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본과 국제박람회

ㅇㅇ(125.11) 2021.03.13 20:48:05
조회 692 추천 19 댓글 1
														

세계대전 이전까지만 해도 만국박람회는 강대국에겐 자신들의 나라가 얼마나 과학적, 문화적으로 선진적이고 강한 국력을 지녔는지를 과시하는 장으로 주로 활용되었다.

영국은 1851년에 최초로 만국박람회를 개최하며 철근과 유리로 수정궁을 만들어 자신들의 선진적인 기술을 과시했고 소련과 독일은 박람회에서 국가관을 더 크게 지으려는 경쟁을 하기도 했다.

거꾸로 보면 박람회는 각국이 자랑하는 최고의 제품과 기술을 엿볼 수 있던 장이었고 후발주자 국가들에겐 어쩌면 선진적인 기술과 문화를 배우는 기회가 되는 이벤트였다

일본의 물품이 처음으로 박람회에 출품된 건 1862년 런던박람회로 우키요에, 칠기, 도자기 등을 출품하여 영국과 유럽에 자포니즘 열풍을 불태우게 했다.

이 때 일본의 문화에 대한 열풍 덕분이었는지 1867년 파리 박람회에선 프랑스가 먼저 일본에게 공식 출품을 요청하면서 일본은 이 때부터 전시관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viewimage.php?id=25b4c332eac021&no=24b0d769e1d32ca73cec80fa11d028312e15c0eaac8534358234c142d37c648741ac4f6bd41e5c1a14f08a73fadbea1c60100054da18c25558fd8e58696906ade3ead1


(당시 일본의 전시관)


1867년에는 아직 메이지 유신 전이라 에도 막부와 사쓰마번, 사가번이 각각 박람회에 참가하게 된다. 이 때 사쓰마번이 막부와 별도로 작품을 전시하자 에도 막부가 항의를 하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박람회에는 일본의 곡예사들이 참가하기도 했고 게이샤 분장을 한 여성들이 차를 대접하기도 했다. 당시 일본은 과학기술이 서양보다 한참 열등했으므로 이 쪽보다는 자신들의 문화 관련 물품을 출품하는걸로 가닥을 잡았고, 덕분에 유럽에서 일본 문화에 대한 관심은 지속되었다.


일본은 처음으로 박람회에 '참가'하면서 서양의 열강들의 전시관을 단순히 보기만 한 게 아니라 속으로 많은 걸 깨달았을 것이다


일본이 6년 후 열리는 빈 박람회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것이나 이와쿠라 사절단이 박람회에 참가하고 박람회 이후에 따로 유럽 시장을 노린 기업을 만드는 활동을 한 것에서 알 수 있다. 일본인들에게 박람회는 단순한 전시장이 아닌 근대화를 위한 공부 장소 중 하나였다.

파리박람회를 견학한 시부사와 에이이치는 파리에 체류하며 금융의 구조에 대해 공부하고 자신의 일기에 서양 문명에 대한 감탄과 심경을 언급하고 각국 전시장의 모습을 상세히 기록했다. 귀국 후 그는 일본의 근대화에 지대한 역할을 했다.







viewimage.php?id=25b4c332eac021&no=24b0d769e1d32ca73cec80fa11d028312e15c0eaac8534358234c142d37c648741ac4f6bd41e5c1a14f08a73fadbea1c60100054da18c25202ab8c5e396d05adf34a81


(파리박람회에 참가한 일본인 곡예사들)




viewimage.php?id=25b4c332eac021&no=24b0d769e1d32ca73cec80fa11d028312e15c0eaac8534358234c142d37c648741ac4f6bd41e5c1a14f08a73fadbea1c60100054da18c25656a9d90b393250add200ec


(차를 따라주며 방문객을 대접하던 게이샤들 그림)


이 무렵 일본은 공부성의 부속 학교로 공부미술학교라는 미술 전문 학교가 개교되고 메이지 정부는 문화재 등의 관리에도 대단히 적극적으로 나선다. 당시 일본에게 문화재나 미술품은 단순한 감상 대상이 아니라 외회를 벌어들일 수 있는 주요 수단으로 국책 사업 중 하나가 된 것이다. 일본은 근대 미술까지도 국가 근대화 계획 중 하나로 본 것이다.

사실 동양쪽의 미술품이 대체로 서양에 비해 감상 수단보다 실용성이 있는 경우가 많았는데 일본은 이번에도 미술을 감상 수단이 아닌 외화벌이 수단 + 근대화 작업의 일환으로 삼은 셈이다.







viewimage.php?id=25b4c332eac021&no=24b0d769e1d32ca73cec80fa11d028312e15c0eaac8534358234c142d37c648741ac4f6bd41e5c1a14f08a73fadbea1c60100054da18c25152afd959393b57ad3cfbeb


(1867년 당시 일본인 참가단들)








viewimage.php?id=25b4c332eac021&no=24b0d769e1d32ca73cec80fa11d028312e15c0eaac8534358234c142d37c648741ac4f6bd41e5c1a14f0e71ef8d2e412ea941514d315b631912ada5ea153d2ab3e90


1873년 오스트리아 제국의 빈에서 5번째 만국박람회가 열렸다. 여전히 유럽은 1860년대부터 이어져 온 자포니즘 열풍이 있었고 일본 문화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었다.


빈 만국박람회 전인 1871년 일본 제국은 만국박람회에 초청을 받아 처음으로 단일 정부로 참가하게 된다.


일본은 전시관을 준비하기 위해 따로 정부 기관를 설립하고  만국박람회가 일본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수출을 촉진하며 서양의 우수한 기술을 배우는 기회가 될 것이라 생각해 박람회 준비에 엄청난 노력을 기울였다.


전시회에 낼 예술 작품을 위해 황실과 귀족들의 소장품을 몇 달 동안 검사했고 각 지방의 중요한 특산물을 나열하고 전시용과 일본 내 보존용으로 두 점씩 준비했다. 당시 대학에서 전시회를 예행 연습하기도 했다.


아무튼 준비를 끝마친 후 일본은 41명의 정부 관계자들, 이와쿠라 사절단 등이 빈으로 출발했다.








viewimage.php?id=25b4c332eac021&no=24b0d769e1d32ca73cec80fa11d028312e15c0eaac8534358234c142d37c648741ac4f6bd41e5c1a14f0e71ef8d2e412ea941514d315e030cf7ddc5ba75cd2abe16c


(박람회에 참가한 일본인들)








viewimage.php?id=25b4c332eac021&no=24b0d769e1d32ca73cec80fa11d028312e15c0eaac8534358234c142d37c648741ac4f6bd41e5c1a14f0e71ef8d2e412ea941514d315bb3cce7dd95bf408d2ab5ed8


일본은 약 1,300 평의 부지에 신사와 일본 정원을 짓고 토리이와 홍예다리, 연못 등을 배치했다. 폭포를 작게 재현하기도 했고 무녀들이 춤을 보여주기도 했다


출품작은 오스트리아와 독일인 외교관들에게 조언을 얻어 서양의 모방에 불과한 기계 제품이 아닌 일본 전통의 정교한 미술품과 공예품을 위주로 전시했다. 우키요에와 도자기, 칠보 부터 부채, 직물, 종이, 곰 가죽, 일본의 새나 물고기 표본, 해초와 식물까지 전시됐다고 한다.


또 서양인들의 이목을 끌만한 거대한 구조물로 나고야성의 꼭대기를 장식하는 킨샤치, 4m 높이의 가마쿠라 대불 모형, 직경 2m의 북과 직경 4m의 등불 등을 준비했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일본식 정원과 신사로 구성된 전시관의 평판이 매우 높았고 전시물도 불티나게 팔려 일주일만에 수천 점의 물건이 팔렸다. (기념품 판매는 금지였으나 일본은 특혜였다.)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 부부가 방문하기도 했다.


일본은 전시 뿐 아니라 서양을 배우는데 대단히 적극적이었다. 일본인은 각국 전시장은 물론이고 빈 시내 시외, 학교와 공장, 빈 시청 등을 모두 방문했다.


박람회 종료 후 일본관의 건물과 정원은 영국의 알렉산드라 파크사가 매입하여 런던으로 옮겨진다. 파크사는 박람회 후 메이지 정부의 국책기업인 기립공상회사와 계약해 매입한 시설을 일본 물건을 판매하는 판매점으로 썼다.








viewimage.php?id=25b4c332eac021&no=24b0d769e1d32ca73cec80fa11d028312e15c0eaac8534358234c142d37c648741ac4f6bd41e5c1a14f08a73fadbea1c60100054da18c25358a3de5f3e6a54adc2a186


(일본정원을 짓는 모습을 그린 서양화)





viewimage.php?id=25b4c332eac021&no=24b0d769e1d32ca73cec80fa11d028312e15c0eaac8534358234c142d37c648741ac4f6bd41e5c1a14f08a73fadbea1c60100054da18c25253a3d85a683f51ad7b933a




viewimage.php?id=25b4c332eac021&no=24b0d769e1d32ca73cec80fa11d028312e15c0eaac8534358234c142d37c648741ac4f6bd41e5c1a14f08a73fadbea1c60100054da18c25355a8dd0b6d6f06adf9ccef




viewimage.php?id=25b4c332eac021&no=24b0d769e1d32ca73cec80fa11d028312e15c0eaac8534358234c142d37c648741ac4f6bd41e5c1a14f08a73fadbea1c60100054da18c25855a9df5c3c3b02ad220058




viewimage.php?id=25b4c332eac021&no=24b0d769e1d32ca73cec80fa11d028312e15c0eaac8534358234c142d37c648741ac4f6bd41e5c1a14f0e71ef8d2e412ea941514d315b56192798a0ba40fd2ab63eb




viewimage.php?id=25b4c332eac021&no=24b0d769e1d32ca73cec80fa11d028312e15c0eaac8534358234c142d37c648741ac4f6bd41e5c1a14f0e71ef8d2e412ea941514d315b736947a8f5ca40fd2ab1fd6




viewimage.php?id=25b4c332eac021&no=24b0d769e1d32ca73cec80fa11d028312e15c0eaac8534358234c142d37c648741ac4f6bd41e5c1a14f08a73fadbea1c60100054da18c25359a98f0d396d01adac4ce9


(당시의 일본의 출품작들, 일본관을 묘사한 그림)


일본은 이 때 일본의 공예품이 불티나게 팔린 것을 확인하고 일본의 공예품을 본격적으로 유럽에 수출하기 위해 '기립공상회사'라는 국책 회사를 설립하였고 이는 당시 일본 제국에게 상당한 외화를 벌어다 주었다.


또 이 때를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일본에 박람회와 박물관에 대한 열풍이 불기 시작했다. 빈 박람회에 참가했던 사노 츠네타미는 박람회에 대한 보고서에 일본에도 박물관을 만들 것을 매우 강하게 주장했다.


일본은 개국 이전 에도 시대부터 이미 본초회, 물산회와 같은 자체적인 전시회들이 있었는데 빈 박람회를 기준으로 대부분 박람회나 전시회 등등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877년 메이지 정부는 우에노 공원에서 국가산업전시회라는 정부 주도의 박람회를 개최하기 시작했다.








viewimage.php?id=25b4c332eac021&no=24b0d769e1d32ca73cec80fa11d028312e15c0eaac8534358234c142d37c648741ac4f6bd41e5c1a14f08a73fadbea1c60100054da18c20504ff8c096b6e03adc77c15


일본에게 있어 박람회는 일본의 문화를 서양 국가에게 알리고 이를 바탕으로 일본의 공예품을 유럽에 수출하며 외화를 벌고 유럽 국가들의 선진적인 기술과 문화를 배우는 장이었다.


또 일본은 박람회를 통해 일본의 미술품과 공예품의 가능성을 확인하여 국가가 미술을 근대화의 작업 중 하나로 취급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는 결과적으로 일본의 근대 미술은 빠르게 발전해 1900년 파리 박람회에 일본이 순수미술분야로 미술품 257점을 출품한다.


일본에게 박람회는 근대화와 근대 일본 미술사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viewimage.php?id=25b4c332eac021&no=24b0d769e1d32ca73cec80fa11d028312e15c0eaac8534358234c142d37c648741ac4f6bd41e5c1a14f08a73fadbea1c60100054da18c25959afd95d383d53ad454b6a


박람회를 대하던 태도는 청나라와 많이 대비된다.


사실 청나라는 1851년 첫 엑스포가 열릴 때 청의 상인이 비공식적으로 참가했었고 당시에 엑스포에서 다양한 상을 받았다는 기록이 있다. 하지만 청나라 정부는 유럽 국가들이 박람회 초청을 지속적으로 했음에도 늘 물품만 보낼뿐 오랫동안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일본이 참가한 빈 박람회 즈음에 중국은 더 이상 동아시아를 대표하던 국가가 아니었다. 장황한 설명이 달려 있었고 유럽에서 호평받던 일본의 전시품과 달리 중국이 보낸 물품의 설명은 길어야 두 줄에 불과했다.


1876년에서야 청나라는 처음으로 박람회에 공식참가단을  보낸다. 이 때 대표인 리구이는 서양보다도 일본을 의식했던 것 같다. 다른 서양 국가에 대한 평가보다 일본에 대한 언급이 많았는데 일본의 도자기에 대해 자국것만 못하다는 등 상당히 칭찬에 인색했다.


여전히 청은 동아시아 문화의 중심국으로의 자존심도 버리지 못했고 서양을 뒤쫒으려한 일본에 대해 비아냥거릴 뿐 나아가질 못했다.


2년 후에 청나라는 파리박람회에 다시 참가했다. 이 때 청 대표로 참가한 마젠중은 서구의 기술과 정치 교육제도를 칭찬하며 청이 천조대국이란 생각을 버려야한다고 말을 했는데


귀국 후에 고향 사람들은 그의 집을 때려부수고 마젠중은 가는 곳마다 욕을 먹고 돌을 맞아 뒤통수가 깨지기도 했다. 이 때 보수 세력들은 마젠중 같은 사람이 늘까봐 미국에 간 유학생을 귀국시켜버렸다.


1903년 오사카의 박람회(자국박람회)에 청은 각 성의 관리를 각각 파견하며 대단히 적극적으로 출품에 관여했으나 때는 늦었다. 당시의 박람회는 직접적으로 더 이상 청이 일본의 상대조차 되지 않음을 보여준 자리였다.






출처 : 실라

추천 비추천

19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공지 역사 갤러리 이용 안내 [196] 운영자 11.08.24 81028 189
공지 질문은 Q&A게시판에 해주시기 바랍니다. [205] 운영자 04.09.20 117745 91
2241028 모럴 헤저드(moral hazard) ■x(119.64) 02:45 1 0
2241027 당신들은 거짓을 이야기한 뒤에도 양심의 가책이 없는거야 (웃음) ✈+(119.64) 02:28 6 0
2241026 중 관영 “한국, 외교적 미성숙…한중일 직후 한미일 만난다니” ✈+(119.64) 02:21 4 0
2241025 한국 발표문엔 없는데…中 "尹, 하나의 중국 원칙 견지" (웃음) ✈+(119.64) 02:19 5 0
2241024 중국은 지금 기술을 훔쳐와야지 반도체 굴기라는 드라마가 완성되요 ✈+(119.64) 02:17 5 0
2241023 중국 환상에 빠져있다가 나오면 원래 대가리가 병신이 되죠 (웃음) ✈+(119.64) 02:16 4 0
2241022 과거 조선족들과 다르게 요즘 조선족들은 지성과 논리가 더 없네요 ✈+(119.64) 02:15 4 0
2241021 욕설을 탄생시킨 주역들도 대부분 양반들이고 그 것이 조선 전통이다 ✈+(119.64) 02:00 6 0
2241020 한국 영화에 욕설이 다수 등장하는 것은 필수불가결한 부분 (웃음) ✈+(119.64) 01:58 5 0
2241019 조선인들을 모집한 군대에서도 특유의 근성을 억누르려고 욕설한 것 ✈+(119.64) 01:56 5 0
2241018 한국에서 욕설이 많은 이유는 문화적인 배경에 기인하는데 (웃음) ✈+(119.64) 01:54 6 0
2241017 10년 전이랑 비교하면 세상 정말 많이 달라졌지요 (웃음) ✈+(119.64) 01:53 6 0
2241016 그릇된 교육으로 조선총독부 시절 찬란한 근대화를 못 보는 세대들 ✈+(119.64) 01:51 5 0
2241015 조선총독부에서 만들어놓은 신여성 예술진흥을 파괴한 리싱만 (웃음) ✈+(119.64) 01:50 6 0
2241014 일본제국 시절과 비교하면 현대 일본 정치인들은 한심하지 ㅇㅇ(118.235) 05.30 10 0
2241013 중국 지도자 다쓰면 호밀(211.214) 05.30 13 0
2241012 호밀(211.114) 05.30 16 0
2241010 한국군에 학살당하기만한 중국군(장진호 전투는 거짓) [1] 역갤러(222.121) 05.30 48 0
2241006 채상병 사건도 그렇고.. [16] 0)0(113.199) 05.30 40 0
2241003 여자들은 원래 기회에 따라서 행동을 바꾸는 경향이 강하니까 , ✈+(119.64) 05.30 22 0
2241002 주식 시장은 이미 볼 장 다 봐서 차익을 이자 갚는 용도로 사용하고 ✈+(119.64) 05.30 21 0
2241001 한국 주력은 미국으로 안전하게 탈출 중 (웃음) ✈+(119.64) 05.30 19 0
2241000 이걸 만들려고 십 년 정도 걸렸으니까 , ✈+(119.64) 05.30 22 0
2240999 디시 알바 너네 같은 애들도 포함해서 말하는거야 (웃음) ✈+(119.64) 05.30 19 0
2240998 조선족들이 들어와서 중국을 이해해달라는 것 자체가 코메디 ✈+(119.64) 05.30 25 0
2240997 안보이는듯 보이네. [12] 0)0(14.33) 05.29 24 0
2240996 쪽바리들은 걍 호밀(211.214) 05.29 24 0
2240995 우리나라는 대가리가 쓰레기인듯 [1] 하가메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31 0
2240994 [1] 마인(211.235) 05.29 33 1
2240993 역대 일본 지도자 [1] 마인(211.235) 05.29 32 1
2240992 역대 한국 지도자 [1] 마인(211.235) 05.29 32 1
2240991 기반은 부실하지만 정신승리만 남은 세계 최고 선진국 (웃음) ■x(119.64) 05.29 109 0
2240990 대한제국도 생각보다 근대화 꽤 이뤘었네 [1] ㅇㅇ(39.7) 05.29 28 0
2240989 백제 동성왕 모대(牟大)가 신라 지증왕 지대로(智大路, 모대의 대大자) 수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31 1
2240988 ㅇㅅㅇ 역갤러(223.38) 05.29 124 0
2240985 '당'(선비족) 스스로 조선의 후예라 비석에 남김 ㅇㅇ(77.111) 05.29 37 0
2240984 유튜브에서 중국 찬양하는 병신새끼 박제 ㅇㅇ(121.161) 05.29 32 0
2240974 채상병 사건도 있으니 [83] 0)0(113.199) 05.29 26 0
2240972 온 국민 역사교과서. 차례 1,2권 ㅇㅇ(77.111) 05.28 34 0
2240971 한국 지도자 [1] 마인(112.220) 05.28 29 1
2240970 우리나라 만세이 2024 ㅇㅇ(60.111) 05.28 28 0
2240968 그거 붙는다고 하는데 떨어졌네 [18] 0)0(118.235) 05.28 49 0
2240967 우리나라 문화재가 생각보다 존나 많네 역갤러(125.244) 05.28 33 1
2240960 우키시마호 명단 스키피오아프리카누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33 0
2240959 세상에... [12] 00(39.118) 05.27 40 0
2240958 중국의 자칭 일중전쟁(웃음) 미국이 해방시켜줌 역갤러(112.170) 05.27 43 0
2240957 "중국인은 매춘부" 일본 아파트단지 혐오 역갤러(112.170) 05.27 269 0
2240939 한국과 일본은 고유 유전자가 있는데 vsel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6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