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우크라이나 대기근이 소련과 스탈린의 학살인가?

라틴아메리카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1.30 01:38:05
조회 242 추천 14 댓글 4

“기근에는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첫째, 뱟까(現 키로프 일대 - 주) 북부에서도 마주쳤던 여름의 반(半)건조성 기후대는 1932년 당시 소비에트 연방의 남부 지역 전역에 걸쳐 흉작을 야기했다. 둘째, 집산화를 둘러싼 투쟁은 작황을 혼란하게 만들었다. 집산화는 관료적 규범에 바탕을 둔 질서정연한 과정이 아니었다. 집산화는 당의 지원으로 빈농들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었다. 빈농들은 "쿨락"의 토지를 몰수하는 데에 혈안이 되어 있었지만, 집단농장에 기초한 경제를 운영하는 데에 있어서는 별다른 열의를 보이지 않았다. 당은 1930년 무렵부터 일찍이 실수를 밝혀내고 과오를 정정하기 위해 당원들을 파견했다. (...) 1933년의 강우량은 시의적절했다. 당은 꼴호즈의 운영을 돕기 위해 엄격한 기준을 바탕으로 선별된 당원들을 농촌에 파견했다. 당원들은 성공했다. 1933년의 풍작 이후 농촌의 상황은 경이로운 속도로 급격하게 개선됐다.“


Tottle, Douglas. Fraud, Famine, and Fascism. Toronto: Progress Books, 1987, p. 102


사실 러우전쟁 전부터 우크라이나 대기근에 대해선 볼셰비키의 학살이네, 소련의 학살이네, 스탈린의 학살이네 하는 주장들이 즐비했다. 이 주장의 핵심은 잔혹한 소련 공산당이 우크라이나인들을 의도적으로 말살하기 위해 학살을 자행했다는 것이고, 실제로 수백만 명이 스탈린과 소련에 의해 굶어 죽었으며, 현재 러시아는 이에 대해 반성하지 않는다는 결론에 근거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니며, 의도적으로 반소 및 반러 감정을 부추기기 위해 만들어 놓은 레파토리다. 사실 우크라이나 대기근은 공산당이나 스탈린의 학살이라고 하기에 무리가 많은 점이 있다. 그것이 뭔지 알아보고자 한다.


홀로도모르가 조직적인 학살이 아니라고 보는 입장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기근이 일어날 당시 우크라이나측의 기후를 보면 생산력에 영향이 생길 정도로 좋지 않았다는 점

2. 부농과 소작농의 계급투쟁이었다는 점

3. 이 기근이 비단 우크라이나에서만 일어나는 기근이 아니었다는 점


무엇보다 세간에 잘못알려진 사실이 있다면, 소련 공산당과 스탈린이 구제정책을 하지 않았다는 것과 곡물 징발을 기근 도중에도 강도를 높였다는 식의 주장이다. 우크라이나 대기근 당시 소련 정부가 기근 도중에도 곡물징발을 멈추지 않았던 것은 사실이지만 스탈린의 지도부는 기근에 대응하고 곡물 수출을 줄이고 모자라는 곡물을 수입해서 기근 지역에 보내는 등 기근에 대비하는 모습을 보였다. 최소한 소련 공산당은 기근을 의식했으며, 일각에서 주장하는 것 처럼 의도적으로 학살하려고 벌이지는 않았다. 홀로도모르 문제를 집중적으로 연구한 역사학자이자 농업 학자인 마크 타우거(Mark Tauger)는 소련 정부는 소량의 곡물들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구를 먹여 살리기 위해 식량을 끊임없이 배포했으며, 소련 전역이 식량 부족에 실질적으로 직면했고, 곡물 수매량과 배분량에 대한 정보가 의심의 여지 없이 정확했다는 사실에 미루어볼 때, 당대의 소련이 명실상부하게도 극심한 식량 부족에 부딪혔기 때문에, 기근의 가장 큰 요인은 바로 1931년과 1932년의 흉작에 있었다.고 논문에서 밝혔다.(Mark Tauger. 「Natural Disaster and Human Actions in the Soviet Famine of 1931-1933 Pittsburgh: University of Pittsburgh」, 2001, p. 5)


그 외에도 타우거 교수는 2017년에 출간된 앤 애플바움(Anne Applebaum)의 저서 『붉은 기근: 스탈린의 우크라이나 전쟁 1921~1933(Red Famine: Stalin's War On Ukraine, 1921~1933)』에 대한 반박 서평을 실은 적이 있다. 타우거 교수는 애플바움은 1930년대 초반의 식량부족 사태가 "이전보다 많은 곡물을 생산하려는 농민들의 동기를 총체적으로 무너뜨린" 식량 부족 사태의 근본적인 원인이 정부의 곡물 수매에 있었다고 주장하며, 하지만 이후에는 1930년의 수확량이 1929년의 숫자보다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았다고도 말했지만, 애플바움의 말대로, 농민들의 동기가 "완전히 일소"됐다면 이와 같은 일이 어떻게 일어날 수 있었겠냐고 반문했다. 그리고 애플바움은 또한 1929~1930년 당시 소련의 기근 구제책에 대해서도 논하지만, 흉년과 기근에 대한 구제가 농민들에게 동기를 마련해준 경위를 염두에 두지 않았으며, 단지 1928~29년 곡물 위기 도중에 소련 지도부의 상당수가 우크라이나 민족주의를 위험요소로 지목했고, 우크라이나의 민족주의 계열 조직들에 대한 약식재판을 열며, 농민들의 저항이 민족주의와 연계될 조짐을 보이기 시작했다는 사실만 의도적으로 강조했음을 지적했다.(Mark Tauger, 「Review of Anne Applebaum's "Red Famine: Stalin's War on Ukraine」, 2018.07.01)


또한 타우거 교수는 우크라이나 농민들이 소련의 집산화로 굶주렸다고 주장하는 역사학자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기도 했다.


이런 연구들은 낮은 수확에 영향을 준 환경적 요인과, 기근과 흉작의 지속적 회복, 1930년대 당시의 대규모 수확, 이 시기의 소련 농장의 기계화, 소련인구 증가, 소련 시대의 식량생산과 소비의 장기간 증가 등을 축소하거나 실제 수확자료를 무시한다.(홀로도모르 사기: 일어나지도 않았던 이오시프 스탈린의 범죄(번역) http://mlkorea.org/v3/?p=10477&fbclid=IwAR299Mw4JN5PBVU_faYy2_W1tSvsJQkz9zlUtW6T-fnTrery0_2tbNDqhqE%7C )


서방에 알려진 홀로도모르의 자료들은 조작된 것들도 상당히 많다. 캐나다 역사학자인 더글라스 토틀은 『사기, 기근 그리고 파시즘: 우크라이나 학살 신화 히틀러에서 하버드까지(Fraud, Famine, and Fascism: The Ukrainian Genocide Myth from Hitler to Harvard)』라는 책에서 1987년에 나온 우크라이나 대기근 관련 영화인 <절망의 추수>에서 사용된 사진들이 1921년에서 1922년 볼가 기근(Volga Famine) 당시의 사진이라는 사실과 사진이 1932년에서 1933년 기근을 보여주기 위해 이용되었다는 사실을 밝혔으며, 더글라스 토틀에 따르면 억만장자인 윌리엄 랜돌프 허스트는 1934년 여름에 나치 독일의 총통인 아돌프 히틀러를 만나 독일이 허스트 소유의 인터내셔널 뉴스 서비스(International News Service)사의 국제 뉴스를 구매하겠다는 계약을 맺었으며, 당시 나치 출판물은 우크라이나 대기근에 대한 흑색선전을 시작했다고 한다. 이런 식으로 기근에 대한 다른 비슷한 기사가 허스트사에 의도적으로 실렸다고 한다.


우크라이나에서 600만 혹은 700만 명이 아사했다는 서구의 주장 및 수치는 사실 1차 출처가 나치들이다. 마리오 소사가 쓴 『진실이 밝혀지다』라는 책을 보면, 600만 명이 소련에서 아사했다고 주장한 1차 출처는 나치독일의 선전장관인 요제프 괴벨스였다. 나치는 기본적으로 반볼셰비즘과 반공주의를 바탕으로 한 인물로, 우크라이나 대기근에 대해 악의적인 선전을 했는데, 그 주장이 미국이나 영국에서 아무런 비판없이 사용되었다는 것이 마리오 소사의 주장이다. 아래 마리오 소사의 책 서평을 썼던 국내 프레시안 기사를 한번 보도록 하자.


나치가 찾아낸 협력자는 윌리엄 랜돌프 허스트(William Randolph Hearst)였다. 허스트는 황색저널리즘을 마케팅전략으로 이용해 25개의 일간신문, 24개의 주간신문, 12개의 라디오방송국, 2개의 국제뉴스 통신사 등을 소유하게 된 언론계의 거물이었다. 허스트가 발행하는 신문의 구독자는 미국에서만 4000만 명에 달했다. 미국 성인의 3분의 1이 허스트의 신문을 읽고 있었다. 1934년 극렬한 보수반공주의자였던 그는 독일로 가서 히틀러를 만나게 된다. 이후 허스트는 자신의 언론을 통해 친독일성 향의 선전 기사를 대대적으로 보도한다. 독일로부터 받은 뉴스기사는 소련에서의 대량학살, 살육 등으로 채워진 기사들 일색이었다. 이때 만들어진 괴담이 우크라이나 괴담이었다. 1935년 2월 18일 <시카고 아메리칸(Chicago American)>지 1면 머리기사로 소련에서 600만 명이 굶어 죽었다는 기사가 실렸다. 이후 허스트는 독일이 요구하는 선전물을 자신의 언론 제국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퍼뜨린다.(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45981?fbclid=IwAR0qXXXS4_ua8l2p9Wp99BU4eSXvPQ7P8N-HEqF0o9q-G7gGrX88hM4Jovo)



또한 우크라이나 대기근으로 700만 명이 사망했다는 주장의 출처도 니콜라스 프리초드코(Nicolas Prychodko)라는 인물인데, 독소전쟁 당시 나치가 키예프를 점령하자 임명한 문화 교육 장관이었다. 1933년 미국인 기자 프레드릭 비첼(Frederick Birchall)은 400만 명 이상 죽었다고 했는데, 그는 그 당시 베를린에 있었고 히틀러 정권을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최초의 미국인 기자이기도 했으며, 몇년 전에 개봉한 영화 <미스터 존스>의 주인공 가레스 존스 또한 히틀러와 괴벨스하고 각별한 사이었던 친나치 성향의 기자였다.


우크라이나에서 기근이 발생한 가장 결정적인 이유에는 쿨락들의 의도적인 사보타주도 컸다. 루도 마르텐스가 쓴 스딸린 바로 보기의 내용을 한번 보도록 하자.


1932―1933년의 우끄라이나 기근은 네 가지 원인이 있었다.


‘그들의 반대파(꿀락)는 그들의 소와 말들을 집단소유로 하기보다는 차라리 도살하는 방식을 초기에 취했다. 그 결과 쏘비에뜨 농업은 통탄할 만한 타격을 받았는데, 왜냐하면 대다수의 소와 말들을 꿀락들이 소유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1928년과 1933년 사이에, 쏘련에서 말의 수가 거의 3,000만 두에서 1,500만 두 이하로, 뿔 달린 소의 숫자는 7,000만 두(젖소 3,100만 두 포함)에서 3,800만 두(젖소 2,000만 두 포함)로; 양과 염소는 1억 4,700만 두에서 5,000만 두로, 돼지는 2,000만 두에서 1,200만 두로 감소했다. 쏘비에트의 농촌 경제는 1941년 무렵까지 이러한 치명적인 손실에서 회복되지 못했다.’


‘... 몇몇은[꿀락들은] 관리를 살해했고, 집단농장의 재산에 불을 질렀으며, 심지어 그들 자신의 수확물과 종자까지 불태웠다. 보다 많은 이들이 파종과 수확을 거부했는데, 이들은 아마도 당국이 양보를 하거나 어차피 그들을 먹여 살릴 것이라는 가정 아래 이런 행동을 하였다.’


‘그 여파로 1932-1933년에 “우끄라이나 기근”이 닥쳤다.... 독일에서는 나찌 출판물에 그리고 미국에서는 허스트 출판물에 등장한, 대부분 허구인 무시무시한 서술에는, 1921년 볼가 지방에서 촬영된 것으로 밝혀진 사진이 종종 예시된다. .... 일본에서의 전쟁에 대한 두려움에 의해 명백하게 야기된, 1932년 봄의 특별 징발로 인해 종자와 수확물의 급격한 감소에도 불구하고, “기근”은 그 후반기에는 식량 부족으로 인한 결과가 아니었다. 희생자의 대부분은 자신들의 농장에 파종을 거부하거나 자신들의 수확물을 불태운 꿀락들이었다.’


이러한 목격자의 진술이, 우끄라이나 민족주의 운동의 지도자이자, 1918년 뻬뜨리우라(Petliura) 하에서 수상을 지냈던 이삭 마제파(Issac Mazepa)가 쓴 1934년 기사에서 증명되었다는 점은 흥미롭다. 그는 우끄라이나에서 우익이 1930-1932년 동안 농업 분야에서 광범위한 파괴행위에 성공했다는 사실을 떠벌렸다.


‘처음에는, 꼴호즈들에 대한 방해공작이 자행되었고 공산당 관리들이나 그들의 대리자들이 살해당했으나, 나중에는 볼셰비끼의 파종과 수확 계획을 조직적으로 좌절시키는 데 목표를 두는 소극적인 저항 방식이 선호되었다.... 1932년의 대재앙은 쏘비에뜨 우끄라이나가 1921-1922년의 기근 이래로 직면해야 했던 가장 혹독한 재난이었다. 가을과 봄의 파종 운동은 모두 실패로 끝났다. 전체 농지에 파종이 안 되었고, 게다가 농작물을 수확할 때, ... 많은 지역에서 특히 남부지방에서 20%, 40%, 심지어 50%가 토지에 그대로 방치되었고, 그리고 전혀 수집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탈곡도 제대로 되지 않았다.’


두 번째 기근의 이유는, 1930년, 1931년, 1932년에 우끄라이나 특정 지방에 닥친 가뭄 때문이었다. 하버드에서 우끄라이나의 우익 노선을 옹호하는 제임스 E. 메이스 교수에게는 그것은 쏘련 정권이 꾸며낸 이야기였다. 그러나 민족주의자들 스스로가 ‘우끄라이나의 선구적인 역사가’로서 묘사한 미하일로 흐루셰프스키(Mykhailo Hrushevsky)는, 그의 책 ≪우크라이나의 역사≫에서 1932년 상황을 서술하면서, ‘혼란스러운 농업 상황에 또 다시 가뭄까지 겹쳤다.’라고 말했다. 하버드의 러시아 연구소에서 강의를 했던 니콜라스 리아스노프스키(Nicholas Riasnovsky) 교수는 1931년과 1932년에 가뭄이 있었다고 썼다. 내전기간 동안 볼셰비끼에 대항해 싸웠던 미카엘 플로린스키(Michael Florinsky) 교수는 이렇게 적었다. ‘1930년 1931년의, 특히 우끄라이나에서 심각한 가뭄은 농업상태를 악화시켰고 기근에 가까운 환경을 만들었다.’


기근의 세 번째 요인은, 우끄라이나와 북 코카서스를 황폐화시킨 장티푸스 전염병이었다. 세계적 명성의 도시 계획가이자 캐나다 훈장을 받은 한스 블루멘펠드 박사(Dr. Hans Blumenfeld)는 기근 시기에 우끄라이나 마카예프카(Makayevka)에서 건축가로 일했다. 그는 이렇게 적었다.


‘기근으로 많은 희생자가 생겼다는 것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나에게는 그들의 숫자를 추정할 방법은 없다.... 아마도 1933년의 대부분의 죽음은 발진티푸스, 장티푸스, 이질 등의 전염병 때문이었다. 마카예프카에서 수인성 질병은 흔한 것이었다: 나는 티푸스 열병에 걸려 간신히 살아남았다.’


기근 동안 1500만 명의 말도 안 되는 수치 ― 1932년 2,500만 명의 우끄라이나인구 중 60% ― 를 제시했던 인물인 호슬리 그랜트(Horsley Grant)는 그와 동시에 이렇게 적었다. ‘발진티푸스 전염병의 절정은 기근과 일치했다.... 이 두 가지 중에 어느 것이 죽음을 야기하는 더 큰 원인이 되었는지 구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네 번째 기근의 원인은, 농업의 재편성 과정과, 경제적 및 사회적 관계에서의 근본적인 대격변에서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무질서였다: 빈곤한 농민들과 일부 관리들의 경험부족, 즉흥적이고 혼란스러운 지시들, 준비부족, 좌익 급진주의.(http://www.lodong.org/board/board.html?mtype=view&page=3&bid=3&num=290&seq=1436&replynum=290&shownum=288&key=&searchword=&fbclid=IwAR1eYeERWLGlxeb7cLnMtGmlRnU892yps60an9m28vpKW-hV-TpdtzAZuGU%7C)


따라서 1932년에서 1933년에 일어난 기근은 소련이나 스탈린의 의도적인 학살로 인한 것이 아니었다. 복합적인 이유들이 작용했으며, 그 중 가장 큰 이유는 우크라이나측 쿨락이 의도적으로 사보타주 및 테러 행위를 광범위하게 한 탓이 크다. 기근이 일어나자, 세간에 알려진 것과는 달리 스탈린 정부는 자신들 나름의 구제정책을 펼쳤으며, 기근으로 인한 사망자의 숫자는 나치와 우크라이나 나치 협력자들에 의해 부풀려졌다. 소련 연방 해체 이후 소위 분리된 우크라이나에서는 자칭 반데라주의자들이 이러한 홀로도모르 신화 및 사기극을 퍼뜨렸으며, 현재까지도 우크라이나에서는 이것이 마치 소련과 스탈린 그리고 러시아에 의한 의도적인 우크라이나인 학살로 포장하고 있는 중이며, 캐나다를 포함한 서방 국가들도 홀로도모르가 학살이라는 잘못된 판단을 내리고 있는 셈이다.

추천 비추천

14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114 공지 러시아-우크라이나 갤러리 이용 안내 [91] 운영자 22.02.24 29388 65
758312 일반 러시아군이 50만 죽은게 패배의 증거임 ㅇㅇ(223.62) 22:30 22 2
758311 일반 경향신문 수준 [1] 마블빠돌이(211.235) 22:29 23 0
758310 일반 세계는 지금에 우크라 국경대원 하는말 봤냐 ㅇㅇ(110.9) 22:24 29 1
758309 일반 중국때문에 의문사당한것이 틀림없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 29 0
758308 일반 러뽕 새끼들이 러세갤로 튄 것 자체가 러시아 패배의 증거 [2] ㅇㅎ(175.223) 22:00 30 1
758307 일반 젤렌스키 때문에 우크라이나 공무원들 짜증날듯 ㅇㅇ(118.235) 21:50 31 3
758306 일반 키예프 포위했을 때 안 싸우고 항복 받아내려고 했던 푸틴 [2] ㅇㅎ(175.223) 21:49 42 0
758305 일반 여기 혹시 문재앙 지지자 나모씨라고 있다던데? 사사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48 20 1
758304 일반 푸틴은 지금쯤 미국 지원 끊겼을 때 총공격 안 한거 후회하겠지 [1] ㅇㅎ(175.223) 21:43 43 0
758303 일반 반중 새끼들은 테무 안 쓰냐 [1] ㅇㅎ(175.223) 21:38 32 0
758302 일반 [항모 아이젠하워 피격] 왜 동영상이 두 개였는지 확인됐네요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38 78 2
758301 일반 "미, 하마스 지도부에 '카타르서 내쫓겠다' 휴전 압박" [2] ㅇㅇ(125.143) 21:20 52 0
758300 일반 폴란드에 카진스키 성 가진 사람들 많냐 케말파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 25 0
758298 일반 러시아는 카진스키 석방을 위해 한 일이 아무것도 없다 [4] 케말파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39 67 0
758297 일반 국정원 직원들 사실보면 배나온 아저씨 아줌마임 [1] 러갤러(118.235) 20:30 96 2
758296 일반 영국 IFG "차기 정권 공공 서비스 붕괴 직면…지난 총선보다 악화" ㅇㅇ(125.143) 20:30 52 0
758295 일반 유럽국들이 북한에 대사관 다시 열려고 발광중인데 ㅇㅇ(175.223) 20:29 54 3
758294 일반 바이든, 젤렌스키에 “사과합니다” ㅇㅇ(125.143) 20:24 66 0
758293 일반 궁금한데 러시아 때문에 세계단일정부 뉴월드오더 신세계질서 가 늦춰지는거 러갤러(118.235) 20:24 50 0
758292 일반 '사고 투성이' 보잉 여객기, 이번엔 이륙 직후 불꽃 튀며 '활활' [1] ㅇㅇ(125.143) 20:16 54 1
758291 일반 이 영상 영도하니, 한 스트리머가 울먹거렸다. ㅎㅎ Hospitall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 63 1
758290 일반 北 오물 대응에도 3개 탈북민단체 또 전단 살포…"또 보낼 것" [4] ㅇㅇ(125.143) 20:10 101 3
758289 일반 대부분의 자료들과 학자들이 2040~2050년에 지구 망한다고 하고 케말파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6 57 0
758288 일반 美 싱크탱크 “미 해군, 中에 전투함 숫자 밀려…韓,日 조선소 도움 받아 [2] ㅇㅇ(125.143) 19:59 93 1
758287 일반 [속보] 이스라엘군 “가자지구서 인질 4명 구출” ㅇㅇ(125.143) 19:58 43 0
758286 일반 러시아 공식 전사자 1500만명임 [1] 케말파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58 65 1
758285 일반 객관적으로 러시아 전사자는 7만 죽었다고 본다 ㅇㅇ(118.235) 19:54 50 0
758284 일반 러시아 총 동원 숫자가 30만인데 ㅇㅇ(58.140) 19:50 65 1
758283 일반 영국이 대영제국이라면서 왜 베르사유같은 유럽왕실문화는 프랑스가 유명함? 러갤러(221.152) 19:46 21 0
758282 일반 군첩들 푸틴이 교전비 몇 대 일이라고 했다고 환호하는 거야?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44 75 3
758281 일반 러시아 총 동원 숫자가 50만이 안되는데 ㅇㅇ(58.140) 19:42 51 0
758280 일반 러시아 한국을 포함한 5개국과 곧 직항 재개한다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39 102 4
758279 일반 러시아군 사망자는 최소 50만 이상이야 당연한거지 ㅇㅇ(223.62) 19:34 67 4
758278 일반 아시아 최강군대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27 77 1
758276 일반 죽음을 부르는 우크라이나의 승합차 tono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25 59 1
758275 일반 미국이라는 나라가 세계에 미치는 악영향 [1] 케말파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24 51 0
758274 일반 군주제는 불량하다. 마블빠돌이(112.165) 19:21 38 0
758272 일반 세계단일정부 수립직전에 일어날일들 ㄷㄷㄷㄷ 러갤러(118.235) 19:18 59 0
758271 일반 미국이 제일 좆된 이유(트로이목마) 미정걀(125.138) 19:16 87 1
758270 일반 석열이 세워놓고 뒷에서 개지랄 하는 병신들아 러갤러(49.246) 19:16 39 0
758269 일반 러시아군 전사자 15만명 맞네 [13] ㅇㅇ(222.118) 19:03 132 0
758268 일반 서비스업이 미국경제의 70% 차지 [2] ㅇㅇㅇ(218.238) 19:02 95 0
758267 일반 저출산으로 나라 망한거 아님 ㅇㅇ(118.235) 18:59 44 0
758266 일반 이란대선에 강경파 릴레이 출사표 ㅇㅇㅇ(218.238) 18:54 59 0
758265 정보 3500만명이면 많이 죽은거냐? [8] oo(115.23) 18:23 97 2
758264 일반 저출산으로 나라안망함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23 52 0
758263 일반 20년 안에 불법화 될 발언 한번 해봄 [1] 케말파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8 76 3
758262 일반 홍해 안쪽에서 일주일째 방황하는 항공모함 아이젠하워 (?)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7 132 5
758261 일반 북풍 공작? ㅇㅇ(58.140) 18:05 50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