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조선 전기의 그림 .. 신잠의 용호도

꾸꾸꼬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8.08.24 01:13:22
조회 1245 추천 0 댓글 3




신잠(申潛)은 조선초기의 선비화가로 자는 원량(元亮) 호는 영천자(靈川子) 또는 아차산인(峨嵯山人)이라고도 하였다. 특히 대나무 그림에 능하였으며 초서(草書)와 예서(隸書)를 잘 써 시서화삼절(詩書畵三絶)로 이름이 났었다. 이 그림은 <용도 龍圖>와 함께 쌍폭으로 이루어진 용호도(龍虎圖) 중의 호랑이 그림이다. 용그림의 왼쪽 윗부분에 찍힌 `원량(元亮)`이라는 주문방인(朱文方印)에 의해 신잠의 작품으로 알려졌다. 용과 호랑이가 내포하고 있는 많은 상징성 중에는 각각 귀신을 쫓는 벽사(僻事)의 의미와 복(福)을 불러들이는 의미가 있는 까닭에 한 화면에 용과 호랑이를 그리거나 혹은 각기 다른 화면에 대련(對聯)으로 그리는 예가 중국에서부터 있어 왔다. 우리 나라에서도 감상화에서 보다는 길상(吉祥)적인 의미의 실용화로서 많이 그려졌고 세화(歲畵)로서 크게 발전하였다.

이 그림의 호랑이는 깊은 산 속 계곡이 내려다보이는 비교적 높은 곳에서 시냇물을 향해 측면상으로 편안하게 앉아 왼쪽 앞다리를 입에 댄 채 핥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퍽 이례적인 자세라고 할 수 있다. 인광(燐光)을 발하는 듯한 왕방울만한 눈, 밤송이같은 눈썹, 상서로운 동물의 상징인 귀치(鬼齒)에는 호분(胡粉)으로 강조를 주었고 배경을 이룬 소나무와 구름으로 표현된 대나무의 무성한 잎은 청록으로 나타내었다. 또 눈 가장자리에 엷은 청색과 붉은 색을 가하여 호분의 흰빛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흐린 먹으로 가볍게 윤곽을 잡아 설채(設彩)하였고 털을 하나하나 자세하게 묘사한 치밀함도 엿보인다. 계곡 주변의 바위에는 절파화풍(浙派畵風)의 영향이 느껴지고 계곡 물 뒤편의 선염 처리된 바위는 깊이감을 조성하고 있다. 우리나라에 전하는 대부분의 호랑이 그림들이 꼬리를 치켜들고 관자(觀者)를 향해 우뚝 서있는 위엄 있는 모습으로 그려진데 반해 이 그림은 그와 같은 형식적이고 정형화된 모습과는 상당히 거리가 있다. 이러한 특징은 이것이 선비화가의 작품이라는 점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설명 출처 : 국립전주박물관





ps : 조선 전기 그림이나 고려시대 그림은 일본에 많이 남아 있더라구염. 저것도 일본에서 가져온 그림입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공지 역사 갤러리 이용 안내 [196] 운영자 11.08.24 81043 189
공지 질문은 Q&A게시판에 해주시기 바랍니다. [205] 운영자 04.09.20 117757 91
2241122 안녕 차콜그레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14 0
2241121 호밀(211.214) 06.01 13 0
2241120 몽골은 고려를 형제라고 하였다 (웃음) ■x(119.64) 06.01 16 0
2241119 고대 한국인 조상들을 몰아내고 초원을 얻은 자들의 후예 (웃음) ■x(119.64) 06.01 29 0
2241118 고대 한국인 조상들을 고향에서 밀어낸 집단의 후손 (웃음) ■x(119.64) 06.01 28 0
2241117 수원시 , 서울시 , 경상도 등이 고국 몽골에 나무를 심다 (웃음) ■x(119.64) 06.01 21 0
2241116 이씨조선 건국자가 살다가 온 곳 (웃음) ■x(119.64) 06.01 30 0
2241115 고대 한국인 조상들이 온 곳 (웃음) ■x(119.64) 06.01 31 0
2241114 于時日夲餘噍 ■x(119.64) 06.01 20 0
2241113 왜인의 출처 ㅇㅇ(45.14) 06.01 17 0
2241112 우리민족 산민족 맞음? 역갤러(121.186) 06.01 12 0
2241111 于時日本餘噍, 據扶桑以逋誅; 風谷遺甿, 負盤桃而阻固 ㅇㅇ(103.155) 06.01 14 0
2241110 조선시대 재정을 보면 실현 불가능한 것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웃음) ■x(119.64) 06.01 24 0
2241109 26억원을 투입해 제작한 상상 속의 거북선 (웃음) ■x(119.64) 06.01 13 0
2241107 한국인들이 재현한 "실제 이동가능한 거북선" (웃음) ■x(119.64) 06.01 13 0
2241106 반도인들이 11세기부터 사용했다고 구라치는 가짜 가문 문장 (웃음) ■x(119.64) 06.01 11 0
2241105 조선 경상도에서 백인 유전자 찾고 있던 바보들의 흔적 (웃음) ■x(119.64) 06.01 29 0
2241104 MOLGOL ■x(119.64) 06.01 23 0
2241103 Empire ■x(119.64) 06.01 24 0
2241101 Mongol Empire ■x(119.64) 06.01 27 0
2241098 한국인들이 반도인 일본 조상설을 이야기하면 병신취급이지 (웃음) ■x(119.64) 06.01 33 0
2241097 20세기 내내 병신취급 받다가 21세기에 반일로 지랄한 것 뿐 (웃음) ■x(119.64) 06.01 14 0
2241093 백제가 일본이 되었다고 망상하는 자들을 위한 논리교육 (웃음) ■x(119.64) 06.01 19 0
2241092 구당서, 신당서를 보면 일본과 왜는 별개의 정치 집단이다 [1] ㅇㅇ(103.125) 06.01 30 0
2241091 심심할 때 보면 좋은 수역의 의미 (웃음) ■x(119.64) 06.01 41 0
2241090 지루할 때 보면 좋은 경제수역범위 (웃음) ■x(119.64) 06.01 49 0
2241089 마라도 , 방치 중 (웃음) ■x(119.64) 06.01 40 0
2241087 馬羅島うまらじま마라도(웃음) ■x(119.64) 06.01 41 0
2241085 스페인 ■x(119.64) 06.01 41 0
2241084 프랑코가 레알마드리드 지원하지않았으면 축구역사도 바뀌였겠지? ㅇㅇ(125.251) 06.01 16 0
2241083 한국의 전통음식 (웃음) ■x(119.64) 06.01 22 0
2241081 조선에서는 주로 사람을 때려죽이는 일이 많았다 (웃음) ■x(119.64) 06.01 27 0
2241080 조선인이 조선인을 때려죽인 숫자 (웃음) ■x(119.64) 06.01 16 0
2241079 호랑이가 아니라 표범에 의해 죽는 조선사람들이 많았던 거다 역갤러(172.219) 06.01 18 0
2241078 탈구입미 시대 (웃음) ■x(119.64) 06.01 49 0
2241077 아시아 중심부(중앙)의 위치 (웃음) ■x(119.64) 06.01 16 0
2241076 탈아입구 (웃음) ■x(119.64) 06.01 15 0
2241075 ┌ 일본인(유대인 사냥개)에 탈아입구 마약주사 놓은 것은? [2] ㅇㅇ(77.111) 06.01 21 0
2241074 첫번째로 일본을 완전히 태워 증발시켜야 하는 이유는 ㅇㅇ(77.111) 06.01 20 0
2241073 수증기는 증발 ? 증산 ? 하하하하하하하하 ■x(119.64) 06.01 13 0
2241072 일본,미국(유대인)을 태워 증발시켜야 하는 진짜 이유 ㅇㅇ(77.111) 06.01 53 0
2241071 모든 분야/방면에 무식한 것은 초,중,고 일텐데 [1] ㅇㅇ(77.111) 06.01 20 0
2241070 암울한 미래 (웃음) ■x(119.64) 06.01 48 0
2241069 한국 엘리트 스포츠의 암울한 미래 (웃음) ■x(119.64) 06.01 15 0
2241068 일본에선 진작 사라졌는데…"밸류업 문제는 재벌" ■x(119.64) 06.01 13 0
2241067 "한국 망했네요" 머리 부여잡은 美석학, 출산율 더 낮아졌다고 하자 ■x(119.64) 06.01 16 0
2241066 아까 글 쓰라고 난리치더니. [18] 0)0(113.199) 06.01 25 0
2241065 포기하는 것이 편하기는 해 (웃음) ■x(119.64) 06.01 6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