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최근 방문

NEW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마블 라이벌즈, 안일한 오버워치에 경종 울릴 히어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12.11 19:17:31
조회 4111 추천 0 댓글 5
마블 라이벌즈 시작 화면 (사진: 게임메카 촬영)
🔼 마블 라이벌즈 시작 화면 (사진: 게임메카 촬영)

[게임메카=이우민 기자] 한 때 국내에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arvel Cinematic Universe, 이하 MCU)가 선풍적인 인기를 끈 적이 있다. 캡틴 아메리카부터 아이언맨, 스파이더맨, 수많은 히어로들이 총집결하는 어벤져스까지 MCU는 국내는 물론 전세계적으로 많은 팬들을 양성했다. 기자도 그 중 한 명이었으며, 영화뿐 아니라 원작 만화를 찾아볼 정도로 깊이 파고들기도 했다. 비록 지금은 여러모로 아쉬운 행보를 보이고 있지만, 기자는 아직도 가끔씩 MCU 영화를 돌려보며 이전의 영광을 그리워하고는 한다.

그러던 중 마블 히어로들이 등장하는 하이퍼 FPS ‘마블 라이벌즈(Marvel Rivals)’가 발표됐다. 마블 팬 입장에서 당연하게도 눈길이 갔으며, 마침 발표 당시 동일 장르의 오버워치 2(Overwatch 2)를 하고 있었기에 더욱 관심이 쏠렸다. 그렇게 직접 체험한 마블 라이벌즈는 하이퍼 FPS의 게임성은 살리고, 원작 만화부터 MCU까지 마블 팬을 폭넓게 아우르는 작품이었다.

하이퍼 FPS 공식 그대로, 익숙한 게임 구조

마블 라이벌즈는 팀 포트리스(Team Fortress)나 오버워치를 했다면, 튜토리얼 없이도 플레이할 수 있을 만큼 동일한 구조를 가졌다. WASD와 마우스로 기본 조작을 하며, Q버튼과 좌측 쉬프트 키 등으로 스킬을 사용하는 것까지 동일하다. 실제로 기자는 튜토리얼 없이 바로 본 게임을 시작했음에도 낯선 느낌을 전혀 받지 못했다.

나아가 화물 호송, 점령전 등 게임 모드부터, 탱커, 힐러, 딜러로 나뉘는 캐릭터 포지션, 2층과 좁은 지형 위주의 맵 등 전반적으로 기존 하이퍼 FPS의 공식을 그대로 따른다. 장르 특유의 가벼운 캐릭터 조작감으로 빠른 전투 템포를 자랑하며, 치유 장판을 생성하거나 적을 끌어당기는 등 다채로운 스킬이 풍성함을 더한다. 헤드샷을 맞췄을 때 추가 이펙트와 함께 적을 한 방에 제압하는 손맛도 건재하다.

하이퍼 FPS의 꽃이라 할 수 있는 화려한 궁극기도 빠질 수 없다. 주위 적에게 거미줄을 난사하거나 범위 내 적에게 수 차례 검격을 날리는 등 궁극기로 적을 한번에 쓸어버리는 시원한 쾌감도 여전히 느낄 수 있다.

기본적인 조작법부터 (사진: 게임메카 촬영)
🔼 기본적인 조작법부터 (사진: 게임메카 촬영)

🔼 화물 운송, 점령전 등 게임 모드도 익숙한 요소가 많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궁극기로 적을 쓸어버리는 손맛도 건재하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궁극기로 적을 쓸어버리는 손맛도 건재하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대신 협공 스킬이라는 요소로 차별화를 꾀했다. 협공 스킬은 특정 캐릭터들이 한 팀에 있을 때 발동하는 추가 효과로, 피해량이나 치유량이 늘어나거나 특수 스킬이 해금되기도 한다. 캐릭터 선택화면에서 팀원의 협공 파트너 캐릭터도 확인 가능한 만큼, 상황에 따라 조합을 맞추는 재미가 쏠쏠했다.

다만 그로 인해 조합이 강제되는 경우도 있었다. 협공 스킬로 증가되는 피해량과 치유량이 15~20%로 꽤 높은 데다, 장르 특성상 스킬 하나의 중요성이 상당히 크다. 때문에 승리를 위해서 본인보다 먼저 캐릭터를 고른 유저에게 어쩔 수 없이 맞춰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실제로 기자는 첫 랭크 게임에서 협공 스킬 발동을 위해 특정 캐릭터 선택을 강요 당하기도 했다.

그러다보니 다른 작품에 비해 폭넓은 캐릭터 숙련도가 강제된다. 특히 초보 유저의 경우 한 가지 캐릭터만 깊게 파는 경우가 많은데, 요구되는 숙련도에 대한 부담감이 진입 장벽으로 다가올 우려가 있어 보였다.


추가 효과나 스킬이 부여되는 '협공 스킬'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추가 효과나 스킬이 부여되는 '협공 스킬' (사진: 게임메카 촬영)

원작 팬과 MCU 팬 모두 놓치지 않았다

마블 라이벌즈는 전반적으로 원작 코믹스를 기반으로 한다. 토르나 아이언맨 등 MCU에 등장했던 캐릭터도 많지만, 기본 외형은 원작을 따른다. 루나 스노우나 스쿼럴 걸 등 만화에만 나온 캐릭터도 다수다. 도쿄 2099, 공생 지표면 등 일부 맵 역시 마찬가지다.


캐릭터와 맵 등 전반적인 구조는 원작 코믹스를 따른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캐릭터와 맵 등 전반적인 구조는 원작 코믹스를 따른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이러한 부분은 원작을 모르는 유저라면 다소 낯설긴 하나, 이들을 위한 장치가 곳곳에 마련되어 있어 거부감이 들지는 않는다. 우선 원작 캐릭터를 그대로 가져온 것이 아닌 현대 감성에 맞춰 재해석을 거쳤다. 호크아이를 예로 들면 원작의 구식 가면이나 선글라스 대신 현대식 닌자를 연상케 하는 복장으로 탈바꿈했다. 여기에 시그니처 컬러인 보라색 위주의 색채감으로 원작 분위기를 살렸다.

또한 게임 내에서 캐릭터의 원작 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어, MCU에만 익숙하거나 아예 마블 세계관을 잘 모르는 유저도 배경 이야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마치 소설을 읽는 것처럼 내용이 많기에, 게임에 한정되지 않고 마블 IP 자체에 대한 매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느낌이다.

일부 캐릭터는 현대 감성에 맞게 새롭게 태어났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일부 캐릭터는 현대 감성에 맞게 새롭게 태어났다 (사진출처: 마블 공식 홈페이지, 게임메카 촬영)

원작 스토리도 게임 내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원작 스토리도 게임 내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캐릭터는 무료, 구매욕구 자극하는 착한 유료 상품

마블 라이벌즈는 무료 서비스 게임인 만큼, 유료 상품을 빼놓을 수 없다. 마블 라이벌즈의 주요 유료 상품은 시즌 배틀패스와 캐릭터 스킨으로, 영웅은 모두 무료로 제공되어 플레이에 지장이 없도록 구성됐다.

대신 어벤져스: 엔드게임,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등 MCU에 등장한 모습은 유료 스킨으로 제공한다. MCU 스킨 가격은 약 3만원으로 조금 비싼 편에 속하지만, 스킨에 추가 능력치가 있는 것도 아니거니와 모든 캐릭터가 무료로 제공되는 만큼 어느 정도 감안할 수 있었다. 나아가 원작 고증도 꽤 잘 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사가 돈에 눈에 멀었구나’보다는 ‘이 정도면 하나 사줄 만 한데?’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

그 외 배틀패스 구성품도 캐릭터 스킨과 하이라이트 연출, 스프레이 등 꾸미기 아이템으로만 이루어졌다. 특히 배틀패스에서만 획득할 수 있는 전설급 스킨과 하이라이트 연출이 포함되어 있어, 자연스럽게 구매욕구를 자극한다.


유료 상품은 스킨과 스프레이 등 꾸미기 아이템 뿐이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유료 상품은 스킨과 스프레이 등 꾸미기 아이템 뿐이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밸런스와 운영이 관건, 하이퍼 FPS 대표작 될 수 있을까

간혹 부족한 최적화로 프레임 드랍이 발생하거나, 일부 스킬 설명이 미흡하다는 점 등 아쉬운 부분도 있었다. 그럼에도 마블 라이벌즈는 마블 팬 입장에서도, 하이퍼 FPS 유저 입장에서도 만족스러운 작품이었다. 장르 특유의 게임성은 살리고, 여기에 마블의 다양한 캐릭터와 전장을 더해 매력을 채웠다. 특히 무료 서비스임에도 모든 캐릭터를 유료 결제없이 플레이할 수 있다는 점도 큰 장점으로 다가왔다.

그만큼 장기 서비스를 위해서는 캐릭터 밸런스와 향후 운영이 주요 과제로 떠오른다. 과거 오버워치가 너무 느린 영웅 업데이트 주기와 밸런스 문제로 많은 유저가 빠져나간 만큼, 이러한 부분에 대한 각별한 주시가 요구된다. 제작사 측에서도 이를 인지하고 발매 4일만에 프레임 드랍 현상과 버그 수정에 나선 만큼, 꾸준한 업데이트로 하이퍼 FPS의 또다른 대표작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Copyright © GameMeca All rights reserved.]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본업은 완벽해 보이지만 일상은 허당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7 - -
공지 안녕하세요, 게임메카 갤러리를 오픈했습니다. [53] 운영자 20.07.13 41857 42
16384 명조 번역 나아질까? 쿠로게임즈 한국 지사 연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7 279 0
16383 '갓겜'이라 불렸던 킹스레이드, 3월 15일 문 닫는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7 126 0
16382 [숨신소] 오컬트 공략 추리게임 ‘도시전설 해체센터’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7 67 0
16381 3 대 3 태그 매치, 헌터x헌터 격겜 7월 17일 발매된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7 225 0
16380 [피규어메카] 새로 나온 블루 아카이브 피규어 아!루?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7 247 0
16379 [오늘의 스팀] 에이펙스 레전드, 하락세 멈추고 반등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7 154 0
16378 레전드 오브 이미르, 실제 유저 같은 적 '검은 발키리'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7 65 0
16377 [롤짤] 한화생명에서도 멈추지 않는 제우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7 571 0
16376 메탈슬러그 느낌 메트로배니아 ‘건즈 오브 퓨리’ 출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6 487 0
16375 GTA 6 출시 후에도 GTA 온라인 서비스 지속된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6 729 0
16374 [판례.zip] 게임사 vs 게임위 소송 2건, 엇갈린 판결 [1]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6 3800 0
16373 아스트로봇, TGA 이어 DICE 어워드 GOTY 수상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6 483 0
16372 주의! 스팀에서 '트로이 목마' 탑재된 게임 배포됐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6 11566 0
16371 김동건 대표, 마비노기 모바일에도 '특별한 나' 있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260 0
16370 P의 거짓 오케스트라 콘서트, 3월 22일 잠실서 개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395 0
16369 2024년 성적표 받은 국내 게임사, 반등 절실하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470 0
16368 붕괴하는 세계 '디지몬 스토리 타임 스트레인저' 발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952 0
16367 레전드 오브 이미르, 북유럽 감성의 4개 클래스 소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41 0
16366 서브컬처 철도 시뮬 RPG ‘레조넌스’ 정식 출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248 0
16365 가을 할인 두 달 당긴다, 스팀 하반기 할인 일정 공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425 0
16364 엠게임 2024년 영업익 128억, 전년比 40% 감소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81 0
16363 원작 명장면 그대로, 도쿄 구울 모바일 RPG 사전예약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80 0
16362 유비 CEO, 어크 섀도우스 반응과 사전판매 모두 좋아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4673 0
16361 [이구동성] 넥슨 "리트라이"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682 0
16360 돌아오는 옵치 2 전리품 상자, 중복 스킨 안 나온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644 0
16359 [오늘의 스팀] 용과 같이 8 외전 체험판, 평가 ‘매긍’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264 0
16358 콘솔 1억 대 시대, PS5가 Xbox보다 3배 더 팔렸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4554 0
16357 익숙한 맛, RPG 기대작 '어바우드' 메타 80점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4750 0
16356 하스스톤, 새로운 정규력 명칭은 '랩터의 해'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234 0
16355 피처폰의 추억, 컴투스플랫폼 ‘붕어빵 타이쿤’ 출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75 0
16354 총 20종, 더 파이널스 밸런타인데이 아이템 선물한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36 0
16353 리니지W·저니 오브 모나크, 철권과 컬래버 한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3347 0
16352 메이플M, 밸런타인데이부터 빠른 성장 지원한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371 0
16351 RTX 5070 출시일 3월 5일로 연기, Ti는 2월 20일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961 0
16350 NHN 2024년 게임 매출 4,598억 원, 전년比 3% 상승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67 0
16349 디아블로 4, 다음 확장팩은 2026년 출시 예정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446 0
16348 내년 상반기, 롯데월드에 메이플 아일랜드 열린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17 0
16347 어바우드, 대중성 위해 완성도 희생한 옵시디언 RPG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9691 0
16346 메탈 기어 솔리드 델타: 스네이크 이터, 8월 28일 출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85 0
16345 스킨도 함께, 퍼스트 디센던트에 '온천'이 열렸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356 0
16344 여왕 개미 토벌, 넷마블 나혼렙 '제주도 레이드' 확장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39 0
16343 中 던파 모바일 성과, 넥슨 첫 연매출 4조 원 돌파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8881 0
16342 넷마블, 2년 만에 연간 영업이익 적자 끊었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65 0
16341 [기승전결] 문명 7, 문제 많지만 재미는 있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584 0
16340 중세 속 인간의 다면성 그려낸 ‘킹덤 컴: 딜리버런스 2’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7500 0
16339 [순정남] 게임 표지 사진이 웃음벨 TOP 5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725 0
16338 [오늘의 스팀] 도시전설 파헤치는 추리 신작 관심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225 0
16337 청나라 풍 '한성' 논란 문명 7, 패치로 정상...화?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2134 0
16336 게임위 확률 공개 위반 950건 적발, 99.3% 시정됐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91 0
뉴스 ‘킥킥킥킥’, 지진희·이규형의 폭소 만발 고군분투 디시트렌드 02.1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