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홍보] 한국 불교인들이 흔하게 오해하는 것들 (내용 추가)

숨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1.20 12:40:02
조회 224 추천 3 댓글 1
														

한국 불교인들이 흔히 착각하는들이 있다. 나도 젊은 시절 20년 넘게 그렇게 착각해 왔고, 그걸 지금 보니 안타깝다는 생각이 든다. 요약해서 간단하게만 적겠다. 


1. 윤회사상. 

불교가 말하는 윤회사상과 힌두교가 말하는 윤회사상은 단어만 같을 뿐이지 전혀 다른 뜻이다. 한국 불교에서 불교인들이 흔히 생각하는 윤회사상은 힌두교의 윤회사상이다. 그렇게 잘못 배우고 있다. 전생이 있고 환생을 하고 이런 개념은 힌두교의 윤회이다. 그런 개념이 바탕이 되어서 전생이 죄업이 있으면 고통스런 환생을 한다고 믿고있는 거다. 그것이 힌두교의 카스트 제도의 근간이 된다. 

한국 스님들 중에서 너가 지금 현생에 고통스러운 것은 전생이 업식 때문이라고 하는 말을 자주 한다. 그거 완전 도그 소리다. 그런식으로 따지만 장애인은 전생의 죄 때문에 장애인으로 태어난거냐. 말도 안되는 소리다. 그런식의 사고방식이 바로 힌두교의 영원주의적 윤회관이다. (몸이 소멸되더라도 영원히 소멸하지 않는 뭔가(아트만)가 있어서 영원히 다시 다른 몸으로 환생한다는 윤회관)

부처가 말한 윤회는 전혀 그런게 아니다. 부처야 말로 카스트 제도롤 공개적으로 비판한 인물이고, 그것때문에 인도에서는 불교가 사랑받지 못했다. 지배자의 카스트제도를 무너뜨리는 교리였기 때문이다. 

부처가 말하는 윤회는 영원주의(Eternalism)와 염세주의(Nihilism)라는 두 가지 극단주의를 초월한 윤회의 개념이다. 굳이 단어로 표현하면 연기론적 윤회주의라고 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는 좋은 유튜브 링크이다. https://youtu.be/xAvS8Jz7ay4 


2. 염세주의

불교를 염세주의라고 흔히들 잘못 아는데, 염세주의적 윤회론이 절대 아니다. 잘못 이해하고 있는거다. 염세주의란 몸이 죽으면 모든것도 다 소멸되버린다는 개념이다. 데카르트의 기계주의적 사고방식이기도 하다. 죽고나면 어차피 아무것도 없다는 생각이다. 부처님이 말한 무아(無我, anatman) 를 염세주의로 잘못 이해하는 사람들이 있다. 아(아트만)기 없다를 무아라고 표현하는데 이것을 안아트만이라고 부른다. 그걸 나라는게 없으니 다 부질없이 염세적이다고 오해하는 사람들이 있다. "나라는게 없다"는 것은 그런 뜻이 아니다. 꽃에는 우주의 모든 것들로 가득 차 있는데 정작 꽃이라는 독립적인 본성은 비어있다는 것을 무아라고 하는거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유튜브에 아주 잘 설명되어있다. 한글 자막 켜고 보면 된다. https://youtu.be/F3XqhBigMao


3. 니까야, 금강경과 부처의 진짜 가르침 (초기불교)

안타깝게도 붓다가 직접 쓴 책은 아예 없고, 붓다가 살아 계실 동안에 제자가 받아쓴 책도 전혀 없습니다 원시 불교에서는 붓다의 말을 기록하는 것을 좋게 생각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언어를 사용해서 기록하면 오해가 생기고 변질되기 때문에 깨달은 제자들에 의해서 직접 진리가 전달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고 합니다. 현실적인 또 다른 이유는 그 당시에는 종이가 없었고 글자를 나무 조각에 기록하는게 상당히 힘든 작업이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붓다의 제자들은 붓다의 말을 보존하기 위해서 마치 노래 가사를 외우듯이 말씀을 외워서 후대에 전달해주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사람들의 기억이 사람들마다 달라지는 문제가 생기자, 이 때 까지라도 기억하고 있는 노래가사들을 나무조각에 기록을 하는 작업을 하였습니다. 즉, 붓다의 사후 약 454 년 후에 쓰여진 팔리어로 된 경전인 팔리어 대장경 (Pali Canonxiv)이 가장 빠른 경전입니다xv. 팔리 대장경 안에는 숫따 삐따까 (Sutta Piṭakaxvi)가 있습니다. 숫따 삐따까 안에는 디가 니까야 (Dīgha Nikāyaxvii), 맛지마 니까야 (Majjhima Nikāyaxviii ), 상윳따 니까야 (Saṃyutta Nikāyaxix ), 앙굿따라 니까야 (Aṅguttara Nikāyaxx) 가 있습니다. 이 네가지 니까야들이 그나마 붓다가 한 말에 가장 근접할 것이라는데에 학계가 전반적으로 동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니까야 조차도 붓다의 직접적인 가르침은 아닙니다. Hajime Nakamura 는 "붓다가 직접 한 말을 적은 기록은 어디에도 없다 xxiv "고 말합니다. 니까야 조차도 스리랑카의 네번째 불교 원로회 (Fourth Buddhist Council)에서 집필하였습니다. 이 네 번째 원로회는 붓다의 사후 100 년에 견해대립으로 상좌부와 대중부로 쪼개진 이후에 또 다시 한참의 세월이 지난 시점의 원로회입니다. 따라서 니까야 조차도 이미 사람들의 해석과 견해대립이 가미된 경전이라고 보아야 합니다. 그러므로 니까야를 읽을 때도 맹목적으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과연 붓다의 진짜 가르침이 무엇이었을까를 궁금해하며 큰 그림을 보려고 하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한편, 대승불교에서 경전으로 삼고 있는 금강경은 붓다가 직접 말씀한 가르침이 아닙니다. 금강경의 저자와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대충 2~5 세기쯤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xxv. 금강경의 가장 오래된 필사본은 기원후 868 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4. 생각을 끊는다는 것

명상, 알아차림 훈련에 대해서 흔히들 잘못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생각을 끊는다, 평화에 대해서 생각한다, 평화를 느낀다와 같은 것을 명상이라고 알고 있는데 잘못 알고 있는거다. 생각을 끊는게 명상이 아니다. 명상의 핵심은 지금 이순간의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순응함이다. 구체적으로는 호흡에 집중을 하는 것이다. 호흡에 집중하는 훈련이 순응하는 힘을 키워주기 때문이다. 이런 훈련을 호흡 명상법이라고 부른다. 명상은 수십가지의 다양한 명상법이 있는데, 그중 가장 중요하고 기초적이며 초심자들이 제일 먼저 시작해야하는것이 바로 호흡 명상법이다.


위의 모든 것들에 관해서 자세한 내용은 내가 쓴 책에 있으니 관심있으면 읽어보기를 권한다. 


[종이책]

[이북]

[무료 PDF (판매용과 동일)]

[영문판 아마존]

[영문판 무료 PDF (판매용과 동일)]


추천 비추천

3

고정닉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3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5949 공지 🐑🍀🍀🍄🍄 명상 갤러리 규정 🍄🍄🍀🍀🐌 [1] 숨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3 247 0
5237 공지 명상갤 뉴비를 위한 가이드 입니다 [4] 숨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4 1020 5
7215 명상 책사서 스캔뜸. 열심히 읽어야지 [1] 자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2 21 0
7214 명상 오늘도 존2 했슴당 [2] 페코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47 16 0
7213 명상 어제 경 하다가 [3] HJ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8 35 0
7212 명상 유한 속에 갇힌 무한한 존재 아라써밥상차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42 23 0
7209 명상 현재에 끊임없이 집중하는 것도 명상에 포함 됨? [9] ㅇㅇ(121.180) 05.29 90 2
7208 명상 호흡시 날숨은 코로 하냐 입으로 하냐 [1] 명갤러(27.120) 05.29 54 0
7207 명상 행복해지는 법 [2] HJ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98 4
7206 운동 마그네슘 비타민 최근사건 [2] 자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95 1
7205 운동 로잉머신 수시로 하고있다 자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42 0
7202 명상 감사일기도 근황임당 [4] 페코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64 4
7201 명상 존2 트레이닝 오늘부터 시작임당! [5] 페코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53 2
7199 명상 명상 전자책을 냈습니다. [3] pechenegs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146 5
7197 운동 이번주 건강기록 [6] 자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79 3
7196 명상 이쁜 사진들 자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69 2
7191 명상 후천지기를 강조하는 이유 [16] 명갤러(122.44) 05.28 166 1
7189 명상 마음수련? 빼기 명상 아시는 분 [3] ㅇㅇ(211.219) 05.27 89 0
7188 명상 헬스장에 계단 오르는 머신이 있던데 그걸로 존2 해도 되겠죠? [11] 페코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91 0
7187 명상 서울 근처 1박2일 명상할곳 있나요? [4] ㅇㅇ(211.219) 05.27 93 0
7186 명상 HJY님 추가 질문이에요 ( 결정에 대한 모순 ) [4] 선택과집중(58.127) 05.27 95 4
7185 명상 HJY님 마음을 낸다는게 관심을 갖는 다는 건가요 [1] 선택과집중(58.127) 05.27 62 3
7184 상좌부 아신 빤냐난다 사야도 초청 집중수행 자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53 2
7183 명상 명상을 배워보고싶은데 국선도 괜찮나요? [1] 명상123(211.234) 05.27 98 0
7182 명상 님들 혹시 자기전에 명상하시나요? [4] 이1하2윤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98 0
7181 명상 며칠이 지나도 숙취가 안깨서 큰일이다 [7] 자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106 0
7176 명상 천도재(薦度齋) 명갤러(122.44) 05.27 59 0
7175 명상 야간 주행 라이브 [2] HJ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78 3
7174 명상 지금 sbs 보셈 알어차림 명상 나옴 [2] 유니버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99 1
7172 명상 오늘 중요하지 않은 일을 걱정하는 걸 알아차렸는데 [8] 페코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149 3
7170 명상 명상을 알게 되고 매우 용감해졌습니다. [2] 명갤러(180.229) 05.26 126 1
7169 명상 리걸 마인드 명갤러(122.44) 05.26 57 0
7168 명상 정백허심(精白虛心) 명갤러(122.44) 05.26 46 0
7167 명상 약식동원藥食同源 명갤러(122.44) 05.26 49 0
7166 명상 명상방법에 대해 여쭤봅니다!! [5] 명갤러(119.71) 05.26 112 0
7165 명상 날숨은 코로 하는게 좋음? 입으로 하는게 좋음? [5] ㅇㅇ(121.180) 05.26 131 0
7164 명상 뭣도 모르고 유튜브 따라하다 병신됨 [3] ㅇㅇ(182.216) 05.25 197 0
7163 명상 이삿짐 도착했어요 [8] 자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125 3
7162 명상 김주환 교수님 영상 보다보니까 책을 거의 이해 못 했다는 걸 알았어요 [16] 페코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202 0
7161 명상 허리아프면 양반다리 굳이 안 하고 의자 앉는게 더 좋나요 [3] 철근비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93 0
7160 명상 명상을 해서 평온을 손에 넣는것도 있는데 [4] 명손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122 0
7159 명상 욕망을 다스리지 않은 채로 감각을 열어 둔 채로 [8] 선갤러(106.102) 05.25 94 0
7158 명상 디시는 일상 글이 좋네요. [2] 명갤러(122.44) 05.25 114 4
7157 명상 예지몽은 카이사르 일화에 잘 나옵니다. 명갤러(122.44) 05.25 93 1
7156 명상 역사적으로 후천지기만 알아도 일가를 이룹니다. 명갤러(122.44) 05.25 81 0
7155 명상 一家 명갤러(122.44) 05.25 46 0
7153 명상 악화의 시작 [9] 아라써밥상차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135 1
7152 명상 여러분은 디시에 본인이 쓴 글댓글 보면 부끄럽나요? [4] 명손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06 0
7151 명상 엄청난 심적 고통이 에고를 파괴한다 [3] 명갤러(172.226) 05.24 96 1
7150 명상 명상 마인드해킹 [1] 명갤러(183.106) 05.24 103 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