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다테크니끄 "내비게이션 탑재한 AR헬멧, 스마트한 오토바이의 시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6.24 18:47:14
조회 109 추천 0 댓글 0
[IT동아 정연호 기자]

“자동차는 전자제품이다”

자동차에 관심이 있다면 몇 번이나 들어봤을 말이다. 최근 자동차 업체들은 자동차를 통한 사용자 경험에 집중하고 있다. 자동차에서도 주문 및 결제, 쇼핑, 콘텐츠 감상 등을 다 할 수 있게 만들겠다는 것이다. 자동차를 우리가 손에서 잘 떼지 않는 스마트폰과 유사한 것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조금 먼 미래의 이야기지만, 자율주행 자동차를 쉴 수 있는 휴식공간과 업무를 보는 사무공간으로 함께 쓰도록 하겠다는 컨셉도 나왔다. “자동차 안에서 모든 걸 해라!” 자동차 업계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이런 게 아닐까.

사륜차 시장이 빠른 속도로 스마트화되고 있다면, 오토바이를 비롯한 이륜차 시장은 상당히 뒤처져 있는 곳이다. IT기술이 거의 들어오지 않았다고 해도 좋을 정도다. 길거리에서 가장 흔하게 보이는 이륜차는 배달 라이더들의 오토바이인데, 이들도 오토바이 운전대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고 내비게이션을 이용하는 정도에 그친다.

물론, 오토바이 특성상 운전 중 엔터테인먼트한 경험을 즐기긴 어렵다. 다만, 업계 관계자들은 “문제는 이륜차 시장에서 디지털전환, 플랫폼과 관련된 비전이 나오지 않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한다. 지금 당장은 불가능할지라도, 미래의 스마트화가 어떤 방식으로 진행될 것인지에 대한 논의는 필요하다. 이에 AR헬멧을 개발하는 다테크니끄의 임형빈 대표를 만나 이륜차 시장의 디지털전환과 관련된 이야기를 나눠봤다.


다테크니끄 임형빈 대표, 출처=다테크니끄



다테크니끄는 이륜차를 위한 AR(증강현실) 스마트헬멧과 내비게이션 앱을 만드는 기업이다.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HUD)에 다테크니끄가 만든 이륜차 내비게이션을 투영하는 방식이다. HUD란 자동차의 앞 유리창 등의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말한다. HUD 역할을 하는 헬멧의 광학 쉴드에 내비게이션 시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임형빈 대표가 과거에 B2B(기업간거래) VR 사업을 진행했기 때문에 그 기술을 기반으로 시작할 수 있었던 B2C (소비자에게 물건 및 서비스 판매) 비즈니스다. VR 사업이 콘텐츠 부족과 전용 기기의 불편함 등으로 B2C 영역에서 활성화되지 않자, B2C 분야의 AR과 VR사업을 제대로 해보고 싶었다고 한다.

임형빈 대표는 “기존 헬멧 제품은 제조 이후로 추가 관리나 서비스가 필요하지는 않았다. 스마트 헬멧은 여기에 앱을 계속 추가 및 관리해줘야 한다는 게 비즈니스적인 차이다. 이용자들이 헬멧을 이용하면서 앱에 로그인하고, 내비게이션을 이용하면 이를 통해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운전자의 운전 데이터가 잡히니까 다양한 비즈니스로 확장하는 플랫폼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출처=다테크니끄



현재 오토바이 사용 양상을 보면, 라이더들이 내비게이션을 사용하는 방식이 상당히 불편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스마트폰이 대중화되고 많은 운전자들이 스마트폰을 자동차 내비게이션으로 쓰게 됐다. 오토바이 운전자는 운전 중에 손을 쓰기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 블루투스 헤드셋을 통해서 음성 경로 안내를 듣고 있다.

다만, 음성으로 간단하게 정보를 알려주는 정도라서 대부분의 운전자는 오토바이 운전대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고 눈으로 내비게이션 정보를 확인하고 있다. 도로 상황에 집중할 수 없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하기 쉬운 방식이다. 때문에, 정부와 보험사, 이륜차 운전자들 모두 편하고 안전하게 쓸 수 있는 AR헬멧을 원하는 상황이지만, 시장을 리드하는 사업자도 아직 없고 기술 표준화도 이뤄지지 않았다.

“이륜차 내비게이션 개발은 쉽지 않다. 내비게이션 시장의 주요한 플레이어들은 막대한 자금을 들여서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데, 이런 전략을 스타트업이 따라가는 건 불가능하다. 다테크니끄는 다양한 기업과 얼라이언스를 해서 앱을 개발하고 있다. 앞으로 음악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다른 기업과 협력해서 계속 가져올 계획이다”

임 대표 설명에 따르면, 한국은 오토바이 보급률이 높지 않은 국가다. 업계에선 전체 인구 중 3% 수준에 불과하다고 추정하고 있다. 오토바이 보급률이 90%에 달하는 베트남에 비해 국내 오토바이 운전자수는 상당히 적은 편이다. 그렇지만, 이륜차 관련 제품을 볼 때 세계 시장의 주요한 플레이어 중엔 국내 기업도 많이 있다. 세계 1등 헬멧 회사가 국내 기업이다. 또한, 한국은 배달 라이더들이 빠르게 늘고 있고, 안전이나 일의 생산성 측면과 관련된 이슈가 계속 제기되고 있는 국가이기도 하다. 한국에서 좋은 제품을 만들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을 하겠다는 게 다테크니끄의 목표다.

이륜차와 헬멧 시장은 IT기술이나 플랫폼 전략이 적극적으로 도입되는 분야는 아니다. 이 시장의 기회를 노리는 다테크니끄가 쫓는 방향은 테슬라의 전기차가 걸어왔던 길이다.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로 패러다임이 전환하는 길목에서 중요한 건 레거시 브랜드들이 보유한 엔진 등의 기술 허들이 아니라 데이터를 활용하는 기술이었다. 임 대표는 “테슬라는 자동차의 하드웨어는 다 외주로 맡기고, 미국에서도 하드웨어 제작에서 큰 마진을 남길 생각은 없어 보인다. 자율주행, 위성 등으로 모은 데이터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개선하고, 비용을 더 내면 자율주행 레벨을 올리는 식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다테그니끄도 데이터를 활용해 이륜차의 운전자 경험을 개선하는 방향을 택했다.


출처=다테크니끄



그는 AR헬멧의 내비게이션은 다양한 상품으로 확장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운전 데이터 기반의 이륜차 보험을 출시하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륜차 보험 시장은 성장의 기회가 분명하지만 보험사들도 진출하길 꺼렸던 분야다. 운전 라이더들의 운전 습관을 확인할 데이터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배달 라이더들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들 중 보험에 가입하는 비율은 10%대에 머물고 있어 성장 잠재력은 충분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데이터 활용의 중요성은 운전자들의 운전 방식을 감안해 보험료를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보험료를 할인 받기 위해서 운전자들이 정속을 하면 교통사고도 더 줄어들 수 있어 사회 전체적으로 봤을 때도 긍정적인 기여가 가능한 기술이다. 국내 오토바이는 번호판이 없는 경우가 많아서 과속을 해도 과속 방지 카메라에 찍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내비게이션이 속도를 줄이라고 경고를 했을 때 이를 잘 지키면 보험료 할인을 통해 혜택을 주는 방식으로 안전 운전을 유도할 수 있다.

운전 데이터를 모으려면 내비게이션뿐 아니라 그 내비게이션이 탑재되고 실제로 사용되는 디바이스(헬멧)까지 필요하다. 디바이스와 스마트 기술의 결합이 헬멧 시장에서 다테크니끄가 가진 경쟁력이다. 이외에도 운전자들의 커뮤니티, 내비게이션을 통해 숙소 및 맛집 예약 등 다양한 서비스가 추가될 수 있다.

임 대표는 “이러한 서비스를 위해선 금융 서비스가 자연스럽게 들어오고, 금융과 맞물리면 정비나 오토바이 중고 거래 등도 가능해진다”고 했다. B2B 비즈니스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최근, 이륜차는 오토바이 판매와 함께 배달 오토바이 리스 사업도 크게 성장하고 있다. 오토바이를 대여하는 기업에겐 오토바이는 사업을 위한 중요한 자산이다 보니 이에 대한 관제가 필요하다. 다테크니끄를 통해선 라이더들이 리스한 오토바이를 어떻게 쓰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오토바이 시장의 성장성이 충분하다면 자동차 시장의 레거시 플레이어들도 충분히 진입할 수 있지 않을까? 그는 “그렇지 않을 것 같다”고 답했다. 자동차 기업들은 자동차 쪽에서 스마트 기술을 도전하는 데만 집중하는 것도 쉽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임 대표는 “앞으로 AR헬멧을 출시하고 양산을 하는 것이 단기적인 목표다. 그리고, AR헬멧 이후로 스마트한 서비스를 계속 늘려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글 / IT동아 정연호 (hoho@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현장근로자 업무에도 디지털전환 필요"... 팀뷰어 산업용 AR로 국내 시장 진출▶ [스케일업] 딥파인 (3) 팀장클럽 ‘업의 본질 알고 고객 이끄는 최고의 메타버스 기업 돼라’▶ 메타 컬러·고화질 증강현실 헤드셋 ‘프로젝트 캄브리아’ 2022년 등장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3867 페라리 DNA 담은 12기통 2인승 '12 칠린드리'…아시아 최초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8 0
3866 블랙웰에 FOPLP 조기 도입 고려 중인 엔비디아, 미세공정 넘어 생산 경쟁 유도하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26 0
3865 북블라 “창업의 꿈, 가천대 코코네스쿨에서 이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46 0
3864 스페이스앤빈 “뉴스페이스로의 전환, 상용 부품 적용 물꼬부터 터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23 0
3863 [리뷰] AFMF로 가성비 게이밍 환경 구축, AMD 라데온 RX 7700 XT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4022 4
3862 [스타트업 첫걸음] 스타트업, 창업 아이디어는 어떻게 시작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23 0
3861 KT클라우드, 엔비디아 GPU 기반 학습 서비스 'AI Train'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21 0
3860 캐딜락, 브랜드 최초 순수 전기 SUV ‘리릭’ 출시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318 1
3859 SBA 유망 스타트업의 면모 확인, ‘2024 연합 데모데이’ 이모저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34 0
3858 AI 구심점으로 떠오른 '컴퓨텍스', 올해 주목할만한 기업 별 소식은?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328 0
3857 [IT애정남] 로봇청소기 고를 때 고려할 점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811 0
3856 두루·무의 “모두의1층이니셔티브로 장애 인식·접근성 개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49 0
3855 [자동차와 法] 음주운전 시 위드마크 공식 적용의 문제점에 대하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811 0
3854 [신차공개] 기아 'EV3'·벤틀리 '더 뉴 컨티넨탈 GT' 론칭 예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73 0
3853 [뉴스줌인] 내연기관차 이어 전기차 찍은 LG전자 웹OS, 다음 목표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141 0
3852 글로벌 가상자산 정책 동향 ‘제도 틀 안에서 규제 공백 보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66 0
3851 샥즈, 오픈스윔 프로·오픈핏 에어 출시···오픈형 이어폰 1위 입지 굳힌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79 0
3850 서울과기대의 제조창업 지원, '밀도있는 심화 과정'으로 민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65 0
3849 아직도 안 찾고 쌓이는 숨은 보험금, 이 기회에 찾아볼까?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878 0
3848 자동차 에어컨 필터 고를 땐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780 0
3847 차트분석 도구 ‘트레이딩뷰’ 파고들기 - 1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139 0
3846 [자동차 디자人] 英 오프로더 SUV ‘그레나디어’ 디자이너 ‘토비 이큐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82 0
3845 가상자산 시장 ‘거래량·수익 상승, 원화·코인 마켓 격차 뚜렷’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72 0
3844 [농업이 IT(잇)다] 전통주로 과거ㆍ현재ㆍ미래를 잇는 나루 되겠다, 한강주조 고성용 대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74 1
3843 [IT하는법] 잘 사용하지 않는 MS 원드라이브, 사용 해제하는 방법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127 1
3842 ‘천비디아’ 달성한 엔비디아, 독주할까? 반도체주와 함께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57 0
3841 SEC,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증권거래법 요건 충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87 0
3840 벤처 투자 80%가 수도권 편중··· '투자 해결사'로 나선 부산창경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83 0
3839 국내 통신3사 모두 "이제 우리는 AI 기업" [1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2195 1
3838 [IT애정남] 갤럭시 '생성형 편집', 어떻게 해야 잘 될까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239 0
3837 즉석 카메라로 이런 ‘손맛’이? ‘인스탁스 미니 99’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167 0
3836 스타트업 해외 진출 시 알아야 할 정보 공유 ‘라이징 스타트업 콘서트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213 0
3835 [IT애정남] 해외 구매폰에 국내 유심 쓰는데 음성 통화 안되면?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1051 3
3834 퀄컴, 코파일럿+ PC 등장에 'AI 허브 및 개발 도구'로 지원 사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195 0
3833 네카오, 글로벌 공략 갈 길 바쁜데…일단 멈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153 0
3832 2025년 상반기 탄생할 주식 대체거래소(ATS), 이렇게 달라진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170 0
3831 AMD, 에픽·MI300X 투트랙으로 AI 산업 주도권 확보 나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165 0
3830 '직장인 3명 중 1명, 데이터 도출 어려워'··· AI 기반 자동화가 해답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186 0
3829 산행 보조부터 산불 진화까지...'입는 로봇' 활용처 확대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5083 1
3828 대거 출시 예고한 Arm CPU 기반 윈도우 PC, 뭐가 다를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246 0
3827 비트코인 피자데이, 업비트·빗썸 “피자 2024판 쏜다”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7195 4
3826 [생성 AI 길라잡이] 음성과 이미지만 있으면 영상을 만든다 ‘런웨이ML’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1871 0
3825 가속 페달 밟은 검색광고 시장 경쟁, 보라웨어 ‘AI 검색광고 관리 솔루션에 주목해야 되는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169 0
3824 부르면 달려오는 '이동형 전기차 충전기' 시장 기지개 [1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2064 0
3823 MS, '코파일럿 플러스 PC' 발표…AI 시대의 새로운 PC 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236 0
3822 업비트·빗썸, 1분기 실적 개선···투자자 보호·서비스 개선에 주력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157 0
3821 GPT4o와 GPT4 비교해 보니··· '사람 대 AI의 근본적인 접근 방식 바꿔'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1445 3
3820 삼성전자, '비스포크 AI 콤보' 에센셜 화이트 색상 출시…색상 라인업 강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0 216 0
3819 채팅창 넘어 일상으로…'만능 AI 비서' 시대 온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0 590 0
3818 오늘부터 시끄러운 불법 튜닝 오토바이 집중 단속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0 734 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