 본인의 무지함만 드러내는 소리.

글쓴이가 더 중요하지 않냐고 한 비교과 교사들도 그런 맥락에서 뽑힌거임. 하지만...


3. 비교과 교사들에 대한 이론적인 환상을 가지고 있음.

잘 모르고 생각하면 저 말이 맞음. 비교과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아주 큰 역할을 할 것 같지. 근데 교직사회가 돌아가는 상황을 전혀 모르고 있음.

비교과 교사가 그냥 박해받는 것 같지만 거기엔 다 이유가 있다고 생각함.

교사선발 시험을 통과하고 “교사”라는 타이틀을 달았지만 학생을 “지도”하는 일이 상당히 적거나 전무함.

보건교사는 성교육이나 건강교육을 할 수 있지만 사실 동아리에서 외부강사 데려와서 한두번 수업하는거랑 다를바 없음.

전문상담교사는 원만한 상담진행을 위해 상담이론 뿐 아니라 교육학적인 측면도 갖춘 것이 의미는 있겠지만 꽤 많은 학교에서 메인 업무는 티타임임.

영양교사는 그 역할이 교육공무직으로서의 영양사와 뭐가 다른지 구분이 어려움.

사서교사 또한 교육공무직으로서의 사서와의 차이점을 알 수가 없음.


물론 이 모든 책임이 비교과 교사들 개인에게 있다곤 생각하지 않음. 그들을 교사로 뽑아놓고 교사처럼 일을 시키지 않는 교육부, 교육청, 학교가 문제겠지.

근데 비교과 교사들이 “우리를 교사로 뽑았다면 교사답게 학생들을 지도하는 일을 달라”고 단체행동이라도 한 적이 있음?

교과수업이 없는건 차치하고 담임도 맡지 않음. 교사라면 교과수업 외에도 학생들의 생활지도가 큰 일인데 그걸 안함.

보건실, 위클래스, 도서관 등을 비울 수 없다고 변명하는데 교과교사들도 담임인 반에 그렇게까지 자주 들어가지 않음.

들어간다 할지라도 그건 일과표상 전체적인 교육활동이 있는 중이고 문 앞에 간단한 패찰 하나 붙이면 해결될 일.


교사 수가 부족한데는 교장이나 교감이 시켜서 담임을 한다고 들은거도 같은데 그마저도 거부한다는 얘기 또한 들은적 있음. 아무튼 일반적으로 하지 않음.


우리 학교 기준, 비교과 교사들은 동아리 지도도 하지않음.

이정도면 이 사람들을 “교사”로 뽑은 의미가 없는거 아님?


이들이 “교사”타이틀을 유지하고 교사로서 일을 하고싶다면

1) 전공과 관련된 수업을 진행하고

2) 평가활동을 하고

3) 학생 생활지도를 하고

4) 동아리 지도를 해야함.


비교과 교사가 이 중에 대체 뭘 하고있음?


다가오는 2025년 고교학점제 시대를 맞이하는데 비교과 교사들에게 자신의 전공과 관련된 수업을 개설하라고 하면 할까? 전문성이 있을까?

자기 전공에 대해서 한 학기짜리라도 체계적인 교육과정이라도 꾸릴 수 있을까?


심지어 이들을 “교사”로 뽑아서 우리나라의 “교사당 학생수”가 상당히 개선된 것으로 통계적 오류까지 주고 있음.

그러니 일부 교과교사들 입장에서 이들 보는 시선이 곱지 않을 수 있음.

교사가 아닌 행정직 혹은 특정직 공무원으로 뽑아서 학교에 배치했다면 이런 갈등은 없지 않았을까 싶음. 아니면 상술했듯 정말 교사다운 일을 주든가.



글 마지막에 “문외한이 하는 소리니까 어그로일 수 있음 ㅇㅇ” 하고 쿨하게 적었는데 문외한이라서 모르면 아닥하는게 사실 제일 아름답긴 함.

아니면 최소한 알아보고 글을 쓰던가.

추천 비추천

21

고정닉 1

46

댓글 영역

전체 댓글 27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 ㅇㅇ(182.212)

    쓸데없이길어서 안읽음 ㅋ (비교과교사)

    2021.03.07 22:03:15
    • ㅇㅇ(180.70)

      ㅇㅇ 잘했어.

      2021.03.07 22:06:08
    • ㅇㅇ(223.39)

      비교과교사 수준 굿! - dc App

      2021.03.08 12:13:39
  • ㅇㅇ(118.235)

    그 글쓴이인데, 3의 비교과 관련 학교 내 세부 사정은 제외하고 다시 물어봄.

    그 글 댓글에도 적었지만, 현직 교사들의 경우, 1. 1) ~ 7) 을 다 준수한다고 할 수 있음? 전인적 교육 같은 그런 아주 고매한 가치를 추구하는 교사가 있다니까 한편으로는 다행이란 생각도 드네. 근데 내가 묻고 싶은 건

    2021.03.07 22:17:02
  • ㅇㅇ(118.235)

    해당 교과 지식 전달 측면에서, 현재 1타 명강사들보다 각급 학교에서 강의하는 교사들이 더 낫다고 봄? 학원강사가 전문성이 없고 오개념도 있다고 하는데, 내가 말하는 강사들은 어디 보습학원 강사 말하는 게 아니라 인강으로 1타 찍는 강사들 말하는 건데, 그런 수준이면 1타 찍는 게 불가능하지 않나? 사례 제시할 수 있음? 그리고 그 1타 강사들도

    2021.03.07 22:23:25
  • ㅇㅇ(118.235)

    완전 무관한 전공한 무지랭이가 입만 잘 털어 1타 찍은 케이스보다는(최근 모 전공 모민석 사례 처럼) 해당 과목 전공한 사람들이 많은데, 좀 설득력 떨어지는 주장 아님?

    오히려 공교육 교사들이야 말로 철밥통이고 잘못 가르쳐도 안전하니까 그런 문제 더 많이 생기지 않나 싶은데..?

    2021.03.07 22:27:08
  • ㅇㅇ(118.235)

    "교사의 전문성이란
    1)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2) 학교에 맞는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고
    3) 자기 교과에 대한 수업을 진행하고
    4) 학생을 평가하고
    5) 생활지도를 하고
    6) 동아리 등 학생 활동 전반을 지도하고
    7) 교육공무원으로서 다른 행정 업무" 이렇게 적었는데

    내가 하고 싶은 말이 바로 이거임. 뭐냐면

    2021.03.07 22:29:21
    • ㅇㅇ(118.235)

      여기서 3) 부분은 너무나 탁월한 강사, 교사들이 있는데, 모든 교사들에게 강의를 하게 해서 굳이 강의력 떨어지는 교사들까지 강의를 하게 하면 그게 교사나 학생이나 서로 손해인 거 아니냐는 거임. 강의력 좋은 교사 강의를 아예 교육 시스템 상으로 인강으로 듣게 하고 나머지를 일선 교사들이 하게 하면 되지 않음?

      2021.03.07 22:32:45
    • ㅇㅇ(118.235)

      내가 7차만 경험했다고 지금에는 전혀 적용되지 않는 얘길 하는 것처럼 말하는데, 내 주장은 강의력 떨어지는 교사들 강의보다는 강의력 좋은 교사, 강사를 듣게 하자는 거임. 강의 잘하는 교사는 소수일 수밖에 없다는 이 문제가 과연 7차에 한정된 얘기고, 지금 무슨 15차가 됐으면 교사들 강의력이 다 1타 급이 되기라도 한단 말임?

      2021.03.07 22:38:21
    • ㅇㅇ(223.38)

      걍 답도 없이 극단적인 캐이스 가져다 말꼬리 잡고 늘어지는 스타일이라 대꾸할 가치도 없긴 한데 한 반에 스물 다섯이면 인강 틀어놨을 때 조용히 인강 들을 학생이 몇 명일까? 작년 원격수업 기간 동안 니가 그렇게 좋아하는 인강 대체 수업이 가능했는데 왜 학부모들은 실시간 쌍방향 수업 확대를 요구했을까? 강의력만 따지면 거지같기론 둘째가라면 서러운 대학교수는?

      2021.03.07 22:48:53
    • ㅇㅇ(223.38)

      무슨 아직도 고딩 마인드 못 벗어나서 전투력 따지듯 강의력 강의력 돌림 노래를 부르는데 강의는 교실 수업의 일부일 뿐임

      2021.03.07 22:51:26
    • ㅇㅇ(118.235)

      틀어서 안 듣는 애들 있는 게 양질의 강의를 공급하자는 주장에 대한 반론임? 내 주장은 수준 떨어지는 강의력 가진 교사들 때문에 진짜 열심히 하고자 하는 애들까지 학교 수업으론 공부 못하고 사교육 찾게 되니까, 좋은 강의만 선정해서 공급하자, 이제는 기술적으로도 가능하지 않냐 하는 건데?

      2021.03.07 22:52:17
    • ㅇㅇ(180.70)

      스탠다드를 업계 탑이랑 비교하면 가수도 장르별로 하나씩만 남기고 다 갈아야지.
      윗 댓글이 잘 말해주네. 학교 아무런 역할 못하는거 같았지만 실제로 온라인 수업 전면화 했던 작년 학생들의 학력은 곤두박질 침.

      실제 학교수업이 그 공부 안하는 학생들에게 조차 영향이 있었다는 얘기.
      대면수업이 주는 현장감과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할 수 있다는건 혼자 공부 잘 해서 인강 듣고 성적 나오는 애들은 체감하기 힘든 큰 장점임.

      2021.03.07 22:52:46
    • ㅇㅇ(180.70)

      그래서 올해도 등교랑 온라인 병행하는데 나는 온라인도 아이패드랑 병행해서 실시간으로 하고 질문받고 하는데 죽을맛임. 유튜버 된거같고. 근데 애들이 이게 낫다는데 어쩌겠어. 쉽게 할라믄 녹화해두고 그냥 던지면 되는데

      2021.03.07 22:53:34
    • ㅇㅇ(118.235)

      강의가 교실 수업의 일부일 뿐이라는 건 교사 생각이고, 당장에 내가 영어, 수학 잘하고 싶은데, 교사 강의력이 떨어져서 답답해 죽겠는 학생 입장은 생각 안 함? 실컷 학교 수업 듣고 사교육 강의 따로 찾아 들어야 되는 입장은 생각 안 함?

      2021.03.07 22:54:38
    • ㅇㅇ(180.70)

      그리고 EBS가 있고 예전에 강남구청 강의가 있었는데 그 양질의 학원강사들 공교육이 온라인에 끌고온 결과 어땠음? 그들도 돈 안되고 자기 이름값 생각해서 하는 강의엔 생각보다 헌신적이지 않음.

      2021.03.07 22:55:06
    • ㅇㅇ(223.38)

      기술적으로 가능한 그 짓거리가 실효성이 없다는 이야기잖니
      두 번째로 니 개인적인 알량한 경험만으로 전국 학교를 일반화 할 수 없음
      한 학 학년에 정원 세 명인 시골 학급은? 특수교육대상자 통합학급은? 다문화 새터민 가정 학생이 있는 학급은?
      개인적 배경과 특성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최대한 개별화 교육을 제공하는게 현 교육부 방침임

      2021.03.07 22:58:21
    • ㅇㅇ(180.70)

      말마따나 수업은 업무의 일부라는건 교사의 사정이고 학생 사정에선 양질의 수업을 들어야지.
      그럼 네 말대로라면 학교 수업의 질이 올라갈 수 있게 교원에게 행정업무를 덜어주고 담임이나 생활지도는 비교과 교사들이 다 해줘서 교과교사들은 수업 준비만 할 수 있게 해준다음 수업 실력에 따라 성과급 크게 차등지급 해서 개선을 하자고 주장하면 현실성은 둘째치고 옳은 방향 같은데

      그냥 인강 다 지급하고 교사들은 학생 관리나 하라는 식의 주장은 7차 교육과정에 묶여서 현재 교육과정의 의의도 작년 코로나 시국 온라인 강의 진행했더니 곤두박칠 친 학생들의 학업 상황도 모르는 문외한의 이야기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란거임

      2021.03.07 22:59:04
    • ㅇㅇ(223.38)

      니가 10년 전에 답답했던건 니 사정이고
      그게 여기 사람들이 충분히 교육적 관점에서 답글 달아주는데도 교과교사는 필요없다고 답 정해놓고 말꼬리 잡고 늘어질 타당한 이유는 못 됨

      2021.03.07 23:02:28
    • ㅇㅇ(118.235)

      "네 말대로라면 학교 수업의 질이 올라갈 수 있게 교원에게 행정업무를 덜어주고 담임이나 생활지도는 비교과 교사들이 다 해줘서 교과교사들은 수업 준비만 할 수 있게 해준다음 수업 실력에 따라 성과급 크게 차등지급 해서 개선을 하자고 주장하면" ㅇㅇ 나는 이거 좋다고 생각함 근데 이렇게 해도 좋은 강의 보급이 인강보단 힘들거라 보는 편이라

      2021.03.07 23:04:24
    • ㅇㅇ(118.235)

      자꾸 말꼬리니 뭐니 내용과 상관없는, 소위 교새스러운 코멘트는 재끼고 답변하면, 요즘 애들이라고 나처럼 안 느끼느냐 하면 그게 아니라는 게 문제지

      2021.03.07 23:05:44
    • ㅇㅇ(223.38)

      요즘 애들 얘기 하기엔 너무 고리짝 쉰내나는거 아니야? 학교가 고교학점제로 재편되고 과목 수와 종류, 학생 수요도 폭증하는게 요즘인데? 그냥 니가 하고 있는 말이 지극히 구시대적 발상임

      2021.03.07 23:25:06
    • ㅇㅇ(118.235)

      수요가 다양하게 폭증을 하더라도 강의 못하는 교사를 강의로 내모는 시스템 고수하면 그런 불만은 사라질 수가 없을 것 같은데 ㅎㅎ

      2021.03.07 23:30:02
    • ㅇㅇ(223.38)

      또 답정너짓 하네
      폭증하는 수요에 따라 교사에게 필요한건 단순 강의가 아니라 교육과정 구성, 수업 방법 설계, 수업 모형 적용, 평가 및 환류와 각 과정의 일체화 능력임
      학습은 교사가 시키는게 아니고 학생이 하는거

      2021.03.07 23:35:17
    • ㅇㅇ(223.38)

      차라리 교사의 다각화된 능력 배양같은걸 주장하면 그럴싸 하기라도 하지 언제적 인강 얘기야

      2021.03.07 23:37:00
  • ㅇㅇ(118.235)

    그리고 잘 모르는 문제니까 평소엔 당연히 아닥하고 있지^^ 근데 이딴 게시판 같은 곳에서는 이 정도 평소 생각과 의문 정도야 뭐 말해보고 피드백 받아볼 수 있는 거 아니겠음? ㅎㅎ

    2021.03.07 22:40:51
  • ㅇㅇ(223.39)

    보냈다 - dc App

    2021.03.08 01:07:53
1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어떤 상황이 와도 가족 안 굶길 것 같은 생활력 강해 보이는 스타는? 운영자 25/03/24 - -
AD 국가직9급 합격예측 사전예약시 해커스가 10억 쏜다! 운영자 25/03/30 - -
공지 임용고시 갤러리 이용 안내 [48] 운영자 22.02.17 16711 185
107538 교직이수 없는 학교면 어케 해야함 [3] 임갤러(39.120) 03:07 32 0
107536 <고교학점제> 정책 진행 주요일정.jpg [2] 임갤러(14.33) 01:21 73 0
107534 세상 잘난 사람들 많다 임갤러(118.235) 00:10 59 0
107531 님들은 사범대 전공 어떤기준으로 골랐음? [1] ㅇㅇ(1.246) 03.29 32 0
107530 학과선배는 임용 일부러 안보고 매년 기간제하심 [1] 임갤러(118.235) 03.29 145 0
107529 현재 사범대 재학생인데 [2] 임갤러(183.107) 03.29 103 0
107528 일병행인데 아직 공부시작못함 임갤러(49.168) 03.29 54 0
107527 조회시간 할거 없는데 [4] 임갤러(125.242) 03.29 90 0
107526 올해 티오 어떻게 될 까 [1] ㅇㅇ(223.38) 03.29 84 0
107524 2025 최신 전국 대학교 순위 top20 [2] 임갤러(118.235) 03.29 101 1
107523 고교학점제는 문재인정부 작품인데.. [1] 임갤러(106.101) 03.29 92 1
107522 임용 해볼만 한 거 같다 [2] 임갤러(110.70) 03.29 156 0
107519 그래서26~27임용 윤리 티오는 몇명인데 [4] ㅇㅇ(115.140) 03.29 106 0
107518 그럼 역사과는 뭐가 메리트가 있음? 역사과만 들어와바 [5] ㅇㅇ(106.101) 03.29 129 3
107517 기간제보다 재임용이 합격하기는 더 힘들긴함 [1] 임갤러(106.101) 03.29 131 0
107516 IB는 그렇다쳐도 디지털교과서는 어떻게 생각하냐? [4] 임갤러(180.92) 03.29 123 0
107515 IB학교도 기피 근무지야? ㅇㅇ(223.39) 03.29 66 0
107514 ib학교는 임갤러(118.235) 03.29 86 1
107513 물리 내려치기 뭐노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9 88 2
107512 사립고 절대 가지마라 씨발 [2] 신라금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9 230 2
107511 담임인데 성과급 최저나옴 [6] 임갤러(118.235) 03.29 245 0
107510 고교학점제는 대체 어느 나라 따라하는거냐 [2] 신라금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9 115 0
107509 IB 교육 전면화시 역사 일사 물화생 떡상 [5] 임갤러(14.45) 03.29 169 2
107508 IB 교육 전면화되면 ㅈ망하는 거다 ㅇㅇ(223.39) 03.29 89 2
107506 고교학점제만 폐지하면 학부모 학생 교사 장학사의 지지를 얻을 수 있는데 [3] ㅇㅇ(59.29) 03.29 100 0
107504 임용합격하면 좋은점 [3] 임갤러(106.101) 03.29 254 2
107503 못생 찐따 남교사 현상황 [5] 임갤러(39.7) 03.29 408 6
107502 챗 gpt 피셜 고교학점제로 사회과는 일반사회만 유리 [2] ㅇㅇ(39.7) 03.29 137 0
107499 삼현엘슼, 금융권 대기업 못갈거면 교사가 나음 [4] ㅇㅇ(211.235) 03.29 96 4
107498 잘생긴 남교사 현재 상황.... [9] 임갤러(117.111) 03.29 340 5
107497 요즘 사범대는 남초네.. [6] RU:N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9 271 0
107496 옛날 선생들이 야자는 너희들을 위해서 하는거라고 했었는데 [1] 신라금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9 81 0
107495 보통 몇년차부터 담임이랑 보직 맡음? [4] ㅇㅇ(211.235) 03.29 151 1
107494 윤리과 현직이 보는 사회과 임용 전망 [13] 임갤러(118.41) 03.29 347 10
107493 애들은 사립보내야한다는 새끼들이 진짜 개씨발새끼들임 [3] ㅇㅇ(39.7) 03.29 106 2
107492 교육학이나 전공 내용이 막 바뀌진않지?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9 35 0
107491 카공하니까 공부 잘되네 [3] ㅇㅇ(223.38) 03.29 88 0
107490 진짜 돌고래급 지능이어도 일단 교원자격증만 따라 ㅋㅋ [1] ㅇㅇ(118.235) 03.29 158 2
107489 똥통고 출신인데 동창 20명이상이 지금 교사하는중임 [4] ㅇㅇ(211.246) 03.29 177 0
107488 물리 얘기나오니 내 경험상 이야기 해줌 임갤러(121.132) 03.29 84 1
107486 사서는 교사들중에 예외적으로 스트레스 적음? [4] ㅇㅇ(118.235) 03.29 101 0
107485 근데 윤리 전망 안좋다는게 왜 선동임? [2] 임갤러(14.45) 03.29 87 0
107484 물리 장점이 수도권이 컷 높지 않음 임갤러(211.36) 03.29 79 0
107482 성과급 n분의1 하는 학교가 ㄹㅇ 존재함? [7] 임갤러(106.101) 03.29 173 0
107481 성과급 A 받네 [3] ㅇㅇ(223.39) 03.29 128 0
107480 학교 성과급 1/n 한다는데 이게 무슨말이냐? [8] 임갤러(14.57) 03.29 157 0
107479 재임용 도전한다는 새끼들 치고 성공한 새끼 한명도 못봄 [4] 임갤러(14.57) 03.29 93 0
107477 ㄹㅇ물리면 교육학은 유기해도 됨? [1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9 241 1
107476 성과급 S등급 받았다 [1] 임갤러(223.39) 03.29 232 3
뉴스 '1박 2일' 딘딘, 미담 대방출에 진짜 속내 고백 "'1박 2일'에서의 내 모습? 내가 생각해도 이상"   디시트렌드 03.29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