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리뷰] 5nm 데스크톱 프로세서의 시작점, AMD 라이젠 9 7950X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9.26 22:01:25
조회 155 추천 0 댓글 0
[IT동아 남시현 기자] 지난 8월 29일(현지 시각), AMD는 젠 4(Zen 4) 아키텍처 기반의 5세대 데스크톱 프로세서인 AMD 라이젠 7000 시리즈를 공개했다. 이 데스크톱 프로세서는 처음으로 5nm 기반의 4세대 핀펫(PinFET) 공정이 적용됐으며, 이전 세대 대비 약 13% 향상된 사이클당 명령어를 제공한다. 다만 제품 자체는 전 세계 동시 판매를 위해 9월 27일에 정식 판매를 시작하며, 공개 이후 약 한 달간 제품의 상세 정보 공개가 유예돼왔다. 제품의 실제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보도 유예가 9월 26일 오후 10시를 기해 해제됨에 따라 핵심 제품을 토대로 정보를 공개한다.

최초의 5nm CPU, AMD 라이젠 7000 시리즈



AMD 라이젠 9 7950X(좌)와 라이젠 5 7600X(우). 출처=IT동아



이번에 정식 출시되는 AMD 라이젠 7000 시리즈는 고성능 라인업인 X 시리즈 네 종이다. 프로세서는 6코어 12스레드 기반의 7600X와 8코어 16스레드 기반의 7700X, 12코어 24스레드 기반의 7900X와 16코어 32스레드 기반의 7950X다. 이중 최상급인 7950X는 정식 출시를 앞두고 시네벤치 R23 및 R20, R15, 7-Zip 벤치마크에서 5.35~5.5GHz 대역에서 세계 최고 기록을 세우는 등 우수한 성능을 입증했다. 또한 AMD 라이젠 7000 시리즈부터는 1세대 라이젠부터 활용해온 AM4 소켓 대신 새로운 AM5 소켓이 사용되며, CPU 기판 하단의 핀 방식(PGA)이 핀이 없는 LGA 방식으로 변경된다.

AM5 소켓으로 변경하면서 히트 스프레더의 외형과 장착 방식 등도 크게 바뀌었다. AM4 소켓에서 소비자가 쿨러를 제거할 때 CPU가 같이 뽑혀나오는 소위 ‘무 뽑기’ 현상은 사라졌고, 그러면서도 AM4 소켓의 쿨러는 그대로 AM5 소켓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소켓은 열 설계 전력을 최대 170W까지 끌어올렸고, 고성능 버전인 X670E와 X670 및 메인스트림 급인 B650E와 B650 칩셋에 따라 네 가지 버전으로 출시된다. 또한 새롭게 DDR5 메모리를 지원하면서 메모리 오버클록 설정을 자동으로 불러오는 X.M.P 기능을 대체하는 새로운 ‘AMD 엑스포(EXPO)’ 기능도 추가됐다.


AM5 소켓을 개방한 상태와 CPU를 꽂아놓은 상태, 총 1718개의 핀으로 구성돼있다. 출처=IT동아



이번 AMD 라이젠 7000 시리즈의 가장 두드러지는 변화는 히트 스프레더의 외형이다. 기존의 AMD 라이젠 프로세서는 단순한 사각형 히트 스프레더를 장착했으나, 새 프로세서는 여덟 곳에 열을 나눠서 분산하는 히트 포인트 방식으로 바뀌었다. 아울러 외신을 통해 공개된 정보에 따르면, 새로운 히트스프레더는 내부에 열 전도성을 높이기 위해 도금 처리가 되어있으며, 액체 금속 기반의 열 전도 물질(Thermal Paste mertirial, TIM)이 도포되어 있다. 최대 안전 동작 온도인 TJ맥스는 95도로, 프로세서의 성능 저하 없이 최대 95도에서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다만 히트스프레더에 도포한 열전도 물질(서멀 구리스)이 히트 포인트 사이에 넘쳐흘렀을 때 청소가 어려운 문제가 생겼다. 열전도 물질이 사이에 끼여도 CPU가 고장나진 않지만 소켓 내부나 핀으로 들어가면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대다수의 전문가들은 히트스프레더 중앙에 극소량의 서멀 페이스트만 도포하는 것을 권장한다.

신기술로 무장한 최신예 제품··· 전반적인 성능은?



CPU-Z의 CPU 정보 및 메모리 정보, GPU-Z 그래픽 카드 정보. 출처=IT동아



AMD 라이젠 7000 시리즈의 성능을 확인해보기 위해 AMD 라이젠 9 7950X 프로세서와 엔비디아 지포스 RTX 3070 그래픽카드에 AM5 소켓 기반의 기가바이트 X670E 어로스 마스터 메인보드, 최대 6천 MHz를 지원하는 DDR5 지스킬 트라이던트 Z5 네오를 조합해 테스트를 진행했다. 운영체제는 윈도 11 22H2 버전과 메인보드 바이오스 813b 버전이 사용됐고, 지스킬 엑스포 프로필 1을 활용해 성능을 끌어올렸다. 쿨러는 최소 권장 수준인 240mm 2열 쿨러를 사용했다.


시네벤치 R23버전 결과 및 블랜더 3.2 버전 결과. 출처=IT동아



가장 먼저 진행한 테스트는 10분 간 정해진 렌더링을 반복한 사이클을 토대로 성능을 확인하는 시네벤치 R23 테스트, 3D 렌더링 및 모션 그래픽 성능을 확인하는 블렌더 3.2을 각각 진행했다. AMD 라이젠 9 7950X가 시네벤치 R23에서 획득한 점수는 단일 코어 2천 15점, 다중 코어 3만 7466점으로 확인됐다. 21년 2월 진행한 라이젠 9 5950X에서는 단일 코어 1천608점, 다중 코어 2만 4587점과 비교하면 34%에 가까운 차이가 난다.

또한 블렌더 3.1 테스트에서는 전체 테스트 총합이 615.12초로 24코어 48스레드인 AMD 라이젠 스레드리퍼 프로 5965WX보다 소폭 낮고, 스레드리퍼 3960X와 비슷한 수준을 보여주었다. 하이엔드 데스크톱이 아닌 일반 사용자용 CPU로는 최고 수준의 결과다.


게이밍 성능을 일관적으로 평가하는 파이어 스트라이크 결과. 출처=IT동아



이어서 전작인 라이젠 9 5950X와의 1:1 비교를 위해 게이밍 성능 및 사무용 작업 성능을 비교할 수 있는 3D 마크 : 파이어 스트라이크와 PC마크 10 테스트를 각각 진행했다. 라이젠 9 5950X의 경우 파이어 스크라이크의 물리 점수가 3만 5754점을 획득했는데, 라이젠 9 7950X는 4만 6522점을 획득했다. 전작과 비교하면 대단히 큰 차이고, 인텔 코어 i9-12900KS와 비교해도 상당히 차이 나는 수치다. 이 점수가 높을수록 CPU 성능을 요구하는 게임에서의 효율은 상승하고, 그래픽 카드 병목 현상은 감소한다.


표준 시스템 성능 및 생산성을 평가하는 PC마크 10 결과. 출처=IT동아



PC마크 10은 표준 시스템 및 부품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목적의 프로그램으로, 컴퓨터의 성능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다. 비교에 포함되는 내용은 앱 실행 속도나 화상 회의, 웹 브라우징 성능을 확인하는 에센셜과 엑셀 및 워드 속도를 확인하는 생산성, 사진 및 렌더링 속도, 영상 편집 성능을 확인하는 디지털 콘텐츠 크리에이션으로 나뉜다. 해당 테스트에서의 점수는 9천 580점으로, 이전에 7449점을 획득한 라이젠 9 5950X와 비교해도 2천 점 가량 높은 값이다. 이 테스트는 그래픽 카드의 성능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프로세서의 우수성만으로 볼 경우는 아니지만, 엔비디아 RTX 3070만 장착해도 현존 최고 수준의 작업용 PC를 만들 수 있을 정도다.


레드 데드 리뎀션 2는 1080p 매우 높음 옵션에서 평균 112프레임으로 동작했다. 결과는 그래픽 카드에 따라 다르다. 출처=IT동아




파크라이6는 1080p 울트라 옵션에서 122 프레임으로 동작했다. 이 역시 그래픽 카드에 따라 결과가 다르다. 출처=IT동아



마지막으로 게임 성능을 추가로 확인해봤다. 게임은 비교적 고사양에 속하는 레드 데드 리뎀션 2와 파크라이 6를 각각 실행했다. 레드 데드 리뎀션 2는 1080p 매우 높음 옵션으로 설정해 진행하였으며, 평균 112프레임에 최대 204프레임을 기록했다. 게이밍 데스크톱으로는 매우 높은 수준이다. 파크라이 6 역시 1080p 울트라 옵션을 기준으로 평균 122, 최대 130프레임의 높은 성능을 발휘했다. 게임에서 CPU 성능은 고해상도보다는 저해상도에서 무수한 프레임을 처리할 때 병목이 생기는 것을 막는데 더 영향력을 많이 미치는데, AMD 라이젠 9 7950X면 어떤 조합을 활용하건 병목 현상으로 인한 걱정은 없는 수준이다.

연산 처리에서 괄목할만한 성장, 게임은 아쉬워


AMD 라이젠 9 7950X는 AMD 라이젠 시리즈가 등장한 지 5년 만에 이른바 ‘풀체인지’된 제품이다. 외형과 소켓 지원이 바뀌면서 소비전력이나 대역폭, 메모리 효율 등에서 변화가 있었고, 5nm 공정을 사용해 절전 모드부터 고성능 모드까지 활용도를 높였다. 덕분에 사진이나 영상 편집, 3D 렌더링 등 연산 성능이 중요한 작업에서는 확연히 높아진 성능을 체감할 수 있는 수준이다. 하지만 게이밍 성능은 워낙 상향 평준화돼있어서 연산 성능만큼 발전했다고 체감하기가 어렵다. 전작인 AMD 라이젠 9 5950X와 비교해도 단순 처리 성능은 크게 향상됐지만 게이밍 성능은 일부 게임을 제외하고는 10~20% 정도만 차이 난다.


게이머 입장에서는 조금 더 높은 성능을 원했을 수 있다. 그래도 생산성 측면에서는 대단히 발전한 프로세서다. 출처=IT동아



또한 소켓 변경으로 인해 메인보드를 교체해야 하는데, 아직까지 고급형 칩셋 보드만 출시돼 가격대가 꽤 높다. 리뷰에 사용된 X670E 어로스 마스터의 대략적인 출시가는 300달러(한화 약 43만 원) 내외고, 여타의 고성능 보드는 600~1400달러(86만 원~200만 원)를 오르내린다는 소식이 있다. AMD 라이젠 9 7950X의 가격이 699달러(100만 원대), 7600X도 299달러인 점을 고려하고 반드시 교체해야 할 DDR5 메모리 가격을 포함하면 최소 100만 원은 지불해야 한다.

AMD 라이젠 7000 시리즈는 현존하는 최고의 게이밍 데스크톱을 만들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는 최고의 선택인 제품이다. 소켓이 변경되면서 이전 세대보다 더 높은 한계를 발휘하고, PCIe 5.0과 DDR5 등 최신 기술도 원활하게 지원한다. 예상만큼 게이밍 성능이 압도적으로 향상되진 않았지만, 전반적인 성능은 납득할 수준만큼 향상됐다. 이제 주사위는 던져졌다. 소비자들이 어떤 선택을 할지는 앞으로 보여줄 가능성과 확장성에 달렸다.

글 /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AMD, 2023년부터 노트북 모델명 규칙 변경한다▶ [뉴스줌인] 라이젠 7000 시리즈를 위한 'AMD 엑스포' 지원 DDR5 메모리 등장▶ AMD 라이젠 7000 시리즈 출시 관련 질의응답 정리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3902 [농업이 IT(잇)다] 그랜트 “농업인의 고민 해결하는 친환경 과일 포장재, 딴딴박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48 8 0
3901 노랑풍선, "NHN두레이 전사 도입으로 조직 내 업무 환경 통일했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50 9 0
3900 국내 장수 만화 IP 비즈니스의 모범 사례가 되길... '열혈강호' 30주년 콜라보 카페 방문기 [2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8 1073 0
3899 시놀로지 “눈 높은 한국 고객들 의견 수렴하며 성과 거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68 0
3898 노트북 출시 20주년 맞은 MSI, 컴퓨텍스 부스도 ‘노트북 풍년’ [1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7177 4
3897 ‘모든 곳에 인공지능’을 위한 시작, 인텔 AI 서밋 서울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110 0
3896 시놀로지,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강화 ‘잰걸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72 0
3895 [시승기] ‘K5 LPG 하이브리드’로 500km 주행 후 실연비 살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80 0
3894 퀄컴 스냅드래곤X 시리즈, AI PC넘어 AI 산업도 노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98 0
3893 국내 가상자산 커뮤니티 “텔레그램·카카오톡 활성화, 단기 시세에 민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72 0
3892 “디지털 혁신 이끈 3D 기술, AI로 문턱 더 낮아질 것“…어도비 서브스턴스 데이에서 엿본 미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73 0
3891 딥엑스, 엣지 AI용 NPU 'DX-M1'으로 중국·대만 시장에서 두각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96 0
3890 SK하이닉스, 컴퓨텍스 2024서 GDDR7, 자체 컨트롤러 등 전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92 0
3889 MSI, 컴퓨텍스 2024에 ‘AI+ PC’ 대거 선보이며 ‘기선제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62 0
3888 ‘연 단위 출시, 네트워크 대역 확장’ 인공지능 가속기 경쟁 달아오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77 0
3887 인텔 컴퓨텍스 2024 부스 가보니··· 'AI PC 사례·제온 6 공개 눈길'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458 0
3886 컴퓨텍스 2024 MSI 부스, ‘클로’ 8인치와 ‘AMG’ 노트북 공개로 ‘북적’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72 0
3885 펫 겔싱어, "2030년 세계 2위 파운드리 목표··· 다음 주 18A 칩 구동"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34 0
3884 인텔 제온6·가우디3·루나레이크까지 총 출동··· '시장 주도권 노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78 0
3883 전기차 캐즘에도 정면 돌파 택한 ‘현대차그룹’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71 0
3882 "AI PC 시대, 피처폰에서 스마트폰 전환만큼 혁명적 도약"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560 1
3881 韓 자동차 등대공장 0개...제조공정 혁신 시급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89 0
3880 3세대 라이젠 AIㆍ라이젠 9000 시리즈, AMD 새 CPU 제품군 대거 공개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568 1
3879 6월부터 달라진 통신3사 요금·혜택 살펴보니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711 0
3878 [정구태의 디지털자산 리터러시] 1. 지금 당신이 디지털자산에 관심을 가져야할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81 0
3877 [주간투자동향] 벤디트, 80억 원 규모 프리 시리즈A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713 2
3876 여름철 필수품 '선풍기', 용도·기능에 맞춰 고르는 법!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94 0
3875 블랙웰 다음 루빈, 엔비디아 차기 인공지능 가속 플랫폼 공개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921 1
3874 베일에 싸였던 구글의 '검색 알고리즘'…유출 문건으로 실체 드러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159 0
3873 가비아, 한국마사회에 클라우드 PC ‘가비아 DaaS’ 공급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128 0
3872 차트분석 도구 ‘트레이딩뷰’ 파고들기 - 1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125 0
3871 외산 솔루션 가격 인상, 국산 가상화 시장 훈풍 기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115 0
3870 [리뷰] 게이밍-홈시네마 넘나드는 전천후 빔프로젝터, 뷰소닉 LX700-4K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1060 1
3869 [생성 AI 길라잡이] 1분 만에 영상·이미지 제작 ‘브이캣’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4845 5
3868 [농업이 IT(잇)다] 실내 수직형 스마트팜으로 생산량 극대화하는 ‘플랜티팜’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422 0
3867 페라리 DNA 담은 12기통 2인승 '12 칠린드리'…아시아 최초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31 0
3866 블랙웰에 FOPLP 조기 도입 고려 중인 엔비디아, 미세공정 넘어 생산 경쟁 유도하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98 0
3865 북블라 “창업의 꿈, 가천대 코코네스쿨에서 이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43 0
3864 스페이스앤빈 “뉴스페이스로의 전환, 상용 부품 적용 물꼬부터 터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06 0
3863 [리뷰] AFMF로 가성비 게이밍 환경 구축, AMD 라데온 RX 7700 XT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5424 5
3862 [스타트업 첫걸음] 스타트업, 창업 아이디어는 어떻게 시작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01 0
3861 KT클라우드, 엔비디아 GPU 기반 학습 서비스 'AI Train'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96 0
3860 캐딜락, 브랜드 최초 순수 전기 SUV ‘리릭’ 출시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465 1
3859 SBA 유망 스타트업의 면모 확인, ‘2024 연합 데모데이’ 이모저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01 0
3858 AI 구심점으로 떠오른 '컴퓨텍스', 올해 주목할만한 기업 별 소식은?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462 0
3857 [IT애정남] 로봇청소기 고를 때 고려할 점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882 0
3856 두루·무의 “모두의1층이니셔티브로 장애 인식·접근성 개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13 0
3855 [자동차와 法] 음주운전 시 위드마크 공식 적용의 문제점에 대하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875 0
3854 [신차공개] 기아 'EV3'·벤틀리 '더 뉴 컨티넨탈 GT' 론칭 예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141 0
3853 [뉴스줌인] 내연기관차 이어 전기차 찍은 LG전자 웹OS, 다음 목표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213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