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먼트뉴스 정원욱 기자] 체질량지수(BMI)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대장암 위험을 낮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김현정 교수와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박선자·김재현 교수 공동 연구팀은 이 같은 내용을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최신호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2004~2006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1,033만여 명을 대상으로 10년 동안 체질량지수 변화와 대장암 발생률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대규모 연구다. 연구 결과, BMI가 20% 이상 증가한 남성은 BMI가 5% 미만 증가한 남성보다 대장암 발생 위험이 27%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세 미만 남성 중 BMI가 20% 이상 증가한 경우 대장암 발생 위험은 무려 65%까지 상승했다. 반면, 여성의 경우 BMI 증가와 대장암 위험 간의 명확한 연관성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BMI가 감소한 여성에서는 대장암 발생 위험이 낮아지는 경향이 관찰됐다.
여성의 BMI 감소는 특히 40대 이상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BMI가 20% 이상 감소한 40대 이상 여성은 대장암 발생 위험이 33%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BMI가 18.5 미만인 여성에서 지나친 체중 감소는 오히려 대장암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과도한 체중 감량은 건강에 해로울 수 있음이 확인됐다.
대장암은 최근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다. 2022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대장암은 전체 암 발생 비중의 11.8%를 차지하며 갑상선암(12%)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연구팀은 대장암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고지방·고열량 중심의 서구식 식단 ▲음주 ▲흡연 ▲수면 부족 ▲스트레스 등을 지적했다.
특히 서구식 생활습관으로 인한 비만이 대장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주된 요인으로 꼽혔다.
김현정 교수는 "비만은 대장암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며, 연령과 성별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다"며 "남성은 40세 이전에 비만을 예방하고, 40세 이상 여성은 과도한 체중 증가를 피하면서 체중을 적절히 감량하는 것이 대장암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체질량지수 관리가 대장암 예방의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주며, 성별과 연령에 따른 맞춤형 건강 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댓글 영역
정말대단
죵말대단
이뻐 이뻐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