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ℹ️정보] 美경제 제재가 유발한 北인권 문제는 왜 침묵하나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2.08 12:23:46
조회 37 추천 1 댓글 0
														

viewimage.php?id=21b8d52febcb37b360b8d1ba19d5&no=24b0d769e1d32ca73cec82fa11d02831da48f5f7e7e334e6e7e5eac8fad462f2fb70e97bb57f3723fc2e1672048efc26fb75a85eab9f1afa94aa1360a00bd8d36954a36e90ad5c2c42eb


[정욱식 칼럼] '제재' 아닌 '공감'이 핵문제 해결의 첩경


경제 제재에는 지독한 역설이 존재한다. 먼저 제재는 핵무기를 비롯한 대량파괴무기(WMD) 저지를 주된 목표로 삼지만 정작 제재 자체가 WMD보다 더 큰 인도적 참사를 야기해왔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이라크다. 1990~91년 1차 걸프전 직후부터 2003년 사담 후세인이 축출될 때까지 12년 간 가혹한 경제 제재를 받았던 이라크에서는 매달 5000~6000명의 어린이를 포함해 약 300만 명 안팎의 무고한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WMD 개발에 전용될 수 있다는 이유로 이라크가 필수 의약품을 비롯해 생필품 상당 부분을 수입할 수 없었던 것이 주된 요인이었다.

300만 명의 사망자는 역대 모든 WMD로 인한 사망자 숫자보다 훨씬 많은 것이었다. 이를 두고 미국의 정치학자들인 존 뮬러(John Mueller)와 칼 뮬러(Karl Mueller)는 "진정한 대량파괴무기는 바로 경제제재"라고 일갈하기도 했다.

두 번째 역설은 인도적 참사에도 불구하고 제재를 문제시하는 목소리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핵무기의 가공할 살상 능력에 대한 경각심에 압도된 나머지, 정작 인도적 참사를 야기해온 제재에 대해서는 너무나도 둔감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보통의 상식과 양심을 가진 사람이라면 고문이 나쁘다는 것을 인정한다. 그런데 제재는 '집단이 집단에 가하는 고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경제·보건·위생상의 고통을 가하면서 '잘못을 인정하라. 그리고 두 번 다시 잘못하지 않겠다고 약속하고 실천하라. 그러면 살려주겠다'는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제재로 인해 고통받는 사람들은 정책 결정과 무관한, 그래서 무고한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재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보단 제재가 필요하고 정당하다는 목소리가 압도적으로 더 높은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다.


세 번째 역설은 제재를 부과하는 주된 국가들이 다름 아닌 핵무기 보유국들이라는 점이다. 제재 부과 주체는 개별 국가가 되기도 하지만 갈수록 선호되고 있는 방식은 역시 유엔 안보리를 통해서이다. 그런데 안보리에서 사실상 제재 권한을 갖고 있는 상임이사국들은 5대 핵보유국들이기도 하다. 이들 가운데에는 유일하게 핵무기를 사용해본 나라도 있다.


이는 제재의 정당성뿐만 아니라 흔히 말하는 효과와도 직결되는 문제이다. 어떤 나라가 핵을 만든다는 이유로 제재를 가하는 나라가 바로 그 핵을 갖고 있다면, 제재를 받는 쪽에선 당연히 부당하고 억울하다는 생각을 가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제재를 받는 나라는 굴복하기보다는 저항하고 버티기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대북 제재의 문제 역시 마찬가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나는 지난주 미국을 방문해 국무부 관리들을 두루 만났다. 그들은 제재를 통한 압박이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불러낸 힘이었다고 철석같이 믿고 있었다. 이러한 믿음은 "대북 제재를 계속 가하면 결국 비핵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는 낙관론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도 거듭 확인할 수 있었다. 답답하고 안타까운 심정으로 그들에게 이런 얘기를 들려주었다.


"제재는 일종의 고문입니다. 고문을 당하는 사람이 부당하다고 느낄 때 고통을 감수하면서 저항하는 걸 종종 볼 수 있죠. 북한은 핵무기를 만든다는 이유로 제재를 받아왔죠. 그런데 제재를 가하는 나라들은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들인데, 5개국 모두 핵보유국들입니다. 북한이 제재를 부당하다고 여길 수밖에 없는 이유죠.


그래서 제재가 효과를 보려면 제재를 완화하고 해제하는 게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김정은에게 비핵화가 강요된 굴욕이 아니라 명예로운 선택이 될 수 있도록 말입니다"


북한이 제재 해제를 원하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이는 제재 때문에 대화에 나왔다거나 핵을 포기할 것이라는 믿음과는 전혀 다른 차원의 문제이다. 고문을 받는 사람이 고문이 중단되기를 간절히 원하지만, 그 고문에 결단코 굴복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 이치인 것이다.


지금까지 대북 제재는 두 가지 맥락에서 이뤄져 왔다. 하나는 '당근'으로 불려온 설득이다. 북한이 핵을 포기하면 제재를 풀어줄 수 있다는 것이다. 또 하나는 '채찍'으로 불려온 강압이다. 핵을 포기하지 않으면 더 심각한 고통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는 게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의 한계는 분명하다.


하여 새로운 접근이 절실히 요구된다. 그것은 바로 '공감'이다. 굳이 심리학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상대방의 언행을 바꿀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바로 '공감'이라는 데에는 이론의 여지가 거의 없다. 그런데 유독 북한을 상대로는 이와 같은 검증된 방식을 외면해왔다. 비핵화에 실패해온 가장 본질적인 요인이기도 하다.


이는 거꾸로 비핵화로 가는 첩경이 제재 완화·해제를 통한 북한과의 공감 형성에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33981



- 민주,인권,평화.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1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3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31 공지 이인영갤 추천도서 목록 ver.1.0 [1] 윤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1.17 114 6
394 공지 [건의게시판] 윤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9 10 0
306 공지 [統하겠~소] 나무위키 읽기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4 103 2
333 공지 북핵책임론에 대한 김대중의 대답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31 77 3
332 공지 개성공단에 대한 오해와 진실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31 46 3
168 공지 말머리에 사용한 이모티콘 출처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26 576 5
194 공지 참고하면 좋은 언론사/유튜브 채널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04 146 1
93 공지 이인영 통일부 장관과의 대화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03 113 5
79 공지 이인영 마이너 갤러리 관리방침 (일부개정) [6]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1.24 271 3
78 공지 이인영 통일부 장관 관련 링크모음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1.24 118 3
76 공지 갤 대문 이미지 출처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1.24 77 0
399 🚷어그 .. 윤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5 13 0
80 일반 [건의게시판]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1.24 91 0
393 일반 부매니저(파딱) 임명했습니다 윤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9 23 0
392 ℹ️정 도쿄전력의 삼중수소 '반감기 10일' 발언에 대해 윤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8 694 7
391 ℹ️정 일본 정부는 왜 오염수를 방류하려하고 오염수에는 무엇이 들어있는가? 윤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5 320 0
390 일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침묵하는 국민의힘과 윤석열정부, 규탄한다! 윤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5 56 0
383 🤵갤주 [갤주전언] 우리는 무엇을 한 것인가? 윤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3 43 0
382 🤵갤주 [갤주전언] 문제는 가치의 복원이지 패권의 재편이 아니다 윤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29 0
381 일반 한 번씩들 읽어봐주십사, 인사조직 전문가 최동석 교수님 페이스북 글 윤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3 39 0
380 일반 갤주 당대표 신임 얘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윤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2 29 0
379 일반 6월 지방선거는... 윤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28 29 0
377 일반 이인영 마이너 갤러리는 검수완박을 지지합니다. 윤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3 37 1
376 일반 안녕하세요, 박영훈갤러리에 놀러와주셔서 감사합니다. [1] 발밤발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85 1
375 일반 대북 선제공격(타격)은 불법이며 침략행위이자 전쟁범죄 윤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46 0
374 🤵갤주 머리가 하얗게 새버린 갤주님ㅠㅠ 윤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59 0
372 일반 원내 진보야당 국회의원실 후원금이 모자라대요 윤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4 53 0
371 🤝통일 이재명 대선후보에게 드리는 한 내재적 접근론자의 애정어린 비판 [13]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2 259 0
339 ℹ️정 참여정부 대북정책 비판 [1]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12 172 1
338 ℹ️정 이준석 국민의힘 신임대표의 대북관 [1]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11 119 0
337 ℹ️정 문제는 북한이 아니고 한나라당이다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11 72 2
334 ☮️평 北, 80년만에 ‘북 주도 혁명통일론’ 폐기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01 67 1
331 ☮️평 한미정상회담 공동성명에 '싱가포르 합의'가 포함된 의미는...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30 70 1
330 ℹ️정 [2021 DMZ 포럼] 경기평화선언문 채택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3 198 1
328 ☮️평 美하원, 한반도 평화법 발의…종전선언 등 내용 담겨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1 69 1
326 ℹ️정 문재인·바이든 공동선언에 '판문점 선언 존중' 포함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1 75 1
325 ☮️평 미 고위당국자, “한반도 전체에 핵이 없는 환경 추구”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1 108 1
324 ☮️평 이재명 “개성공단 정상운영 남북 합의 지켜져야”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1 76 1
322 ☮️평 '바이든 대북정책, 오바마 아니라 클린턴 정부를 복기해야'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9 86 1
320 ℹ️정 바이든정부 싱가포르 선언 존중한다는데…왜 북-미대화 힘든가요?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9 58 1
317 일반 대북송금특검의 본질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02 64 1
313 ☮️평 4.27판문점선언 3주년...무엇을 어떻게 기념하나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7 108 1
312 ℹ️정 [4.27 남북정상회담 3주년 특집] 2030 통일을 이야기하다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7 75 1
311 ☮️평 4.27 판문점 선언 3주년 기념식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7 68 1
307 ☮️평 유라시아 허브를 비추는 햇볕 [2]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4 174 1
305 일반 미국 하원 외교위, 북미 이산가족 상봉 결의안 가결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2 70 0
304 ℹ️정 [리더스 칼럼] 개성공단의 역사와 사회ㆍ경제적 의미와 가치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1 62 1
303 ℹ️정 개성공단업체, 연평균 이익 11%, 고정자산 26% 증가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1 72 1
302 ℹ️정 개성공단이 북한 퍼주기?... '5% 주고 95% 퍼오기'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1 57 1
301 ℹ️정 '美 대북전단법 청문회'의 실체 평화민주개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16 74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