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뜩 '메이플 스토리'의 '5000 플마단'를 본 이후, 메이플의 '전투력 5000만±'이 돌죽의 '스코어 5000만±'를 연상케해서 관련 내용을 작성함.
물론 메이플은 사실상 P2W(Pay to Win) 게임이고, 돌죽은 그냥 난도가 높아서 그렇다는 차이가 있다.

















돌죽에서의 클리어 기록의 대부분은 스코어가 1억 미만인데, 특히 메테오란 종족이 삭제된 이후로는 스코어가 5천만 이상인 기록도 상당히 드물다.
'안정판 토너먼트(기간이 대략 2주정도로 한정되어 있다)'의 경우, 여러 요소가 재차 밸런싱된 0.31 버전부터는 스코어가 전부 1억 미만에 머물고 있다.
( 0.31 버전 , 0.32 버전 )
필자는 안정판 토너먼트에서는 물론이고, 트렁크 버전에서조차 아직 스코어가 5천만을 넘은 적도 없는데, 언제쯤이면 스코어 5천만을 넘겨보려나...
https://crawl.akrasiac.org/scoring/players/sasameki.html
'스코어링'에는 약간의 개념적인 차이가 있는데, 예를 들자면 '풍래의 시렌6'에는 '스코어'라는 개념이 따로 없고, '턴수'와 '플레이 시간'만 있다.
시렌6에서 스파춘이 제공하는 통계 관련 자료의 경우, 자신의 기록뿐만이 아닌 타인의 기록까지 포함한 통계 관련 공개 정보는 해당 던전의 클리어 성공 비율정도다.
참고로 시렌 유저들이 운영하는 사설 스코어 집계 사이트에서는 1층 시작부터 99층에서의 탈출 클리어까지의 '플레이 시간'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시렌6은 오픈 소스가 아니기 때문에, 당연히 일반적인 유저가 공식 데이터 베이스의 기록을 열람할 수가 없고,
해당 사설 사이트의 집계 방식마저도 사이트에다가 해당 클리어 동영상을 업로드해야 하는 간접적인 집계 방식이다.
(해당 사이트의 링크 예시 : '초・신수(超・神髄)' )
참고로 시렌6에서 스코어러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던전이 바로 '초 신수(超・神髄)'다.
아래의 예시 링크는 인형탈 유튜버(버튜버)치고는 드물게 비교적 호기롭게 도전했다가 장시간 플레이여서인지 집중력 저하로 안일사해서 스트리밍 도중 빡종한 부분이다.
풍래의 시렌6 '초・신수(超・神髄)' 안일사 예시 ( 葉山舞鈴 / Ohayama Ch. )


이 사람도 이후에 41000턴 미만(재생 목록 묶음)으로 클리어했다.
아래 예시는 '타임 어택' 초고수('턴 어택' 관점에서도 14717턴 이하 클리어는 흔하지 않은 수준이다.)의 사례다.
해당 유튜브 동영상에서의 15초부터 시작.
반면에 돌죽의 스코어를 결정하는 요소로는 '조트의 오브를 수집했는지의 여부', '수집한 룬의 개수', '턴(Turn)수', '수집한 젬의 개수'가 있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rlike&no=466203
크롤위키 스코어 문서
아래는 14룬 클리어에 대한 대략적인 스코어 예시 비교군이다.
상위권에 젬 수집 기록이 없을 정도로 구 버전인 것이 특징이다.

https://dcss-stats.com/search?filter=End_is_Escaped_and&filter=Runes_%3D_14_and&filter=Turns_%3C%3D_25000
아래는 젬이 수집된 비교군을 제외한, 15룬 클리어의 대략적인 스코어.
상위권 종족이 죄다 메테오란인 것이 특징이다.

https://dcss-stats.com/search?filter=End_is_Escaped_and&filter=Runes_%3E%3D_15_and&filter=Gems_%3C%3D_0_and&filter=Turns_%3C%3D_25000
여기서 각각의 스코어 19000대의 사례를 비교해보면, '룬 1개만큼의 수집 차이'가 스코어에서 상당히 격차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스코어링이 최우선 목표라면, '올 룬' 클리어가 기본이 되는 셈이다.
얼핏 보면 당연한 듯한 내용을 따로 설명하냐면, '룬 수집'과 비교해서 '젬 수집'이 스코어러들에게 대략 어느정도의 효용성를 보이는가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다.
수집한 젬이 1개당 스코어 +10만을 고정적으로 가산시키는 것과는 달리,
턴 카운트 관련 스코어 계산 방식은 그 수가 1에 가까운만큼 스코어가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듯한 형식이며,
때문에 '수집한 젬의 개수가 11개(올 젬)인 상태에서 클리어 스코어 8천만 이상을 달성'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까운 듯하다.
아래 동영상은 Sapher의 0.33 트렁크 버전에서의 '스코어 1억 초과 클리어( 12779턴 )'까지에 대한 동영상의 끝부분이다.
스코어가 1억을 초과했는데 수집한 젬의 상태가 8젬도 아니고 5젬!?

https://crawl.akrasiac.org/scoring/players/sapher.html
젬과 턴수에 관련한 추가적인 비교 분석은 다음 편에서 계속.
댓글 영역
그러는게 좋지
차트안에 있음 그러는게좋지 ㅇㅇ
최근에 노래나온거면 그걸로 가는게 ㅇㅇ
타갤주곡 좀 지난 노래 듣고있는데 안되겠네ㅠ ㄱㅅ
ㄴ그럼 최근거랑 같이 가져가면 되지 ㅋㅋㅋ 근데 차트100안에 없는거면 굳이 상관없을 듯
상관ㄴㄴ
로갤러는 갤러리에서 권장하는 비회원 전용
갤닉네임입니다. (삭제 시 닉네임 등록 가능)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