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아이유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아이유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돈 안갚는 친구 참교육 ㅇ9
- 싱글벙글 한번쯤 시골에서 먹어봤던 옛날 음식들 노리유키
- 약후)한국 남자가 처음 스웨덴에 가면 생기는 일◆ 스웨덴 ?? . 후우가
- 이세가하마 투어 정리 사진편 KanYeWest
- 자꾸 보게 되는 남자 프사 특징.. jpg 동츄
- 얼탱얼탱 공무원 수백명 해고한 일론 머스크 근황 라면타도
- 일본원정기) 니가타 유자와 묘코 하쿠바 원정기 (장문주의) ㅇㅇ
- 에미츤 디너쇼 #ER我想你 후기 오오니시아구리
- 한국와서 키 8센치 컸다는 탈북자 Amsterdam
- 싱글벙글 경기도 사는 직장인의 숨막히는 출근길 수인갤러리
- 외래어 76개를 우리말로...외래어 순화를 접한 일본인들 반응 ㅇㅇ
- 싱글벙글 외국인이 바라본 한국 지역들 브픈
- 지난해 '월급쟁이'가 낸 세금 60조원 돌파…법인세만큼 커졌다 ㅇㅇ
- [금주의 신상] 2월 3주차 신제품 먹거리 모음.jpg dd
- 봉테일 혹은 봉준호 감독 필모....jpg ㅇㅇ
CRPG + JRPG 장르의 게임을 개발 중...
장르는 제목에 써 있듯이 CRPG + JRPG 임. 아니면 WRPG + JRPG?인붕이들은 이게 무슨 혼종인가 싶을텐데,이게 사실 그래픽적인 느낌이나 스토리 내러티브는 CRPG에 가깝고,캐릭터 성장 방식이나 전투 방식은 JRPG식 턴제이기 때문임.일단 제작 툴이 알만툴(쯔꾸르)이고, 기본 시스템은 장편 턴제 JRPG인데 게임 감성이나 내러티브적인 요소들이 CRPG 느낌이 나는 게임이라고 보면 됨.아래는 몇몇 스샷들...게임 중에 등장하는 이미지들...그래픽과 분위기는 위와 같은 느낌들임.이거는 게임 내 배경이 되는 세계 지도.게임 배경을 짜기에 앞서 우선 세계 지도를 그리고 이에 맞춰 지역별 설정을 넣었음.이는 배경이 되는 전체 대륙.게임 내 배경은 위 지도에서 극서쪽 부분에 해당함.일단 전체 대륙 지도는 그냥 손이 가는 대로 쓱쓱 그리되,게임 내 배경이 될 서부 지역은 유럽 배경에 맞게 형태를 짰음.우선 게임 내 배경이 중세 유럽에 가까우니, 기후 또한 실제 유럽에 가까워야 한다는 생각이었음.그래서 행성의 적도는 위 지도의 높이 1/3 정도 지점에 설정하고,지중해성 기후를 띄어야 하므로 대륙 사이즈에 가까운 두 개의 거대한 반도가 서로 마주 보는 형태로 현실의 지중해와 비슷한 내해가 형성되도록 설정.또한 각 반도와 대륙 사이에는 지역의 경계선이 될 산맥을 설정했음.산맥의 형성은 보통 판의 충돌로 지각이 융기하여 형성되는 것이니,각 반도 아래에 거대한 판이 있다고 설정.당연히 산맥이 있는 지역에서는 지진 및 화산이 자주 발생했다는 역사적인 배경을 넣어주고,북쪽 지역은 바이킹 모티브(보다 정확하게는 스카이림의 노드식 바이킹?)이므로기본적으로 북유럽에 가깝게 날씨가 춥고 혹독해야 한다는 설정.이를 위해 라르닐 북쪽 지역에는 한류가 좌우로 길게 흘러 내려온다는 설정을 잡았음.북해의 모티브를 땄으므로 유럽에서 주로 소모되는 청어가 자주 잡힌다는 설정을 잡고,북서쪽 지역에서는 남부 지방에서 올라온 난류와 한류가 만나는 조경수역이 형성되었다는 식으로 각 지역별 설정을 잡음.그런데 이런 식으로 세계관을 짜다 보니까,결과적으로 전체 대륙의 형태도 현실의 유라시아와 유사하게 만들어지는 부작용이 발생하더라.원래는 유라시아와 차별화된 형상을 만들고 싶었는데 ㅠ역사적 모티브는 몇 차례의 설정 변경이 있었음.처음에는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위그노 학살 등 여러 역사적 사건들을 다소 짬뽕하여 스토리 플롯을 짰다가,종교적 내용 및 국가간 알력 관계가 끼니까 메인 플롯이 지나치게 복잡해진다고 느껴서, 보다 단순화하였음.일단 게임 세계관 설명은 이쯤에서 마무리하고...시스템을 설명하자면 내가 몇몇 JRPG를 하면서 느꼈던 좋았던 점은 반영하고, 아쉬웠던 부분은 보충하는 식으로 시스템을 만들고자 했음.일단 내가 전반적으로 집중한 것은 '방대한 선택지'라는 것이었음.동료들은 클래스가 정해져 있긴 하지만,플레이어블 클래스의 종류를 다양하게 준비하고, 장비와 스킬을 세팅하는 것에도 어느 정도 자율성을 주고 싶었음.그래서 총 20개 가량의 클래스를 준비하되,일부 클래스는 플레이어가 장비나 스킬을 어떻게 세팅하느냐에 따라 탱커가 될 수도, 딜러가 될 수도 있는 방식으로 하였음.위 예시 클래스 중에선 전사가 대표적으로, 중갑옷과 한손둔기 + 중방패 조합으로 확고한 물리 탱커 역할을 수행하게 만들 수도 있지만,양손무기를 들게 해서 딜러 역할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는 것임.또 장비와 스킬의 종류도 다양하게 준비해 놓는 것에 신경을 많이 썼음.장비의 경우에는 내가 디아블로나 패스 오브 엑자일 같은 게임들을 하면서 재밌다고 느꼈던,장비를 얻을 때마다 내가 갖고 있는 기존 장비들과 비교하는 '장비 파밍 요소'를 반영하고자 했음.가장 최근에 엔딩을 본 JRPG가 체인드 에코즈이고,하다가 만 게임이 옥토패스 트래블러, 예전에 엔딩까지 달린 게임이 그란디아2, 파판 15 등이 있는데이 게임들 모두 장비 파밍 개념은 희박했던 것으로 기억함.여기서 고민했던 부분은,디아블로나 패스 오브 엑자일처럼 장비에 접두사 or 접미사 효과를 주느냐 마느냐였음.예를 들어서 접두사로 '날카로운'이 붙으면 명중률에 추가 효과를 준다거나 하는 방식으로,개발자 입장에서는 접두사와 접미사를 각각 몇 십개 정도 씩만 설정해놔도 무궁무진한 스탯의 장비 아이템이 등장하게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폼이 덜 들어가기도 하고.다만 최종적으로는 그냥 모든 장비의 이름 및 효과를 개별적으로 설정하기로 했음.그 이유는 바람의 나라의 '깹방', 리니지의 '집행검', 데스티니 가디언즈의 '슬리퍼 시뮬런트' 등 특정한 아이템의 이름이 그 자체로 네임드화되는 것을 바랐기 때문임.게임의 완성되었을 때 유저들끼리의 공략이 인터넷상에 정보로 돌아다닐 때,'20레벨 이전에 OOO 무기 습득하는 법'과 같이 내가 직접 이름 지은 아이템이 유저들 사이에서 거론되면 기분이 좋을 것 같았음.그래서 장비를 습득하는 레벨 시점에 따라 크게 5개의 티어로 나누고,무기는 2600개, 방어구 4500개 이상 준비를 했음.데이터는 엑셀로 따로 관리하고...다만 아이템 이름 짓는 것도 미친듯한 노가다와 시간이 필요했었음.스킬의 경우엔 800개 가량을 준비를 했는데,초기 버전에서는 각 스킬마다 장비 제한을 뒀다가 자유도를 해치는 느낌이 들어 장비 상관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바꿨음.다만 속성에 따라 참격 - 관통 - 충격 / 화염 - 냉기 - 전격 - 대지 - 바람 / 빛 - 어둠 과 같이 속성을 일단 다양하게 나누고,각 스킬마다 데미지의 기반이 되는 스탯을 다르게 하고,부여하는 상태이상과 전투 중 사용 가능한 횟수를 통해 스킬들의 차이점을 만들었음.여기서 모티브가 된 것은 고전 포켓몬스터 게임인데,각 스킬들마다 고유의 사용 횟수 제한이 있다는 것이 포켓몬에서 따온 시스템임.다만 포켓몬의 경우에는 1대1 전투이기도 하고, 렙업 노가다를 하면서 밸류가 높은 스킬 하나만 주구장창 쓰다가 다 쓰면 마을로 가서 회복하고 돌아왔던 기억이 있어서,이런 노가다 요소를 반영하고 싶지는 않아서 전투가 끝나면 스킬 사용 횟수는 전부 회복되게 만들었음.대신 전투 중에서 데미지도 좋고 소모하는 MP나 TP도 적지만 사용 횟수가 적고 명중률이 낮은 스킬.아무런 자원을 소모하진 않고 TP만 채워주는 스킬 등 스킬의 사용처를 확실하게 만들고자 했음.그리고 각 클래스마다 습득하는 스킬의 속성 및 개수에 차별점을 주는 식...평균적으로 만렙까지 4~50개 가량의 스킬을 배우고, 많이 배우는 클래스는 80개까지도 배움.그러나 전투에 사용 가능한 스킬의 수는 8~10개 가량 뿐.이 때문에 제한된 슬롯 내에서 속성 별로 딜링기를 몇 개를 챙길 건지, 유틸기를 몇 개를 챙길 건지에 따라 전투 밸런스가 달라짐.일반적으로는 고밸류 스킬은 사용 제한도 적어서, 고밸류 스킬들만 챙기면 전투가 길어질 땐 스킬을 다 써서 평타만 때리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는 것...습득한 장비에 스킬이 붙어오는 경우도 있고,플레이 타임 대비 배우는 스킬의 종류도 많은 편이라 플레이어에게 고민의 여지를 끊임없이 주고자 의도했음.알만툴 게임은 보통 타일맵 기반이라 맵들 크기가 작은 것이 보통인데,내 게임의 경우엔 캐릭터 스프라이트의 크기가 일반 알만툴 기본 사이즈 값을 벗어나기도 하고,또 이동 중에 지형에 턱턱 걸리는 느낌이 싫어서 필드 맵을 큼직큼직하게 제작하였음.캐릭터 이동 속도도 가능하면 답답하지 않게 비교적 빠른 편으로 설정했고,랜덤 인카운터 요소는 호불호가 너무 강해서 심볼 인카운터를 채택함.특정한 이벤트나 좁은 맵이 아닌 이상에야 몹들을 피해서 이동할 수 있게 했음.이런 식으로 필드 상에서 등장하는 적들의 파밍 정보도 제공받을 수 있음.다만 특정 이벤트나, 대화에 따라 강제적으로 전투가 걸리는 경우도 있음.위 예시의 폭력배만 하더라도, 잘 구슬려서 폭력배에게서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도 있고,그냥 말하는 싹퉁머리가 마음에 안 드니 줘팰 수도 있음.앞서 말했듯 등장인물들 중 사극적인 느낌의 '하오체'를 쓰는 인물들이 많기도 하고,작중 배경 지식을 설명하기 위한 텍스트가 다수 등장하는 것도 그렇고,게임의 전반적인 분위기나 감성이라고 할만한 건, JRPG보다는 오히려 CRPG나 WRPG에서 보이는 것들과 가까움.게임 자체가 플레인스케이프: 토먼트의 영향을 조금 받기도 했고.다만 지나치게 현학적인 대사는 그 자체로 게임의 진입 장벽이 될 수 있어서,메인 스토리와 관련된 텍스트와 서브 스토리적인 텍스트를 구분 지어놨음.플레이어의 선택에 관계 없이 무조건 읽어야 하는 메인 스토리 텍스트는 문학적인 표현을 중간중간 섞긴 하되, 그 내용 자체는 복잡하지 않게 작성하고.철학적이거나 현학적이고 복잡한 대사는 메인 스토리에서 벗어난,마을에서 보이는 NPC에게 말을 걸었을 때나 서브 스토리나 곁가지와 같은 텍스트들의 일부로 넣는 방식.예를 들어 바로 위의 '에른스트'라는 자는 동료로 영입 가능한 미스틱 클래스의 캐릭터인데,이 캐릭터가 속한 '미스틱'이라는 집단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관에서 모티브를 딴 세계관을 가짐.가능성 및 가능태, 현실태와 같은 감각 개념. 이런 것들...다만 이러한 내용은 대다수의 유저들에겐 뜬구름 잡는 소리 느껴질 거고,더 나아가 '그게 뭔데 씹덕아' 소리를 듣기 딱 좋으므로,메인 스토리에 직접 관여할 때가 아니라 그냥 개별적으로 뭔가를 캐묻거나 할 때나 저런 소리를 늘어놓게 했음.다만 그와 별개로 이런 식으로 텍스트로 설명을 하는 부분이 많긴 함.호불호가 강할 건 알고 있지만, 장르적 특성이라 생각하고 어차피 내가 만들고 싶은 거 만든다는 느낌으로 지금까지 개발해왔음.어차피 난 독일 철학 같은 거 좋아하는 아싸라서.하지만 게임의 본질은 메시지를 주는 게 아니라, 재미를 주는 게 우선이라 생각해서,메인 스토리에서는 오히려 무협지를 비롯해 지금까지 읽어온 장르 소설들 영향이 들어갔음.현학적인 내용들은 가능하면 곁가지로 빼두고, 메인 스토리는 무협지 읽듯이 술술 읽혀야 한다고 생각했음.문학적, 철학적 가치로 따지면 데카르트의 방법서설이 네이버 시리즈에 올라온 어떤 판타지 소설보다도 뛰어나지.하지만 철학을 좋아하는 것과는 별개로, 무협지나 판타지 소설 같은 것들이 한 번 읽기 시작하면 시간 순삭시키더라고.유저들이 내 게임을 하면서 시간이 삭제되었다고 하면 그거야말로 개발자 입장에서 좋은 거니까,양판소 취급 받는 소설들도 그 세계관 및 내러티브에 빠져들게 하는 흡입력은 절대적으로 배워야 한다고 생각했음.난 독일 철학도 좋은데 환협지, 양판소도 곧잘 읽는 혼종임.(그래서 마력을 몸에 두른다느니 뭐니 하는 표현들이랑 설정들 좀 차용했음. 이건 판타지 쪽에서는 거의 탬플릿이라 ㅋ)전투의 경우에는 사이드뷰라 하는, 오른쪽에 내 편, 왼쪽에 적 편 있는 턴제 전투임.엄밀히 말하자면 기본 알만툴 전투 시스템을 개선한 것이긴 한데.이게 파판6 시스템이랑 동일하지만 굉장히 직관적이긴 하더라고.또 내가 다키스트 던전 같은 것도 곧잘 하기도 해서 크게 안 건드렸음.다만 속성의 종류가 많은데, 포켓몬 같은 게임이야 워낙 IP가 탄탄하니까 사람들이 타입 외우고 속성 외우고, 약점 외우고 하는 거지,내 게임은 듣보잡하꼬1인개발 게임이기 때문에 유저한테 속성 외우라는 식의 숙제를 던져줄 수는 없었음.그래서 옥토패스 트래블러에서 쓰였던,적을 A라는 속성으로 공격했는데 그 속성이 약점이면 바로 그 약점이 이름 밑에 표시되게 하는 시스템을 썼음.나도 옥토패스 트래블러1 하면서 이 시스템이 되게 편했던 기억이 있어서...아무튼 이미지 50개를 다 썼으므로 인붕이가 개발 중인 게임 소개는 여기까지!
작성자 : Fallen고정닉
허은아가 공개한 이준석 카톡 캡쳐 ㅋㅋ
- 이준석의 언론유착 (feat 리얼 준석맘)허은아가 일요일 저녁 무료하지 말라고 귀한 선물을 준듯하다민사, 형사 할수 있는 모든 패는 다 써서 이제는 잠깐 숨을 돌리려나...싶었는데 내가 너무 과소평가했나 봄이준석의 언론유착 의혹 이라는 제목과 함께 카톡 3장을 함께 페북에 업로드를 하였다카톡 내용을 보면 이준석이 누군가한테 지시를 하면서 '김현정 뉴스쇼'의 진행에 꽤나 깊숙히 개입을 하는 모양새를 띈다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을 하면서카톡에 적힌 날짜로 봐선 총선을 앞둔 시점으로 이준석이 탈당하기전 탈당을 하냐 마냐, 신당을 만드냐 마냐로 시끌시끌했던 시점으로 보인다김현정이 '준석맘'으로 불리며 비판을 받았지만 여태까지 그건 일종의 밈과 비슷한 거였다. 속된말로 단순 조롱하지만 위 카톡 내용을 보면 이제는 밈을 떠나서 이정도면 정말로 '리얼 준석맘' 이었나 하는 강한 의구심이 든다문젠 김현정을 넘어서 제작진, 프로그램 자체가 이준석과 얼마나 깊은 관계, 유착으로 볼만큼 충분히 의혹을 제기할만한 수준이 되어버렸다는것저 카톡은 참 볼수록 가관이다. 1. 본인의 신당을 붐업 시키기 위해 결과가 좋은 여조를 뉴스쇼에 쏨(실제로 이 여조가 방송에 쓰임)2. 조정훈을 한껏 아래로 낮춰보는 이준석의 스탠스3. 제작진을 아래로 보는 태도4. 아침방송을 3군데 예시를 들었는데 과연 한곳만 관여를 했을까??5.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면서 컨트롤 하는듯한 모습(해당 영상을 보면 이준석의 의도대로 진행이 됨)참으로 까도까도 괴담만 퍼져나오는 화수분 같은 위인이다정치 짬밥 세월이 있으니 그 동안 얼마나 언론에 개입하면서 자기 멋대로 휘둘렀겠는가. 거기에 짝짜쿵 맞춰주는 언론의 작태 또한 한심하기가 그지없다저 카톡 3장은 전부가 아닌 지극히 일부일것이다. 허은아의 말로는 제보가 계속 들어오고 있다고 했으니 아마도 쟁여두고 있을듯우연찮게도 리얼 준석맘 김현정은 담주부터 안식년 휴가를 떠나서 3주 정도 자리를 비운다고 한다. 마치 짜맞춘듯이 타이밍이 기가 막히다뉴스쇼 제작진에겐 두가지 선택지가 있다. 모른척 그냥 버티던지 아니면 오해다, 라고 해명(?)을 하던지글쎄 이건 프로그램 자체가 흔들릴수도 있는 사안으로 보는지라 어떻게든 해명(?)은 하리라고 본다. 다만 그게 얼마나 설득력이 있을지는 의문이다윤석열이 헌재에서 숱한 개소리를 했는데 그걸 고개 끄덕이면서 받아들인 국민이 얼마나 될까아 댓글창은 이번에도 내릴려나?이준석의 배임 의혹은 언론쪽에 주로 적용이 되었는데 허은아의 이번 폭로 또한 이준석과 언론의 검은 커넥션이다이준석과 언론 사이의 연결고리가 점점 더 구체화 되어서 뚜렷해지는 모양새매번 구체적으로 의혹을 제기해 보라던 이준석의 말을 충실히 따르듯 허은아는 점점 더 구체적으로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듯하다지금쯤 자랑스런 '과방위 위원' 이준석의 전화는 불이 나고 있을텐데 즐거운 일요일 밤이 되길 빈다이번 이준석 카톡 사건을 처음으로 다룬(허은아가 페북에 올리자마자) 유튜버의 하이라이트 영상실시간 방송땐 4000여명이 넘게 함께 하였으며 생방이 끝난지 1시간 만에 라이브 영상은 조회수 2만을 넘겼다그리고 허은아 페북은 댓글 폭격을 받고 있으며 공유 또한 활발이 되고 있는 중우리 귀여운 펨코 친구들은 필사적으로 먹금을 하고 있으나 '시발 좃됐다' 의 마음의 소리가 실시간으로 들리고 있다- 허은아가 터트린내용이 이거구나 ~? 이준석 진짜 대단하다 ㅋㅋㅋ이거구나?11:32분 부터 https://youtu.be/MS_WOi26WOY?si=UVW2UqZ7BISFt1Hi- 이준석 질문사주 의혹 웃긴 점 발견 ㅋㅋㅋ1. 최초의 뉴스토마토 여조 기사 - 윤석열 신당여조가 먼저 나오고 그 밑에 이준석 신당 여조가 나옴2. 문화일보 기사 - 1의 순서대로 윤석열신당 여조- 이준석신당 여조를 그대로 실었음3. 이준석 카톡- 두 여조의 순서를 뒤바꿔서 하나의 사진 파일로 만듦4. 김현정의 뉴스쇼 방송화면- 이준석 카톡과 똑같이 순서가 뒤바뀐 상태로 하나의 그림 자료임 ㅋㅋ김현정 제작진이 이준석이 카톡방에 올린 사진을 그대로 받아서 편집해서 올린지는 몰루 ㅋㅋㅋ
작성자 : 기뉴특전대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어깨❤+
아갤러는 갤러리에서 권장하는 비회원 전용
갤닉네임입니다. (삭제 시 닉네임 등록 가능)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