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최근 방문

NEW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KIDP 울산] 한컴유비마이크로 [2] “화재, 화학사고 등 위험 현장의 안전을 개선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12.27 16:02:31
조회 137 추천 0 댓글 0
[IT동아 x 울산시 x 디자인주도 제조혁신센터] 한국디자인진흥원은 울산대학교에 ‘울산디자인주도 제조혁신센터’를 마련했습니다. 유망한 중소기업·스타트업의 디자인 경쟁력 강화를 돕는 곳입니다. IT동아는 ‘디자인주도 제조혁신지원사업’ 선정 기업을 소개하고 이들의 스케일업을 지원합니다.

[IT동아 권명관 기자]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화학물질 사고는 생명과 직결되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5년간 산업 현장에서 발생한 화학사고는 476건으로 그중 25명이 사망하고, 319명이 부상을 입었다. 또한, 유해화학물질 사고는 인명 피해뿐만 아니라 환경 오염 원인으로도 이어져 심각한 문제로 발전할 수 있다.

화학물질 안전사고로 인해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대부분의 원인은 ‘유독가스 누출’과 ‘급성중독’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안전 예방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에 한컴유비마이크로는 보이지 않는 유해가스를 감지하고 계측할 수 있는 가스 감지기를 개발하고, 산업 현장에 특화한 무선통신 기술을 적용해 모니터링할 수 있는 복합가스 감지기를 개발하고 있다.


한컴유비마이크로의 가스 감지기(좌) 및 게이트웨이(우)를 가스 산업시설 현장에 적용한 사례 / 출처=한컴유비마이크로



한컴유비마이크로의 가스 감지기의 장점은 무선 통신 기술과의 결합에 있다. 산업 현장과 같은 특수한 환경은 무선 통신 음영지역일 경우 많은데, 한컴유비마이크로는 공장지대 특화형 ‘LoRa(Long Range)’를 적용해 통신을 연결한다. 각각의 기기(가스 감지기, 게이트웨이 등)가 본연의 기능과 중계기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 음영지역에서도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한컴유비마이크로는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과 함께 지난 2021년 12월부터 올해 11월까지 약 2년간 ‘2021년도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화학물질 유·누출 사고현장 대응을 위한 피해 확산 동적예측 시스템’을 개발했다. 해당 시스템은 사람에게 유해한 화학물질 유·누출 사고로 인한 대형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화학물질/대기환경 정보를 원격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피해 확산 예측 분석 기술을 적용해 신속한 안전조치를 제공한다.

이에 IT동아가 해당 시스템을 개발 담당한 김용한 한컴유비마이크로 연구개발본부 제품개발팀 팀장(이하 김 팀장)을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김용한 한컴유비마이크로 연구개발본부 제품개발팀 팀장 / 출처=IT동아


가스 감지기와 통신을 연결,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IT동아: 화학물질 사고에 대비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들었다.

김 팀장: 화학사고 대비를 위해서다. 사람에게 유해한 화학물질이 유·누출되는 사고는 막대한 피해를 입힌다. 폭발성 가스의 경우는 어떤가. 한번 발생하면 재난적인 수준의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무색·무취의 독성 가스가 유·누출될 경우, 피해 범위와 위험 여부를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렵다. 때문에 사고 발생 시 사고를 진압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소방관이 화학사고 현장에 출동해도 어디까지 화학물질이 퍼져있는지 알 길이 막막하다.

유해 화학물질은 2차 폭발, 화재, 중독, 질식 등 추가 사고를 유발하고, 사고의 대형화로 이어질 수 있기에, 화학사고 현장대응을 위해 투입되는 인원은 사고 물질에 따라 다른 대응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산업 현장에서 가스 감지기 등 장비를 설명하고 있는 김용한 한컴유비마이크로 팀장 / 출차=한컴유비마이크로



지난 2012년 9월 27일, 경북 구미시에 발생했던 불산 누출 사고를 예로 들 수 있다. 당시 불산 저장탱크가 폭발하며 누출된 불산으로 인해 사망자 5명, 부상자 18명, 재산피해 554억 원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피해는 공장 일대의 주민과 동·식물들에도 영향을 끼쳤다.

IT동아: 아… 기억난다. 10년도 더 지난 일이지만, 당시 사고 발생 후 2차, 3차 피해로 이어져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기도 했었다.

김 팀장: 맞다. 화학사고는 그래서 무섭다. 눈에 보이지도 않고, 냄새도 나지 않는 화학물질도 다수 존재한다. 화재사고와는 다르다. 화재의 경우 최소한 눈에는 보인다. 번겨나가는 규모를 확인할 수 있고,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를 보며 추적할 수도 있다. 하지만, 화학사고는 가스 감지기나 장비에 의존해 피해 범위를 파악하고 대처해야 한다.


출처=셔터스톡



그런데, 생각만큼 쉽지 않다. 최초 사고 발생 유무도 신고를 받아야 대응할 수 있다. 사고물질, 누출량, 용기온도, 용기압력, 용기부피, 누출직경 등 모든 정보를 현장에서 수동으로 파악해야 한다. 현장의 풍향, 풍속 등에 따라 화학사고 범위도 달라진다. 화재가 동반된 사고의 경우, 인근 지역의 환경에 따라 화재 범위도 달라진다.

유해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산업지역과 주거지역이 가깝게 인접해 있을 경우, 사고 발생 지점을 중심으로 어디까지 주민을 대피시켜야 하는지도 파악해야 한다. 화학물질을 운반하는 도중 발생하는 사고는 더욱 대응하기 어렵다.


울산시는 국가산업단지와 주택단지가 밀접한 지역이 많다 / 출처=한컴유비마이크로


무색·무취 화학물질을 추적해 피해 범위를 파악합니다


IT동아: 뭔가… 어렵다는 이야기만 들으니 마음이 무겁다.

김 팀장: 그래서 개발한 것이 시스템이다. 화학사고 발생 시 가장 먼저 현장에 달려가는 소방관, 구급대원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담았다. 가장 우선해 집중한 것은 선제 대응 방법과 사고 발생 시 현장 상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었다. 화학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정보를 더 빠르고 안전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했다.

소방본부에서 요청한 내용은 화학사고 발생 시 어떤 물질이 유출됐고, 피해 범위는 어디까지이며, 현장의 환경(풍속, 풍향 등) 정보를 반영한 피해 범위 예측 등이었다. 그래야 차단선을 구축할 수 있고, 피해 예측 지역의 인명 피해를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선제 대응을 위해 유해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지역 경계에 유·누출을 확인할 수 있는 가스 감지기를 설치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도 고안했다.


가스 감지기를 설명하고 있는 김용한 한컴유비마이크로 팀장 / 출처=IT동아



IT동아: 가스 감지기를 그물망처럼 통신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적용한 것인가.

김 팀장: 맞다. 화학사고가 발생했다고 가정하자. 우선 여러 유해 화학물질을 확인할 수 있는 가스 감지기를 현장 주변에 원형으로 설치한다. 1차, 2차, 3차 등 거리를 두고 떨어진 지역에 가스 감지기를 설치하고 데이터를 취합하면, 화학물질이 어디로 어떻게 확산되는지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다. 가스 감지기에는 풍향과 풍속을 확인할 수 있는 센서도 설치했다. 해당 데이터를 바탕으로 피해 범위를 예측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서다. 이를 통해 화학물질과 주변 환경 정보를 바탕으로 피해 범위를 예측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울산대학교에서 개발했다.


유해 화학물질 유·누출 사고를 위해 한컴유비마이크로와 울산대학교에서 공동으로 개발한 시스템 / 출처=한컴유비마이크로



정리하자면, 한컴유비마이크로가 가스 감지기와 무선 통신 기술을 활용해 데이터를 수집하면,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울산대학교가 예측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아, 수집한 데이터는 LTE와 LoRa를 복합 연결, 현장 및 소방 본부에서 실기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대응했다.

사고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IT동아: 현장의 목소리를 어떻게 반영했는지 궁금하다.

김 팀장: 지난 2023년 10월, 한컴유비마이크로가 위치한 울산테크노 일반산업단지에서 울산시 소방본부 특수화학구조대와 함께 개발한 시스템을 시연했었다. 소방본부 실무자를 포함해 본부장, 소방대원, 소방대장 등이 참여한 가운데, 여러 차례 시연 행사를 진행하며 의견을 받았다. 가스 감지기의 평소 관리 방법에 대한 의견, 사고 발생 시 보다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방법 등 현장이 아니면 들을 수 없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 성능과 기능도 중요하지만, 실제 기기를 다루는 현장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했다.


소방 시연 모습 / 출처=한컴유비마이크로



화학사고뿐만 아니라 화재 현장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화재 진압 후 계속 발생하는 연기, 유독물질 등을 측정해 완전한 진화 단계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방식이다. 산불과 같은 대형 화재를 예로 들어보자. 강풍 등 기상 악화와 맞물리는 산불 화재는 피해 범위가 엄청나다. 당장의 화재를 진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1차 진압한 화재 현장의 잔불을 완전히 없애는 작업을 병행해야 한다. 하지만, 저 멀리 형성된 1차 방어선과 멀리 떨어진 1차 화재 진압 현장을 매번 사람이 오가며 잔불로 인한 2차 화재를 확인하기란 물리적으로 쉽지 않다.

이럴 때, 가스 감지기에 현장 온도와 화재 발생 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고, 통신으로 연결해 원격으로 연결하면 실시간으로 현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현장에 약 한달 정도 가스 감지기를 설치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즉, 사고 위험 취약 지점에 가스 감지기를 설치하고 원격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대응할 수 있다.


소방 시연 모습 / 출처=한컴유비마이크로



IT동아: 감지 센서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사고에 미리 대응할 수 있는 셈이다.

김 팀장: 맞다. 유해 화학물질을 측정하는 센서를 화재 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측정 센서로 바꿔주면 된다. 일산화탄소는 큰 화재 발샐 이전에 미리 감지할 수 있어 보다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소방관이 우선 진압하고 지나간 자리에 설치해 두면, 언제든지 원격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방식이다. 참고로 피해 범위를 예측할 수 있는 알고리즘은 데이터를 쌓을 경우 정확도를 계속 높여나갈 수 있다.


김용한 한컴유비마이크로 연구개발본부 제품개발팀 팀장 / 출처=IT동아



한컴유비마이크로는 산업 현장의 밀폐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가스 감지기를 개발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유해 화학물질과 화재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도 개발했다.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솔루션을 준비해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하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안전’한 현장을 위해 노력하는 한컴유비마이크로에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

글 / IT동아 권명관(tornadosn@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KIDP 울산] 볼로랜드·김유광 “드론 스테이션 표준화 후 새 영역 개척”▶ [KIDP 울산] 우시산·김유광 “초대형 업사이클링 프로젝트로 가치 차별화”▶ 이상찬 울산시 건설주택국장, “디자인은 산업도시 울산의 새로운 성장 기회입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4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 하카타CITY(211.206)

    본인 인증 추 - dc App

    2019.02.20 23:15:23
  • 스탑1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아.. ㅋㅋ

    2019.02.20 23:17:02
  • 라비♥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잘했어

    2019.02.20 23:36:57
  • 아오이바라기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49

    2019.02.28 21:45:23
1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본업은 완벽해 보이지만 일상은 허당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7 - -
4914 벤큐 “왜곡 없는 정확한 컬러 표현, 콘텐츠 제작의 핵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9 9 0
4913 라스베이거스 초대형 돔 스피어는 어떻게 구동되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9 12 0
4912 험난한 야외 환경 견딜 필드용 로봇 위한 ‘전자파 내성 센서’ 개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9 14 0
4911 엔슬파트너스+동아닷컴+아이티동아, 'K-스타트업' 해외 홍보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9 1491 0
4910 [ETF 기본기 다지기] ETF 투자하는 동안 발생하는 비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9 1243 0
4909 [주간스타트업동향] 레드브릭, UAE 국부펀드 운영 ‘HUB71’ 선정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9 24 0
4907 ‘항공 사진과 GPS로 정확하게’ 드론이 바꿀 건축ㆍ측량 산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9 1232 0
4906 시놀로지 “쉽고 빠른 기업 데이터 관리, '액티브프로텍트'가 정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8 42 0
4905 [스타트업-ing] 이티에프랩 “초보 투자자를 위한 ETF 정보 제공, 케이이티에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8 42 0
4904 [자동차와 法] 수소차 보급과 법·제도: 친환경 모빌리티 시대의 과제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8 4096 0
4903 포털 ‘줌’, AI 가상자산 분석 서비스 제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8 36 0
4902 [신차공개] ‘기아 EV4’ 외장 공개·’로터스 25년형 에미라’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7 92 0
4901 비행기에 리튬이온 배터리 갖고 탈 땐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7 5455 2
4900 당근으로 집 산다?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 안전하게 이용하려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7 86 0
4899 [투자를IT다] 2025년 2월 2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주가 흐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203 0
4898 [생성 AI 길라잡이] 영상 생성 인공지능 서비스 '소라(Sora)'의 스토리보드를 활용해 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76 0
4897 [뉴스줌인] 최근 급증한 온라인 사기 기법, ‘돼지 도살 스캠’은 무엇?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81 0
4896 [리뷰] 성능과 완성도 벼려낸 AI 스마트폰, '갤럭시 S25 울트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82 0
4895 전자결재·ERP 동시 도입한 ‘인천문화재단’, 배경에 NHN두레이 조력 있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57 0
4894 동대문구 소상공인연합회 “스넥스, 활기찬 분위기 조성 및 정책 홍보에 도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56 0
4893 [2024 고려대 초창패] 일렉트로워터 “전기차 패러다임 바꾼 테슬라처럼 수처리 분야 혁신 주도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54 0
4892 애플 통신칩 독립 여정, 10년 끝맺음 지을까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4782 3
4891 어도비, 파이어플라이 앱·동영상 생성형AI 출시로 전문가 시장 공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62 0
4890 법인의 가상자산 시장 참여 ‘단계적 허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37 0
4889 [2024 고려대 초창패] 값비싼 보행 분석 ‘AI 기술’로 일상화…‘에이트스튜디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566 0
4888 [리뷰] 기본기와 신뢰성, 넷기어 GS516 16포트 기가비트 스위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29 0
4887 [2024 고려대 초창패] 에이코트 “입자 코팅 기술로 배터리 산업 힘 더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45 0
4886 겨울철 월동장구별 자동차 제동거리 살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47 0
4885 [생활 속 IT] 공항철도 혼잡도 카카오맵으로 확인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45 0
4884 유니메오 “원스톱 돌봄 서비스 ‘좋은케어’, 투명한 간병인 매칭 지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39 0
4883 [주간스타트업동향] 위밋모빌리티, 2025 데이터바우처 공급기업 선정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186 0
4882 [생활 속 IT] 아이폰 기본 메모에서 문서 스캔·PDF 저장까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183 0
4881 [월간자동차] 25년 1월, 전년 동기 대비 신차 판매 14.3% 감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617 1
4880 [리뷰] 고음질은 기본, 멋진 디자인까지 갖춘 PC 스피커 ‘크리에이티브 페블 노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172 0
4879 가상자산 거래소, 전산장애 방지 위해 IT 인프라 강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159 0
4878 [IT기획자의 탄생] 4. 신사업 기획에 실패하지 않으려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161 0
4877 시장점유율·격차 크게 줄어··· '희비 엇갈린 인텔·AMD'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1958 1
4876 오라클, “클라우드 탑4 등극, AI도 우리가 이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205 0
4875 포티넷코리아 “AI 보안 통합 플랫폼으로 비방화벽 시장 공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186 0
4874 [생활 속 IT] 우리 동네 ‘위법 식당’ 확인하는 방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185 0
4873 [IT신상공개] 가성비 좋은 노이즈캔슬링 이어폰 ‘JBL 튠·웨이브 4종’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4931 0
4872 [생활 속 IT] 윈도 운영체제 관리 도우미 ‘MS PC 매니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11 0
4871 국내 최초 3칸 굴절버스 대전 달린다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318 2
4870 [리뷰] 재질부터 두뇌까지 새롭다, 에이수스 젠북 A14(UX340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652 0
4869 폰 연결 없이 갤럭시워치로 음악 들으려면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27 0
4868 [주간투자동향] 시나몬, 110억 원 규모 투자 유치 外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314 1
4867 ‘인공지능에 기회 있다’ 글로벌 테크 기업, 하드웨어ㆍ소프트웨어 경쟁에 속도 붙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8 6186 1
4866 [생성 AI 길라잡이] 커지는 보안 우려에 딥시크 차단 조치 확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326 0
4865 [투자를IT다] 2025년 2월 1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주가 흐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309 0
4864 알약M iOS, 스마트폰 보안보다 관리에 초점 뒀지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288 0
뉴스 황재균, 지연과 이혼 후 호주서 근황 포착…“낭만” 행복한 미소, 무슨 일 디시트렌드 02.19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