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간단하게 한국애니 정보를 얻는 E가지 방법 ① (한애니감상편)

SV-001/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08.19 17:05:27
조회 6546 추천 17 댓글 10


작년에 소꿈 국회에서 상영회 했을때 가서 어떤 갤러분 우연히 만나서 한애갤에 한애니 정보 얻는법에 대해서 올려야겠다고 말했던 적이 있는데 결국 지금까지 지키질 못했습니다.

그런데 요 며칠 사이에 올라온 글이랑 댓글들 보니 문득 그게 떠올라서 더 이상 늦기 전에 고기 잡는 법 정도는 내려놓고 가야겠다 싶어 적습니다.





1. 개요

한국애니메이션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지가 벌써 5년째가 됩니다. 2006년말에는 그냥 이 작품이 좋다+호기심그런 정도였는데 세월이 지나고 보니 어느새 몇몇 감독님들하고도 면식이 있을 정도가 되어 버렸습니다. 그렇다고는 해도 사실 뭔가를 정말로 '안다'고 말하려면 최소 10년은 해야 하지 않나 하고 생각하는 편이었는데 아직 5년밖에 안된 주제에 굳이 이 글을 쓰려 한 이유는, 이제까지는 저도 파닥파닥에 나오는 고등어처럼 열심히 노력하면 주변에 넙치들이 보고 자기도 파닥거리려고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열심히 해왔던 것이지만 요 며칠간 한애갤에 올라온 글 때문에 오히려 그런 걸로 인해 사람들이 고등어를 따라가고 싶어하는 게 아니라 고등어를 두려워하기 시작 어쩌고…


… 는 개뿔 길어지면 안읽는게 디시의 특성이니 그냥 본론부터 쓰겠슴다.



방법(1) : 한애니를 본다

이게 어떻게 말하면 참 쉬운데 어떻게 말하면 X나 어려운겁니다. 만약에 교수님이 저에게 금속의 기계가공에 관한 동영상을 찾아보시오 라고 과제를 내 주셨다면? 교수님이야 그 분야에서 몇십년씩 해오신 분이니 어디에서 무슨 키워드로 어떻게 찾으면 무엇이 나올 것이라는 걸 정확히 알고 계시겠지만 이제 학부생 나부랭이인 저는 결코 그렇지 않다는 겁니다. 아마 이런 맥락이랑 비슷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자, 그렇다면 왜 한애니 정보를 얻고 싶은건데 작품을 봐야 하는 걸까요? 어떤 책에서 이런 구절을 본 적 있습니다. '알면 사랑하게 된다'. 원래 기독교 쪽에서 많이 쓰는 말 같던데 아무튼 저는 조류학 관련 책에서 본 겁니다. 어떤 대상에 대해서, 진실로 깊숙한 곳까지 잘 알기 위해서는 대상을 사랑해야(드라마나 영화, 가요 같은 데서 이야기하는 남녀간 사랑하고는 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한다고 보는데, 그러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중에 하나가 대상에 대해서 아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이것저것 작품을 접하다 보면 그 중에서 마음에 드는 게 한두 개 쯤은 있게 마련이고, 그런 마음에 드는 작품에 대해서 좀 더 알고 싶어서 이것저것 파고들어가다 보면 어느 새 어느 정도 소양은 갖출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viewimage.php?id=radio_actor&no=29bcc427b78b77a16fb3dab004c86b6fec826cf59ba4837f84269a17c8d920080f65e9850112132a6728bf3204a7757d77f7c1aa2caff85b35dd7501c4caf6031adc73e9ccdd327eeed422497bceeae2&f_no=a05308aa0103b55792ee98bf06d6

viewimage.php?id=radio_actor&no=29bcc427b78b77a16fb3dab004c86b6fec826cf59ba4837f84269a17c8d920080f65e9850112132a6728bf3204a7757d2fa3c1ad7df5f85d35dd7501c4caf6030960ffc0d941fffedcbca977896200e9


집에 오는 종이신문에서 가져온 편성표입니다. 신문 그런거 안본다면 그냥 인터넷에 쳐도 간단히 볼 수 있습니다. 이미 알아채셨겠지만 형광펜으로 칠한 부분이 한애니입니다.

지금 세상은 지상파에서 애니메이션을 안하고 있다는 식으로 말들 많이 하고 있는 것 같던데 안타깝게도 저렇게 조용히 방영중입니다. 그래서 다들 잘 모르는 것 뿐입니다.

애니전문채널이 없는건 기분탓… 이 아니고 그냥 저희집에 케이블이나 위성 같은 게 안나옵니다.(그래서 저는 관심이 없습니다. 잘 모르기도 하고…) 게다가 애니전문채널이 하도 많아서 일일히 올리기도 귀찮고… 그리고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케이블 애니전문채널에서 신작을 지상파보다 먼저, 내지는 단독방영하는 일이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기억나는건 재능TV의 또봇 정도?) 거의 사실상 지상파에서 먼저 방영한 애니들을 가져다가 방영하는 식입니다. 그래서 한국의 신작애니들을 가장 먼저 접하려면 지상파 방영 애니들에 주목하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대충 방송사별로 애니방영 가능성이 농후한 시간대를 적어보자면

EBS
평일 07시~10시, 16시~19시 30분
토, 일요일 07시~11시 30분

KBS1
평일 10시 55분 (TV동화 행복한 세상)
토요일 14시~15시

※그외 때때로 프로그램 중간중간에 '이어령의 80초 생각나누기'가 방영중입니다

KBS2
평일 15시 35분~ 17시 30붅
토요일 07시 35분~08시 10분 (원래 편성표상에는 07시 40분부터인데 약간 변칙적 편성의 성격이 있어서 실제 시작시간이 좀 이를 때도 있습니다.)

SBS
평일 15시 55분~16시 30분

※SBS는 방송사들중 정시성이 가장 개떡같아서 편성표에 나온 시간 5분전에 TV틀어서도 이미 본편이 방영중인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하세요.

MBC
월~목 16시 30분~17시



대충 이정도입니다. KBS, SBS, MBC는 이 시간에 TV 틀면 애니는 거의 100% 한국애니라고 보시면 되고 EBS는 외국애니도 많이 해주기 때문에 좀 조사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가끔씩 한애니인데 한애니가 아닌것같은 작품도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사실 이 시간에 본방을 볼 수 있는 사람은 여기에도 거의 없을 겁니다.

왜냐면 이 시간은 대부분의 사람이 일을 하고, 대부분의 학생이 공부를 하는, 업무특성상 일과가 보통사람의 반대이거나 완전 상 백수인 특수한 상황이 아니면 거의 접하기 힘든 시간인 것입니다. 다행히도 EBS와 KBS의 토요일 시간대는 어느 정도 노력하면 볼 수 있지만…

그러면 이젠 어떻게 보느냐?



ⓞ. 본방사수

이건 뭐 따질 것도 없죠. 하지만 방송사들 시간대 때문에 대부분이 불가능하다는게 함정.


① 방송사 다시보기 서비스

기반이 없는 상태에서 작품을 접하는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EBS, KBS, SBS, MBC 모두 애니메이션 다시보기를 제공중입니다. 그 중 KBS만 무료로 볼 수 있고 나머지는 유료로 봐야 합니다. 1화당 600원인가 700원인가 그럴겁니다.0

참고로 방송사 다시보기를 이용하려면 반드시 각 방송사 홈페이지에 회원가입이 되어 있어야만 합니다. (애초에 다시보기도 로그인 상태에서만 볼 수 있습니다.) 즉 우리는 4개의 아이디를 새로 만들어야 한다 그말입니다.


다시보기를 찾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프로그램 이름으로 검색을 해보는 것입니다.

viewimage.php?id=radio_actor&no=29bcc427b78b77a16fb3dab004c86b6fec826cf59ba4837f84269a17c8d920080f65e9850112132a6728bf3204a7757d27afc0ff2cfaa65b35dd737bb9b08d03fc4ebf5f541b8f363ec7adacab254091e62875ae8c&f_no=a6653cad261ab369b633105d58db343a


이렇게 말이죠. 검색결과를 통해서 프로그램의 공홈으로 바로 직행할 수 있습니다.

viewimage.php?id=radio_actor&no=29bcc427b78b77a16fb3dab004c86b6fec826cf59ba4837f84269a17c8d920080f65e9850112132a6728bf3204a7757d27a196fd79aeac5d35dd737bb9b08d037559370ce8e60f42b5e6fdde2d96bbbcffb1eb3ecc70&f_no=a6653cad261ab369b633105d449f2e2de4


이렇게 공홈이 나옵니다.

사실 방송사 공홈을 통해서 들어가는 방법도 있긴 하나 이편은 처음 하는 사람들에겐 좀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다음 기회에…

옆 메뉴에 다시보기를 클릭하면 각 화별 메뉴가 나옵니다. 보고 싶은 회차와 화질을 선택하고 결제하면 됩니다.

참고로 EBS는 재방이 잦은 편이고, 재방할 때마다 재방한 편수를 다시보기로 올려놓기 때문에 처음 보시는 분은 왜 이렇게 편수가 많나 하고 헷갈려하실수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EBS가 유일하게 운영을 잘못하고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시보기 목록에 나와 있는 제목들을 자세히 살펴보다 보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걸 볼 수 있는데 그 반복되는 주기의 맨 처음이 1화고 맨 마지막이 마지막화입니다.


viewimage.php?id=radio_actor&no=29bcc427b78b77a16fb3dab004c86b6fec826cf59ba4837f84269a17c8d920080f65e9850112132a6728bf3204a7757d27a0c3ff2cf5fb0d35dd7378c5b0f703b8a7c1ce6ff9686e2e034cb196eeee6ee5713602d7&f_no=a67039ac373eb275bb32237858db343a


viewimage.php?id=korea_ani&no=29bcc427b78b77a16fb3dab004c86b6fec826cf59bab837f8c268319ded52e08cf36f35912f8b3160a0c7cfef6f279e945fb6e8f0a6082191ee47a2b0ddef054fb689967f0bab7459b9af1286b74cc75a05c7cc97341ef&f_no=069fe3aa1806b44587350e659d22e073f4692e


KBS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단 KBS는 유일하게 모든 다시보기가 무료이기 때문에 가입만 되어 있으면 쉽사리 볼 수 있습니다. 단 화질, 음질은 가장 안좋은편인듯 합니다. (역시 공짜…) 그래도 KBS애니가 볼만한 작품들이 많다는 게 나은 점일 겁니다.

KBS는 작품 홈페이지 말고도 K 라는 서비스를 통해서 다시보기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화면크기만 좀 크다 뿐이지 화질, 음질은 똑같습니다.


viewimage.php?id=radio_actor&no=29bcc427b78b77a16fb3dab004c86b6fec826cf59ba4837f84269a17c8d920080f65e9850112132a6728bf3204a7757d21f595ff7df8a60b35dd7201c0c9fa03cece2882157dcba53f46e1998ff1f6a3&f_no=a15714aa3f266a2cbd7f98bf06d6


SBS는 어떤 애니는 다시보기가 있고 어떤 애니는 다시보기가 없고 하기 때문에 주의를 요합니다. 이를테면 안녕 자두야나 SBS애니갤러리 같은 경우는 다시보기가 없습니다.

앞에 약 3분 정도를 무료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맛보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viewimage.php?id=radio_actor&no=29bcc427b78b77a16fb3dab004c86b6fec826cf59ba4837f84269a17c8d920080f65e9850112132a6728bf3204a7757d22f3cea87ef5ae0635dd7200b6b1fe03a4037e1d98255266fb18b3f7dd463e7fdc6b1175bc70cf8c429ba5f0d49a30c5a0&f_no=a14a20ad180eb45bba3321759d08ddb135c424d85e0b

MBC는 개별 작품 홈페이지 자체가 없고 그냥 MBC만화마당이라는 식으로 통합 운영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레이아웃 그런 걸 봐도 얼마나 애니에 신경을 안 쓰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방영이 이미 끝난 작품은 '지난 만화 정보' 를 클릭하면 다시보기 가능합니다.



② TV 수신카드 사용



다시보기로 볼 수 있다고는 해도 일일히 결제하기 귀찮거나, 주머니사정이 여의치 않거나, 지뢰작에 호갱님이 되고 싶지 않다던가 하는 이유로 다시보기를 원치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고, KBS같은 경우는 방영 직후에 다시보기가 올라오지 않기 때문에 작품을 접하는 속도의 문제에서도 다시보기가 불편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본방사수가 가능한데 어느 날만 부득이한 사정으로 본방을 못 보게 되었다던가…

그럴 때 이용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TV수신카드입니다. TV수신카드는 이런 면에서는 예전 TV프로그램 녹화를 위해 자주 사용되었던 VCR의 대용품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방법은 그저 TV수신카드를 사용해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녹화한 뒤 나중에 컴퓨터로 녹화한 파일을 돌려보는 것입니다.

참고로 저작권법을 보면

<LABEL for=Y003000>제30조(사적이용을 위한 복제)</LABEL> 공표된 저작물을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아니하고 개인적으로 이용하거나 가정 및 이에 준하는 한정된 범위 안에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이용자는 이를 복제할 수 있다. 다만, 공중의 사용에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된 복사기기에 의한 복제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VCR이든, TV수신카드던 방송프로그램을 녹화해서 혼자서 보고 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이 아닙니다.

다만 그걸 녹화해서 여러 사람을 보여줬다던가, 아프리카에서 방송했다던가, 인코딩해서 공개 웹하드나 토렌트 같은 데 올렸다던가 했을 때 법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설령 이 글을 보고 정말 TV수신카드를 구하게 되더라도 그런 일은 하지 않으셨으면 하는 바람이긴 한데, 제가 인터넷에 스크린샷 올리고 하는 것도 파고들어가면 문제 소지가 있는 거라서 스스로 뭐라고 할 처지는 안되는 것 같네요.

그냥 알아서 잘 처신하시라고만 말하겠습니다.




TV수신카드에 관한 사항은 성우갤러리의 키르노라는 사람이 잘 정리해 놨으니 이걸 참고하도록 합시다.

https://gall.dcinside.com/list.php?id=radio_actor&no=64404
https://gall.dcinside.com/list.php?id=radio_actor&no=64406
https://gall.dcinside.com/list.php?id=radio_actor&no=64455
https://gall.dcinside.com/list.php?id=radio_actor&no=64601
https://gall.dcinside.com/list.php?id=radio_actor&no=65001
https://gall.dcinside.com/list.php?id=radio_actor&no=67616


어차피 단순 녹화-다시보기 용도로 쓸 거라면 구형제품 중고라도 크게 상관 없습니다. 제가 지금 쓰고 있는 것도 2008년쯤에 아는 분께 5,000원에 헐값으로 산 겁니다. 다만 반드시 HD 방송과 예약녹화를 지원해야 합니다. 특히 예약녹화는 엄청 중요합니다. 그것이 한애갤러에게 있어서 TV수신카드의 존재 이유입니다.


③ IPTV 사용

이부분은 제가 IPTV를 안쓰기 때문에 모르겠습니다 ㅠㅠㅠㅠㅠㅠ


④ 극장판애니의 경우: 극장가서 본다

viewimage.php?id=radio_actor&no=29bcc427b78b77a16fb3dab004c86b6fec826cf59ba4837f84269a17c8d920080f65e9850112132a6728bf3204a7757d2ff495a22afaff0735dd7378b6b0f6030a6a5d0396c0fff1ebbf701eff788a&f_no=a67a38ad072ab4539af1dca511

극장용으로 개봉하는 애니메이션을 극장가서 본다는 건 TVA를 본방사수한다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단, 한 가지 알아두셔야 할 점은 한애니는 무조건 개봉 1주차(목요일 개봉이라고 치면 목, 금, 토, 일 단 나흘) 안에는 꼭 보셔야 한다는 겁니다.

애시당초에 상영관 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개봉 직후에 보는 것조차도 쉬운 일이 아니지만, 그나마도 지나가버리면 극장에서 보는 것은 영영 기회가 없을 수 있습니다.

경험 한가지 얘기해 드릴까요?

2007년 천년여우 여우비와 로보트 태권V가 비슷한 시기에 개봉했을때 저는 여우비가 신작이니까 더 보기 쉬울거라고 생각하고 태권V를 선택했습니다.

저는 지금 후회하고 있습니다. 여우비는 나중에 DVD로 보긴 했지만 솔직히 극장에서 보는 거랑 집에서 보는 거랑 차이가 적지 않습니다.

만약 지금이라면 둘 다 개봉직후에 봤을겁니다.


한국애니는 항상 '지금이 아니면 안돼' 임을 명심해야 합니다.




⑤ DVD/BD를 사서 본다

viewimage.php?id=radio_actor&no=29bcc427b78b77a16fb3dab004c86b6fec826cf59ba4837f84269a17c8d920080f65e9850112132a6728bf3204a7757d2eae96a370fcf85c35dd707bb2c9fe03e369882ce39ed41c9dc7b3b750a1ed07c5f7485cbedeb432502dd8e5bee02ca09e&f_no=a76e10ad2c26b273a23410519a2fe1b7c9d275f57c25


장금이의 꿈처럼 다시보기로 보기에는 그 퀄리티가 아깝다던가, 고스트메신저처럼 애초에 OVA로 나왔다던가 한다면 DVD구매를 해야 합니다.

이런 영상매체는 특성상 특전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마니아라면 나름 매력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DVD 역시 작품 이름으로 쇼핑몰 같은 곳에서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다만 발매된 지 수 년 이상 된 작품은 구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그럴 때는 중고 DVD나 대여용 DVD 판매상 같은 곳을 가보셔서 이러저리 뒤져보시다 보면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전 하얀마음 백구 DVD가 있다는 걸 거기서 처음 알았습니다.

(중고나라 같은 중고품 전문 거래 사이트같은데도 가끔 매물이 올라옵니다.)


⑥ 유료다운을 이용한다

viewimage.php?id=radio_actor&no=29bcc427b78b77a16fb3dab004c86b6fec826cf59ba4837f84269a17c8d920080f65e9850112132a6728bf3204a7757d25a4c6ac7efda70e35dd7301c7ca8d0362d962410db1bf075a1d482b13039466c4dfb51049&f_no=a6520caa1c27b34daa332c6158db343a


돼지의 왕처럼 근시일내에 DVD발매계획이 없는 작품이나 극장에서 놓친 경우에는 유료다운로드를 사용해서 볼 수 있습니다. (위 사이트는 '인디플러그' http://www.indieplug.net/ 라는 독립영화 전용 다운로드 사이트입니다.)

금액은 경우마다 차이가 있지만 보통 편당 3,500원 정도 하던 걸로 기억합니다.



⑦ 영화제에 참석한다

애니메이션을 상영하는 영화제에서도 한애니를 볼 수 있습니다. 보통 이런 경우에는 상업애니보다는 독립애니쪽을 더 쉽게 접할 수가 있게 됩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서울의 SICAF와 인디애니페스트, 부천의 PISAF 같은 축제에서 애니메이션 영화나 단편 애니메이션을 볼 수 있고 그 외에 부산국제영화제, 전주국제영화제 같은, 실사영화가 중심인 영화제에서도 애니메이션 영화를 상영하기도 합니다.

때로는 소중한 날의 꿈처럼 개봉 전의 작품이 영화제를 통해서 먼저 공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독립단편애니의 경우는 특성상 영화제를 통해서 먼저 대중에게 공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독립단편애니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영화제를 주목합시다.


⑧ 독립애니의 경우: 독립애니 관련 상영회에 참석한다

저는 한국애니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라면 유아용이든 성인용이든, 독립애니든 상업애니든 가리지 않고 다 보는게 좋지 않겠나 생각하긴 하지만 여러분이 그러실 필요는 없습니다. 상업애니에서 볼 수 없는 색다른 재미를 받기도 하지만 간혹 이해하기 어려운 작품도 있고 그러니깐요. 집에서 독립애니를 가장 쉽게 접하는 방법은 현재 SBS에서 방영중인 SBS 애니갤러리를 보는 것인데, 이것 말고도 독립애니를 상영하는 현장에 직접 가는 방법도 있습니다.

위에서 말한 인디애니페스트라던가, 작년부터 시작된 10초애니메이션페스티벌, 인디플러스(영화관 이름입니다.)의 '인디애니씨앗터' 상영회, 그외 이런저런 독립애니 정기상영회 등등… 한국독립애니메이션협회 홈페이지 (http://www.kiafa.org/) 나 커뮤니티 카페(http://cafe.naver.com/kiafa) 에 관련 정보가 올라옵니다.

참고로 독립애니메이션의 경우 길어봤자 10~15분이고 대부분은 5분 내외의 짧은 작품들이기 때문에 한번에 여러 개의 작품을 연달아 상영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각 상영별로 묶인 작품이 다르기 때문에 사전에 어떤 상영에 어떤 작품들이 방영되는지 잘 알아보고 가시는 게 좋습니다.




추천 비추천

17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공지 한국 애니메이션 관련 그림과 내용을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109] 운영자 08.07.10 26538 112
99755 티니핑 윤석열 신비아파트 이재명 신과함께 안철수 플라워링 문재인 애갤러(106.241) 06.07 22 2
99754 니네 이제 이민말고는 답없다 달려라 [7] 애갤러(106.241) 06.06 55 2
99753 알리익스프레스 근황 [2] 애갤러(106.101) 06.05 77 2
99752 요즘 중딩 헤으응 ㅇㅇ(108.181) 06.05 62 1
99751 나루타루 후유증 심하고 멘붕온다고 해서 보려고 하는데 [4] 애갤러(104.28) 06.04 66 0
99750 한국 애니가 망했으면 일본 드라마가 망했습니다 ㅋㅋㅋㅋㅋ [5] 김민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86 0
99748 근현대 오타쿠 문화 한국과 일본의 차이점 [3] 애갤러(15.235) 06.02 103 3
99747 이제 직구시작이노 나라 멸망 기대된다 [6] 애갤러(106.241) 06.01 112 3
99745 도태남도태녀 재생산과정 [3] ㅇㅇ(14.37) 05.29 122 3
99744 갤에서 쉰내 오짐 [2] ㅇㅇ(14.37) 05.29 135 2
99743 좌파는 부럽다 [1] 애갤러(106.241) 05.28 83 4
99742 일본 애니를 조선에서 만든줄 알았다는 조선인이 많은거보면 [4] 애갤러(23.150) 05.28 99 5
99740 애니라이프 닮은 사이트 없냐? 익스플로러 2 애기흙붕(125.182) 05.27 50 1
99739 애니라이프만 왜 도중에 끊김??? 다른 사이트 잘되는데 애기흙붕(125.182) 05.27 49 1
99738 애니추천 합니다 대설해의 카리나? 카이나 [1] 애기흙붕(125.182) 05.27 59 1
99736 안 본 사이에 갤 많이 이상해졌네 [4] rkdgh345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192 5
99735 디지몬 띠부씰이 50만원에 파네 ㅋㅋ [2] 애갤러(1.252) 05.26 80 1
99734 유희왕vs디지몬 [1] 애갤러(1.252) 05.26 90 2
99733 입열고 말하는거 까지 ㅋㅋㅋ 웃음벨이라서 여기를 못벗어난다 내가 [2] 애갤러(106.241) 05.25 109 5
99732 어디 사냐 물어보니까 말해줬더니 경찰부른다는게 왤케 웃기냐 [6] 애갤러(106.241) 05.25 127 3
99731 106.241, 106.101 너네 어디사냐? [5] 애갤러(112.172) 05.25 158 7
99729 강형욱 사건도 페미들이 조작한거였노 [3] 애갤러(15.235) 05.25 124 4
99728 직구금지만으로도 차우셰스쿠 시절 루마니아 따라가는건데 뭔... [13] 애갤러(106.241) 05.25 132 4
99727 둘다 노트인데 [2] .(106.101) 05.24 95 1
99726 검정고무신 라면 할아버지 [4] ㅇㅇ(211.34) 05.24 129 0
99724 한애갤 빡대가리 삼대장 [5] 애갤러(106.101) 05.23 227 8
99723 이거 볼만함? [2] 요모츠마리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141 0
99722 느그 나라 근황 [4] 애갤러(106.101) 05.22 176 4
99721 ㅋㅋㅋ 군대도 없는 국가의 일개 당이 어떻게 독재를 하냐? [1] 애갤러(106.241) 05.22 93 2
99720 해외 직구 금지 / 구글에 찾아가서 방통위에서 책상 쾅 ㅋㅋ 애갤러(106.241) 05.22 86 2
99719 중국, 좃센은 일본 그림체 가져다 키를 키워서 비율 외계인마냥 만듬 [3] 애갤러(45.84) 05.20 152 4
99710 유사국가 수준 ㅋㅋㅋㅋㅋㅋㅋ [19] 애갤러(106.101) 05.16 296 7
99709 청강대 졸업작들은 어디서 볼 수 있는 지 아는 사람? [1] ㅇㅇ(112.152) 05.16 161 0
99708 애니배경으로 쓰면 좋을거같은 아름다운 한국배경 [3] 애갤러(106.101) 05.15 334 12
99707 솔직히 일본애니가 더 좋긴하잖아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4 271 16
99706 한국 애니가 세상에 없는데 있네 망했네를 어떻게 판단하냐 [4] 애갤러(106.241) 05.14 177 8
99703 라인을 넘긴 매국노 대통령 [5] 애갤러(185.252) 05.14 239 7
99702 아직도 2d갤로 이적안한 애들이 있네 [3] 애갤러(211.234) 05.12 244 2
99701 신문고에 글 안지우노 지우지말고 기억해라 여기오지마라 [10] 애갤러(106.241) 05.12 229 4
99700 2D애니갤에서 자꾸 여기서 분탕하는데ㅋㅋ지들이 게토에 모여사는데 어쩌라고 애갤러(106.241) 05.12 127 4
99699 레드슈즈 진짜 노잼이었어?? [3] ㅇㅇ(122.46) 05.11 237 0
99698 붕신들 긁혀서 하루에 한번 날짜 지날때 마다 비추박놐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 애갤러(106.241) 05.10 185 6
99695 유일하게 학폭해도 조용한 직업 [1] 애갤러(106.101) 05.08 327 9
99694 영포티 맞았노 ㅋㅋㅋㅋ [6] 애갤러(106.101) 05.08 312 8
99692 데스마치에서 시작되는 이세계 광상곡 이거 명작이네요 꼭 보셈 애기흙붕(125.182) 05.07 113 4
99691 디시에서 인셀 드립을 다보노 인생끝난애 글보니까 불쌍타.. [4] 애갤러(14.54) 05.07 256 8
99690 작년 전세계서 제일 많이본 프로그램 주술회전 애갤러(38.96) 05.07 117 8
99689 펨대남뿐 아니라 [3] 애갤러(112.172) 05.07 213 3
99688 은혼 원작 이거 몇화임 [1] ㅇㅇ(115.139) 05.06 203 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