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모빌리티 인사이트] 화물차 여러 대가 한 몸처럼 움직인다, 군집 주행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9.16 19:00:29
조회 48 추천 0 댓글 0
모빌리티(mobility). 최근 몇 년간 많이 들려오는 단어입니다. 한국어로 해석해보자면, ‘이동성’ 정도가 적당하겠네요. 그런데 말입니다. 어느 순간부터 자동차도 모빌리티, 킥보드도 모빌리티, 심지어 드론도 모빌리티라고 말합니다. 대체 기준이 뭘까요? 무슨 뜻인지조차 헷갈리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지난 몇 년간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둔 스타 벤처 중 상당수는 모빌리티 기업이었습니다.

‘마치 유행어처럼 여기저기에서 쓰이고 있지만 도대체 무슨 뜻인지, 어디부터 어디까지 모빌리티라고 부르는지 도무지 모르겠다!’라는 분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모빌리티 인사이트]를 통해 국내외에서 주목받는 다양한 모빌리티 기업과 서비스를 소개합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차량호출 서비스부터 아직은 낯선 ‘마이크로 모빌리티’, ‘MaaS’, 모빌리티 산업의 꽃이라는 ‘자율 주행’ 등 모빌리티 인사이트가 국내외 사례 취합 분석해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하나씩 알려 드립니다.

화물차 뒤, 왕눈이 스티커의 비밀

왕눈이 스티커를 차량 후미에 붙이고 주행하는 트럭을 보신 적이 있나요? 최근 고속도로 주행 중 왕눈이 스티커를 붙인 트럭을 보고 ‘차주 분이 귀여운 것을 좋아하시나’ 했었는데요. 하지만, 왕눈이 스티커의 목적은 트럭을 귀엽게 꾸미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스티커의 정체는 바로 도로교통공사에서 개발한 ‘잠 깨우는 왕눈이 스티커’입니다. 이 스티커는 졸음 운전과 시야 확보 부족으로 인한 사망자 수를 줄이기 위해 개발한 것인데요. 앞에서 날 지켜보는 느낌을 주는 ‘감시의 눈’ 효과와 함께 야간에 전조등 빛을 약 200m 후방까지 반사시켜 전방 주시 태만 및 졸음 운전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도로교통공사에서 스티커를 개발할 정도라니… 그만큼 졸음 운전과 전방 주시 태만 사례가 많은가 봐요?

물론입니다. 한국교통안전공단과 한국도로교통공사가 공동으로 발표한 ‘최근 3년간 고속도로 교통사고 사망자 현황’을 살펴보면,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총 617명에 달합니다. 그중 428명(69.4%)이 졸음과 전방 주시 태만으로 인해 목숨을 잃었어요. 또한, 2019년 고속도로 교통사고 사망자 176명 중 무려 91명(51.7%)이 화물차로 인한 사망자라고 합니다. 즉, 화물차 사고를 줄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상황이죠.



스티커도 좋은 방법이겠지만, 기술적으로 해결할 수는 없을까요?

있습니다. 주목받는 기술은 바로 ‘군집 주행 기술’인데요. 군집 주행이란, 단체 자율 주행화를 뜻합니다. 제일 선두에서 운행하는 화물차를 인식하고 뒤를 이어서 달리는 화물차가 스스로 안전거리와 속도를 유지하면서 운행하는 것이죠. 이전 기고에서 ‘자율 주행을 가장 먼저 적용할 분야는 화물차’라고 전했었는데요. 여기에 ‘화물차들이 단체로 움직이는’ 개념을 더한 겁니다. 이 기술을 도입하면 사고율을 낮추면서 같은 인력으로 운송 효율성을 높일 수 있죠. 많은 물류 기업이 관심을 보이는 이유입니다.

경제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에서 화물차 군집 주행 기술은 필수적입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Allied Market Research에 따르면, 전 세계 군집 주행 시장 규모는 2017년 약 5억 달러(한화 약 5,880억 원) 규모에서 2025년까지 약 45억 9,000만 달러(한화 약 5조 3,978억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합니다(연평균 성장률 32.4%). 또한, 미국의 ATRI(American Transportation Research Institute)에 따르면, 연료소비량을 최대 15%까지 줄일 수 있고, 탄소 배출을 저감시킬 수 있다고 하네요.



동시에 화물차 여러 대가 자율 주행한다고요? 어떤 기술이 필요한가요?

군집 주행의 핵심은 화물차의 정확한 위치와 관련 정보입니다. 적응형 순항제어(ACC), 사각지대 경고, GPS, 전방추돌경보, 차선유지지원, 차량용으로 설계한 와이파이, 카메라, 센서 등이 필요하죠. 무엇보다 세부 운행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화물차가 군집 주행할 때, 차량사물통신 기술 ‘V2V(Vehicle to Vehicle)’와 ‘V2X(Vehicle to Everything)’를 활용하는데요. 이 기술이 발전할수록 선행 차량의 돌발 상황에 대응하는 반응 속도를 인간이 대응하는 브레이크 반응 속도보다 줄일 수 있습니다. 때문에 빠르게 감속하고 정차할 수 있죠. 이를 통해 화물차 여러 대가 다양한 정보를 주고받으며 마치 한 몸처럼 돌발 상황에 대응해 움직일 수 있습니다.



고속도로에서 화물차 여러 대가 줄지어 가는 것을 본 적이 있습니다. 그런 운전을 자율 주행하는 거네요. 군집 주행 사례는 많은 편인가요?

미국의 경우, 이미 1991년 AHS(Automated Highway System)를 계획했고, 1997년 대규모 자동 운전 시범을 진행했습니다. 캘리포니아 PATH(California Partners for Advanced Transit and Highway Program)는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해 레이더, 라이다와 V2V 통신을 이용한 종 방향 제어를 시도, 실제 도로 환경에서 군집 주행을 시연했고요. 이후 PATH는 2010년 화물차 3대를 3~4m 간격을 유지한 채 군집 주행을 시연하였습니다.

유럽은 1995년 ‘Chauffeur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2009년부터 본격적으로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볼보가 주도했던 ‘SARTRE 프로젝트’는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진행했고, 그 뒤를 이어 ‘유럽 트럭 Platooning 챌린지 2016’를 진행하는 등 활발하게 기술을 개발하고 있죠. 이 행사는 네덜란드의 DAF, 독일의 다임러(Daimler)와 만(MAN), 이탈리아의 이베코(Iveco), 스웨덴의 스카니아(Scania)와 볼보(Volvo) 등 6개 업체가 참가했는데요. 각 기업이 개발한 트럭에 군집 주행 기술을 적용해 유럽 대륙을 달렸습니다. 기업의 활발한 네트워크 연계 강화를 통해 상호 간 기술 교류를 유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어요.

우리나라와 바로 이웃한 나라, 일본도 있습니다. 일본 JARI(Japan Automobile Research Institute)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트럭 4대를 4m 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주행했습니다. 또한, 경제무역산업성은 2018년 고속도로에서 군집 주행을 실증했고, 2022년 후발 차량에 운전자가 없는 상태로 군집 주행을 상용화한다고 밝힌 바 있고요.

구체적으로 어떤 업체가 기술을 개발하나요?

대표적인 업체는 독일의 다임러(Daimler AG)입니다. 다임러는 상용차 제조사 중 최초로 2017년 미국 고속도로 ‘Oregon, Nevada’에서 화물차 자율 군집 주행 기술을 시연했어요. 다임러가 개발한 자율 주행 화물차가 애리조나주에서 텍사스주까지 장거리 주행을 14시간 만에 완수하기도 했습니다. 사람이 운전했다면 24시간 걸리는 거리라고 하니, 운송 효율성 또한 크게 높아졌습니다.

다임러 자율 주행 화물차의 기술을 살펴보죠. 이 화물차의 군집 주행은 장거리 레이더, 단거리 레이더, 입체 카메라, 적응형 순항 제어 기술 등을 통해 구현됩니다. 액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액티브 브레이크 어시스트가 장거리 레이더와 단거리 레이더를 이용해 주행과 감속을 조정, 자동차 간 거리를 자동으로 조절해 자율 주행하는 방식입니다.



국내 자율 군집 주행 기술은 얼마나 발전했나요?

우리나라도 관심 많습니다. 지난 9월 9일, 2018년부터 4년간 한국도로공사, 국민대학교, 현대차, 카카오모빌리티 등이 함께 개발한 화물차 자율 군집 주행 기술 최종 성과 발표회를 개최했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 약 80km 구간에서 화물차 4대가 달리는 모습을 공개했는데요. 자율 군집 주행 기술 선도 국가들과 비교하면, 연구 시점은 조금 늦었지만 꾸준한 실증을 통해 빠르게 상용화한다는 방침입니다.

현대차는 센서 10개를 적용해 주변 환경을 인식하는 군집 주행 기술 개발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전방과 후방에 각각 카메라와 레이더를 장착하고, 전방과 양쪽 측면에 라이다 센서, 트레일러 연결 부위에 굴절각 센서, GPS 등을 장착했는데요. 방금 언급한 공동 개발 발표 이외에도 지난 2020년 의왕-인천 간 약 40km 구간 고속도로 자율 주행을 성공한 바 있죠.

자율 군집 주행을 편리하게 지원하는 플랫폼 개발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자율 군집 주행을 위한 V2X 기반 군집 주행 서비스 플랫폼을 공개했는데요. 기사용 태블릿 앱을 통해 신규 군집 형성, 군집 내 역할 설정, 군집 합류 지점까지 경로 안내, 긴급 상황 경고, 선두 차량 시점의 주행 영상과 같은 정보를 제공하고, 플랫폼 서버는 차량 정보, 공통 경로, 합류 예상 시간 등을 고려해 최대 이익을 올릴 수 있는 군집을 매칭한다고 합니다.



자율 군집 주행 기술 발전을 위해 현재 기술을 보완하거나 개선할 부분은 무엇일까요?

자율 군집 주행 기술은 운전자 피로 예방이나 전방 주시 태만, 졸음 운전 등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술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차량 간 정보 공유 기술인 V2V 외에도, V2I, V2X 등 통신 인프라를 구축해야 합니다. 원활한 정보 공유를 위한 준비부터 마쳐야 하죠.

최근 차량 간 통신을 위해서 국제적인 표준화 작업도 활발합니다. 국내외 선진 기술을 활용한 자율 주행 군집 주행을 원활하게 진행하려면 통신 규격 표준을 정하는 일도 매우 중요합니다. 최근 발표를 보면 우리나라는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가지 방식의 병행을 추진하다가, 2024년에 최종 확정한다는 방침인데요. 전 세계 기술 흐름과 동떨어지지 않으면서 국내 산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바탕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민간 기업의 적극적인 연구 개발 외에도 관련 정부 부처의 명확한 방향 제시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글 / 한국인사이트연구소 김아람 책임연구원

한국인사이트연구소는 시장 환경과 기술, 정책, 소비자 측면에서 체계적인 방법론과 경험을 통해 다양한 민간기업과 공공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컨설팅 전문 기업이다. 모빌리티 사업의 가능성을 파악하고, 모빌리티 DB 구축 및 고도화, 자동차 서비스 신사업 발굴, 자율주행 자동차 동향 연구 등 모빌리티 산업을 다각도로 연구하고 있다. 지난 2020년 ‘모빌리티 인사이트 데이’라는 전문 컨퍼런스를 개최한 것을 시작으로 모빌리티 전문 리서치를 강화하고 있으며, 모빌리티 분야의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모빌리티 인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정리 / IT동아 권명관(tornadosn@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스타트업인사이트, 스타트업 생태계 정보 담는다▶ [스케일업] ‘화물차 모빌리티’ 함께 그리는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코코넛사일로▶ [모빌리티 인사이트] 택시처럼 의료 서비스도 호출한다, 의료 모빌리티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3867 페라리 DNA 담은 12기통 2인승 '12 칠린드리'…아시아 최초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34 4 0
3866 블랙웰에 FOPLP 조기 도입 고려 중인 엔비디아, 미세공정 넘어 생산 경쟁 유도하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51 4 0
3865 북블라 “창업의 꿈, 가천대 코코네스쿨에서 이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2 36 0
3864 스페이스앤빈 “뉴스페이스로의 전환, 상용 부품 적용 물꼬부터 터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0 13 0
3863 [리뷰] AFMF로 가성비 게이밍 환경 구축, AMD 라데온 RX 7700 XT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42 1403 3
3862 [스타트업 첫걸음] 스타트업, 창업 아이디어는 어떻게 시작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0 14 0
3861 KT클라우드, 엔비디아 GPU 기반 학습 서비스 'AI Train'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5 13 0
3860 캐딜락, 브랜드 최초 순수 전기 SUV ‘리릭’ 출시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4 297 1
3859 SBA 유망 스타트업의 면모 확인, ‘2024 연합 데모데이’ 이모저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28 0
3858 AI 구심점으로 떠오른 '컴퓨텍스', 올해 주목할만한 기업 별 소식은?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314 0
3857 [IT애정남] 로봇청소기 고를 때 고려할 점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802 0
3856 두루·무의 “모두의1층이니셔티브로 장애 인식·접근성 개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43 0
3855 [자동차와 法] 음주운전 시 위드마크 공식 적용의 문제점에 대하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804 0
3854 [신차공개] 기아 'EV3'·벤틀리 '더 뉴 컨티넨탈 GT' 론칭 예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65 0
3853 [뉴스줌인] 내연기관차 이어 전기차 찍은 LG전자 웹OS, 다음 목표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128 0
3852 글로벌 가상자산 정책 동향 ‘제도 틀 안에서 규제 공백 보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59 0
3851 샥즈, 오픈스윔 프로·오픈핏 에어 출시···오픈형 이어폰 1위 입지 굳힌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73 0
3850 서울과기대의 제조창업 지원, '밀도있는 심화 과정'으로 민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61 0
3849 아직도 안 찾고 쌓이는 숨은 보험금, 이 기회에 찾아볼까?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868 0
3848 자동차 에어컨 필터 고를 땐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776 0
3847 차트분석 도구 ‘트레이딩뷰’ 파고들기 - 1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135 0
3846 [자동차 디자人] 英 오프로더 SUV ‘그레나디어’ 디자이너 ‘토비 이큐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78 0
3845 가상자산 시장 ‘거래량·수익 상승, 원화·코인 마켓 격차 뚜렷’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68 0
3844 [농업이 IT(잇)다] 전통주로 과거ㆍ현재ㆍ미래를 잇는 나루 되겠다, 한강주조 고성용 대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70 1
3843 [IT하는법] 잘 사용하지 않는 MS 원드라이브, 사용 해제하는 방법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107 1
3842 ‘천비디아’ 달성한 엔비디아, 독주할까? 반도체주와 함께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53 0
3841 SEC,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증권거래법 요건 충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82 0
3840 벤처 투자 80%가 수도권 편중··· '투자 해결사'로 나선 부산창경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79 0
3839 국내 통신3사 모두 "이제 우리는 AI 기업" [1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2185 1
3838 [IT애정남] 갤럭시 '생성형 편집', 어떻게 해야 잘 될까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235 0
3837 즉석 카메라로 이런 ‘손맛’이? ‘인스탁스 미니 99’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163 0
3836 스타트업 해외 진출 시 알아야 할 정보 공유 ‘라이징 스타트업 콘서트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209 0
3835 [IT애정남] 해외 구매폰에 국내 유심 쓰는데 음성 통화 안되면?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1042 3
3834 퀄컴, 코파일럿+ PC 등장에 'AI 허브 및 개발 도구'로 지원 사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191 0
3833 네카오, 글로벌 공략 갈 길 바쁜데…일단 멈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149 0
3832 2025년 상반기 탄생할 주식 대체거래소(ATS), 이렇게 달라진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166 0
3831 AMD, 에픽·MI300X 투트랙으로 AI 산업 주도권 확보 나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161 0
3830 '직장인 3명 중 1명, 데이터 도출 어려워'··· AI 기반 자동화가 해답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181 0
3829 산행 보조부터 산불 진화까지...'입는 로봇' 활용처 확대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5075 1
3828 대거 출시 예고한 Arm CPU 기반 윈도우 PC, 뭐가 다를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241 0
3827 비트코인 피자데이, 업비트·빗썸 “피자 2024판 쏜다”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7187 4
3826 [생성 AI 길라잡이] 음성과 이미지만 있으면 영상을 만든다 ‘런웨이ML’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1867 0
3825 가속 페달 밟은 검색광고 시장 경쟁, 보라웨어 ‘AI 검색광고 관리 솔루션에 주목해야 되는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164 0
3824 부르면 달려오는 '이동형 전기차 충전기' 시장 기지개 [1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2057 0
3823 MS, '코파일럿 플러스 PC' 발표…AI 시대의 새로운 PC 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232 0
3822 업비트·빗썸, 1분기 실적 개선···투자자 보호·서비스 개선에 주력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153 0
3821 GPT4o와 GPT4 비교해 보니··· '사람 대 AI의 근본적인 접근 방식 바꿔'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1436 3
3820 삼성전자, '비스포크 AI 콤보' 에센셜 화이트 색상 출시…색상 라인업 강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0 212 0
3819 채팅창 넘어 일상으로…'만능 AI 비서' 시대 온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0 586 0
3818 오늘부터 시끄러운 불법 튜닝 오토바이 집중 단속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0 726 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