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가난한 사람은 복이 있나니

운영자 2016.09.01 16:32:31
조회 273 추천 1 댓글 0

 재래시장에서 이십년간 이불 장사를 하는 사람이 임대차 분쟁관계로 나의 법률사무실을 찾아왔다. 대기업에 밀려 동네가게에서는 아예 물건을 보려는 사람조차 없다고 했다. 자기 뿐 아니라 상인들이 뒤로는 모두 점포를 팔려고 내놓고 있는 실정이라고 했다. 어떻게 먹고 사느냐고 물어보았다. 그냥 먹고 산다는 막연한 대답이었다. 그게 서민경제의 적나라한 현주소였다. 

​가난한 사람들의 어려움은 예전에도 있었다. 내가 중학생 때 보던 문학전집 안에는 5원 짜리 수제비 한 그릇 사 먹고 사직공원 벤치에서 오후를 보낸다는 시도 있었다. 연탄 백장에 김치 한독 쌀 한가마면 한겨울이 푸근하다고 했다. 인간이 살아가는 데는 얼마의 돈이 필요할까. 인간은 무엇을 위해 살아가는 것일까. 소록도에서 43년간 환자를 돌 본 외국인 수녀가 금년에 만해 대상을 받았다는 기사를 보았다. 연금으로 최저생활을 하고 있던 수녀는 받은 상금조차 모두 기부했다. 그 정도면 신이 그의 속에 들어와 있는 게 아닐까. 합천의 산골짜기 암자에 사는 한 스님이 사무실에 들렸다. 그 암자 바로 아래는 작은 시골교회가 있었다. 목사는 닭을 쳐서 거기서 나온 계란으로 교회를 꾸려가고 있었다. 찾아온 스님이 이런 말을 했다.

“내가 시골교회 목사님한테 가서 물어봤어요. 헌금도 안 나오는데 왜 이런 궁벽한 곳에서 목회를 하느냐고 그랬더니 그 목사가 나보고 스님은 왜 골짜기 암자에서 된장을 만들어 팔면서 절을 하느냐고 되묻더라구요.”

소유보다 진리가 소중한 사람들에게는 가난은 가난이 아닌 것 같다. 정읍 부근의 농가를 개조해서 혼자 사는 여성을 만났다. 텃밭에 채소를 키우면서 경전이나 마하리쉬 같은 인도철학자의 책을 읽고 있었다. 그녀는 대학을 졸업한 후 배낭하나 메고 유럽과 인도 등 전 세계를 돌았다. 그리고 시골에 묻혀 한 달에 이십 만원의 생활비로도 영혼이 평안한 노년을 누리는 것 같았다. 스스로의 사상과 의지로 가난한 걸 청빈이라고 했던가.

 임대아파트에 혼자 살던 유명한 시인을 만난 적이 있었다. 그는 암에 걸려 있었다. 인근 중학교식당에서 남은 누룽지를 보내주고 성당의 자원봉사자들이 나물반찬을 가져다주었다. 쇠약해진 몸으로 하루 종일 누워있지만 그는 행복하다고 했다. 창으로 보이는 아침이슬이 맺힌 호박꽃이 어떻게 그렇게 아름다우냐고 했다. 욕심그릇이 작은 사람들은 항상 행복이 넘쳐흘렀다. 인간에게 필요한 것은 정작 얼마 되지 않는 것 같았다. 경제학자인 아담 스미드는 ‘도덕 감정론’에서 인간이 주목받고 과시하기 위한 게 아니라면 돈은 노동자의 생계비로 충분하다고 했다. 없어도 가진 것에 만족하면 부자다. 있어도 더 가지려고 하면 거지다. 

​청빈한 영혼에는 사랑이 충만한 것 같다. 영등포역 부근에서 노숙인 들을 무료로 진료하던 선우경식원장의 처방전은 특이하다. 약 이름 옆에 ‘밥’이나 ‘담요’같은 단어가 씌어 있었다. 눌변이던 그는 말 한마디 글 한줄 남기지 않고 저세상으로 갔다고 한다. 가구점을 하는 논현동의 내가 아는 부부는 임대료도 밀리는 형편이다. 그래도 그들은 삼십년 전부터 남모르게 전과자들을 위해 돈을 보냈다. 그게 누적되어 십사억원의 기적이 된 걸 우연히 알았다. 그들은 아무것도 한 게 없다고 생각한다. 가난한 사람은 복이 있나니 천국이 그의 것이라고 한 예수는 무엇을 말했던 것일까.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3373 변호사 사무실 창을 통해 본 ‘역사바로잡기’ 운영자 24.06.03 15 1
3372 황금빛 노을 운영자 24.06.03 13 1
3371 종교 지도자에게 붙인 친일 딱지 운영자 24.06.03 17 0
3370 내 아버지가 친일파라구요? 운영자 24.06.03 10 0
3369 신현확 총리의 친일 논쟁 운영자 24.06.03 14 1
3368 북평 오일장의 풀빵과 낡은 일본 가옥 운영자 24.06.03 16 0
3367 하나님 이의있습니다. 운영자 24.06.03 12 0
3366 도둑중독 운영자 24.06.03 13 0
3365 국민 앞에 사과하셔야죠 운영자 24.05.27 59 1
3364 절망감이 들었다 운영자 24.05.27 40 1
3363 능숙한 연기와 거짓말 운영자 24.05.27 40 1
3362 방송이 만든 가면들 운영자 24.05.27 39 1
3361 나는 세상을 속인 사기범 운영자 24.05.27 43 0
3360 귀신을 본다는 빨간 치마의 여자 운영자 24.05.27 43 1
3359 얼떨결에 성자가 된 도둑 운영자 24.05.27 33 0
3358 종교 장사꾼 운영자 24.05.20 89 2
3357 주병진 방송을 망친 나는 나쁜 놈 운영자 24.05.20 77 1
3356 대도를 오염시키는 언론 운영자 24.05.20 48 1
3355 세상이 감옥보다 날 게 없네 운영자 24.05.20 57 1
3354 악인은 변하지 않는 것인가 운영자 24.05.20 62 1
3353 서민의 분노와 권력의 분노 운영자 24.05.20 50 0
3352 쥐 같은 인생 운영자 24.05.20 66 2
3351 좋은 사람의 기준을 깨달았다 [1] 운영자 24.05.13 138 2
3350 너도 도둑이지만 윗놈들이 더 도둑이야 운영자 24.05.13 73 0
3349 국무총리와 도둑 누가 거짓말을 했을까. 운영자 24.05.13 101 0
3348 도둑계의 전설 운영자 24.05.13 66 1
3347 바꿔 먹읍시다 운영자 24.05.13 62 1
3346 반갑지 않은 소명 운영자 24.05.13 66 1
3345 대도 사건을 통해 말하고 싶었던 것 운영자 24.05.13 58 0
3344 재판을 흥미성 보도자료로 만듭니다. 운영자 24.05.06 88 1
3343 부자들의 비밀금고 운영자 24.05.06 103 3
3342 죄 값 이상을 강요할 권리가 있나? 운영자 24.05.06 78 0
3341 입을 틀어막히는 분노 운영자 24.05.06 86 1
3340 변호사로 정상이라고 생각합니까 운영자 24.05.06 87 1
3339 도둑 일기 운영자 24.05.06 106 1
3338 숯불 나르는 청년의 외침 운영자 24.05.06 95 1
3337 당신은 꽂히면 바로 내 지르는 사람이야 운영자 24.04.29 116 1
3336 아들의 좋은 친구가 되어 주세요 운영자 24.04.29 94 1
3335 도대체 저의가 뭡니까? 운영자 24.04.29 102 1
3334 기억 사진첩 속 어떤 재판광경 운영자 24.04.29 88 1
3333 내가 체험한 언론의 색깔 운영자 24.04.29 93 1
3332 변호사란 직업의 숨은 고뇌 운영자 24.04.29 100 1
3331 저세상으로 가는 법 운영자 24.04.29 110 1
3330 인권변호사의 첫걸음 운영자 24.04.22 122 1
3329 깨어있는 시민의 의무 운영자 24.04.22 112 1
3328 죄수가 전하는 사회정의 운영자 24.04.22 122 1
3327 이민자의 슬픔 운영자 24.04.22 124 1
3326 강도에게 성질을 냈었다. 운영자 24.04.22 115 1
3325 외국의 감옥 운영자 24.04.22 113 1
3324 벗꽃 잎 같이 진 친구 운영자 24.04.15 152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