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의류 가격 거품 논란에 대해서 흉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engineer 2006.12.14 10:19:50
조회 7452 추천 0 댓글 20


백화점서 66만원에 산 코트값의 진실은? 한겨레] “얼마전 백화점에서 겨울용 코트를 샀는데 66만8천원이었습니다. 카드를 긁는 남편 손이 부들부들 떨리더라구요.” (회사원 이아무개씨·31·여) 이씨는 “옷 값이 비싸도 너무나 비싸다”며 “원가가 얼마나 되는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그가 산 코트의 생산원가는 얼마나 될까? 업계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아무리 비싸게 잡아도 10만원이 채 되지 않는다. 어떻게 이런 ‘뻥튀기’가 가능한 것일까? 구입가격에서 나누기 8을 하면 원가? 옷은 크게 우리가 흔히 ‘브랜드’라고 칭하는 대규모 의류회사에서 자체 생산하는 것과, 중간에 ‘프로모션’ 이라 불리는 중소 의류 유통업체가 대규모 의류회사에 납품하는 것 두 가지로 나뉜다. 브랜드회사가 옷을 직접 만드는 것은 드물고 대부분 프로모션을 통하여 옷을 납품받는다. 큰 회사가 자체 생산보다 여러 프로모션업체들이 경쟁을 통해 생산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훨씬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프로모션은 각 계절 상품을 미리 기획해서 브랜드회사의 ‘오더(주문)’를 받는다. 이때 생산량과 디자인이 정해지게 되고 소규모 의류생산 공장에 하청을 주게 된다. 하청 업체는 프로모션회사와 납품 계약을 맺고 기한에 맞춰서 옷을 생산한다. 하청이 한 단계로만 끝나는 것은 아니다. 물량이 많거나 규모가 큰 하청업체의 경우 ‘재하청’을 하기도 한다. 요즘에는 단가를 낮추기 위해 중국이나 베트남에 곧바로 하청을 주는 경우가 많다. 중국에서 만들면 한국보다 1/3가격에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겨울 아이템 가운데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는 ‘더플 코트’의 경우 4달러면 한 벌을 만들 수 있다. 옷의 품질을 좌우하는 척도가 되는 원단의 경우는 시중 백화점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옷이라면 아무리 고급원단이라 해도 1야드에 1만 원을 넘지 않는다. 소위 ‘부띠끄’에 납품되는 최고급 이탈리아 수입원단의 경우도 원가는 5만원을 넘지 않는다는 게 업계 종사자들의 의견이다. 원단 가격에 스커트 7천~9천원, 자켓 1만4천~1만 8천원, 바지 1만원~1만2천원의 공임이 들어가게 된다. 여기에 마진과 공장운영비 등을 붙여 프로모션업체에 납품을 하게 되면(생산원가의 1.5~2배), 프로모션 업체는 다시 마진을 붙여 브랜드업체에 납품을 한다. (1.5~2배) 이때만 해도 옷 값이 그다지 비싸지는 않다. 대부분의 옷이 10만원을 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브랜드에서 백화점에 넘어가게 될 때 3~5배로 옷 값이 뛴다. 옷 값이 뛰는 이유는 광고, 재고위험 등의 마케팅 비용 탓도 있지만, 백화점 수수료가 만만치않은 역할을 한다. 백화점은 평균 30~40%의 판매수수료를 받는다. 이는 한 브랜드가 백화점에서 월 1억원의 매출을 올렸을 때 3천만~4천만원을 백화점에 낸다는 것이다. 의류회사들은 입을 모아 백화점의 “수수료 부담이 너무 크다”고 말한다. 한 중견 의류업체의 대표는 “백화점은 손해보는 것이 하나도 없다. 다들 도둑놈이다”라며 언성을 높였다. 수수료 부담은 고스란히 백화점 소비자에게 돌아온다. 백화점에서 지불하는 옷값의 30% 이상은 옷과 상관없는 부분으로, 백화점에 내는 돈인 셈이다. 이러한 유통과정으로 보았을 때 이씨의 66만원짜리 코트는 백화점 수수료를 30%로 가정했을 때 순수 옷값만 약 46만원이고, 이 가격은 3~5배로 이윤이 붙은 소매가이다. 최소한의 마진선인 3배로 잡았을 때도 브랜드업체로 납품되는 가격은 15만원 선이다. 여기서 중간 프로모션업체와 하청공장의 마진을 빼면 생산원가는 10만원 이하로 내려가게 되는 것이다. 한 프로모션업체의 직원은 “백화점 입점 브랜드의 경우 간단히 가격에서 7~8로 나누면 생산원가가 나온다”고 말했다. 제 값 주고 사는 소비자는 봉? 의류업계의 상식 ‘3·4·3’ 법칙 생산업체들은 “옷값 거품의 주범은 백화점 수수료”라고 볼멘소리를 하고 있지만, 백화점쪽은 오히려 “옷값을 낮추려면 생산업체가 원가 공개부터 해야 한다”며 으름장을 놓고 있다. 시중 백화점의 한 관계자는 “외국의 경우 백화점 수수료가 50% 이상되는 곳도 있다”며 “백화점 유지비를 보면 수수료가 결코 비싼 게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브랜드 스스로 명동에 매장을 운영한다고 가정하면 수수료 이상의 비용이 들어간다”며 “생산원가부터 공개하고 백화점을 비난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렇듯 생산업체와 백화점이 서로 “잘못이 없다”고 주장하지만 현재 옷의 유통과정은 비정상에 가깝다. 의류업 종사자에게는 ‘3·4·3 원칙’이라는 게 널리 알려져 있다. 생산량의 30%는 고가로 팔아 본전을 뽑고, 40%는 세일기간에 팔아 적정 마진을 남기고, 나머지 30%는 할인마트나 매대 판매 등의 ‘땡처리’를 통해 소진하는 것을 말한다. 2005년 한국섬유산업연합회에서 발표한 ‘의류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남성복의 경우 정상가격으로 구입하는 비율은 22.1%에 불과했다. 100벌 가운데 80벌 가까이 세일가로 팔리고 있는 것이다. 한 의류업체의 직원은 “나는 제 값 주고 옷 안삽니다”라며 옷값 거품의 심각성을 지적했다. 백화점 업계 “외국선 백화점 수수료 50% 넘는 곳도 있다. 절대 안 비싸” 한국의 옷값이 비싸다는 것은 옷을 구매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하는 ‘사실’이다. 특히 차림새에 신경을 써야 하는 직장여성이라면 옷값의 스트레스는 크다. 은행에 다니는 김 아무개(27·여)씨는 “명품을 고집하는 것도 아닌데 옷을 살 때마다 도대체 왜 비쌀까라는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연봉이 2천만원 후반대인 직장인 강아무개씨도 “브랜드 숙녀복의 경우 너무 비싸다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며 “예전보다 점점 비싼 옷들이 많아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국제적으로 유통되는 유명브랜드의 옷값의 국가간 가격을 보면 한국의 옷값 수준은 더 확연하게 드러난다. 국내에서 인기가 많은 미국 ㅍ사의 옷은 미국 현지 소매값보다 1.5배에서 2배 이상의 가격으로 팔린다. 미국보다 소득 수준이 높지 않은 한국에서 똑같은 옷이 오히려 비싸게 팔리고 있는 것이다. 의류 수입업체는 “관세 등 제반 비용이 붙어서 그렇다”고 해명하지만 소비자들을 납득시키기엔 무언가 부족하다. 미국 아이오와주립대에서 유학중인 이원석(26)씨는 “미국에 와보니 한국에서 8만~9만원 하는 폴로티가 세일할 땐 2만~3만원에 팔리고 있어서 놀랐다”며 “귀국하면 옷사는 것이 꺼려질 것 같다”고 말했다. “싼 게 비지떡”? 20수 랄프로렌 폴로는 68000원, 40수 메이폴은 16800원 옷값 ‘뻥튀기’가 있는 반면에, 할인마트나 새로 등장한 저가형 의류업체들은 시중가보다 훨씬 싸게 옷을 팔고 있다. 저가형 의류업체들은 본사 스스로 기획하여 옷을 만들어 중간 유통마진을 없앴고, 할인마트의 경우 브랜드 광고와 같은 마케팅 비용을 절감했다. 중국에서 만든 질 낮은 의류들이 많았던 것이 사실이지만, 요즘엔 브랜드 자체나 할인마트 본사 차원에서 직접 관리하기 때문에 옷 자체의 품질이 떨어지는 것도 아니다. ‘싼 게 비지떡’이라는 소비자들의 편견 때문이다. 과연 싼 옷이 품질이 떨어질까? 2003년 한국소비자보호원 섬유시험팀에서 실시한 폴로 티셔츠의 품질비교 시험결과를 보면 오히려 폴로·빈폴과 같은 고가제품보다 마루·메이폴과 같은 중저가 의류의 품질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보면 당시 6만8000원에 판매되었던 폴로 랄프로렌의 폴로티는 20수 단사였고, 1만6800에 판매되던 메이폴의 폴로티는 40수 합사를 사용하고 있었다. (1g의 솜을 가지고 20m의 실을 만들면 20수, 40m의 실을 만들면 40수다. 숫자가 높을수록 고급이다. ) 한 의류 프로모션 업체의 대표는 “2만원짜리 옷에 브랜드만 달아서 20만원에 팔리는 것을 보면 안타깝다”고 말했다. 〈한겨레〉온라인뉴스팀 이정국·박주희 기자 jglee@hani.co.kr ------------------------------------------------------------------------------------- 가격 책정과 유통과정에 대한 관리는 업체의 마케팅 전략이겠지만 정말 흔히 말하는 빈폴, 폴로의 고품질 여부는 한 번 이야기 해볼만한 거리가 될 것 같습니다. 비싼 물건이 고급스러고 하이 퀄리티의 이미지를 주는 건 사실이지만 요새 회자되는 된장 열풍같은 일종의 묻지마 마케팅 느낌도 드는 거 같아서요. 흉들의 많은 의견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빈폴이 정말 매스테이지 브랜드로서 가치가 있을까요? 소비자가 빈폴에 보이는 애정(많이 팔아준) 만큼 빈폴이 그만한 제 값을 하는 지 궁금합니다. 전 약간은 부정적인 생각입니다. 저도 디자인적인 면에서 그다지 나아지고 있다고 보질 않아서요.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공지 백화점, 마트 갤러리 이용 안내 [136] 운영자 05.12.27 107671 22
368089 형들 1월 예식인데 도와줘 백갤러(117.110) 06.11 74 0
368088 이스라엘의 강단과 결기가 대한민국에도 있는가... ACADEMIA(119.196) 06.11 22 0
368087 현시점에서 가격만 보면 챈원맨이 [2] 백갤러(118.235) 06.11 116 0
368086 결국 루카무제오가 정점에 섰구나 [1] 백갤러(110.70) 06.11 121 5
368084 이쯤에서 다시보는 차무스 [1] 백갤러(220.64) 06.11 155 10
368083 살토준 살 바에 좀더보태서 톰포드 처사라 [4] 백갤러(223.39) 06.11 162 1
368081 불소의 지난주 6월 3일(월)~9일(일) 데일리룩 [19] 불량소년(121.151) 06.11 249 20
368079 이바노 해본 형들있어?? [2] 백갤러(211.248) 06.10 200 0
368078 아시시 vs 준 vs 딜런앤선 [18] 박기성(122.43) 06.10 334 2
368077 행님들 사초생 첫정장구입계획 함만 봐주세요 ㅇㅇ(223.38) 06.10 67 0
368074 세대갈등이 생기는 이유 (feat 불소) [3] 백갤러(125.137) 06.10 221 9
368073 남이 옷 입는거 횟수까지 카운트 하는 새끼들 뭐냐 [2] 백갤러(118.235) 06.10 159 0
368072 암브로시가 바지원탑이냐? 백갤러(118.235) 06.10 92 0
368071 코르코스가 최고같은데 [5] 백갤러(118.235) 06.10 195 0
368070 더현대서울 << 이새끼 에르메스 언제 들어옴? [2] ㅇㅇ(118.235) 06.10 153 1
368068 클래식 원조 본드가 인정한 준 [8] 백갤러(211.234) 06.10 365 1
368065 살토준읔 일요일에도 열일하네 [2] 백갤러(211.36) 06.09 310 0
368063 클래식은 두 부류로 나뉜다 [3] 백갤러(175.223) 06.09 335 2
368060 살토준은 핸드비율 높은편임?? [4] 백갤러(118.235) 06.09 331 0
368059 이렇게 생기고싶다 [4] ㅇㅇ(119.201) 06.09 368 0
368057 에스콧 챙? 이거 셔츠 [2] 백갤러(211.248) 06.08 219 0
368054 로베레는 잘돼나 [1] 백갤러(118.235) 06.08 239 0
368053 형님들 비올때 다들 뭐 신으십니까? [3] ㅇㅇ(211.234) 06.08 239 0
368052 안드레아에서 파는 셔츠 [4] 백갤러(118.235) 06.08 304 0
368051 육스가격 혜자도 옛날 말이네 [1] ㅇㅇ(223.39) 06.08 216 0
368050 아시시는 얼마임? [7] 백갤러(211.248) 06.08 360 0
368049 셔츠는 어디께 좋음? [1] 백갤러(118.235) 06.08 156 0
368045 여기에 치치오 해본사람 없겠지? [6] 백갤러(211.248) 06.07 292 0
368043 형들 예복 맞추는데 도움좀 줘ㅠㅠ [5] ㅇㅇ(1.242) 06.07 228 0
368042 준은 월드클래스가 맞다 [4] 백갤러(211.248) 06.07 321 0
368041 성공한 사람이 입고 신는것 백갤러(223.39) 06.07 150 0
368039 셔츠 하려는데 칸클리니 vs 토마스 메이슨 백갤러(39.7) 06.07 113 0
368038 루카 박선생 블랙라벨어떰? [4] 백갤러(118.235) 06.07 276 0
368037 이거 보니까 누구 생각나는 사람 없냐? [1] 백갤러(125.137) 06.07 368 5
368034 이기혁 테일러 옷이 진짜 가성비지 [4] 백갤러(118.235) 06.07 361 0
368033 살토준 근데 왜 서양 클래식 오타쿠들이 [5] 백갤러(112.184) 06.07 356 0
368032 예복에 구두 조합 조언 부탁드립니다 [3] 백갤꿈나무(211.36) 06.07 164 0
368031 유럽쪽 브랜드들도 가격 죄다 올랐네 ㅇㅇ(223.39) 06.07 145 0
368030 성공한 자의 조합 [2] 백갤러(39.7) 06.07 237 0
368029 돈 있고 돈 쓰는 사람들이 왜 불쌍함?? 백갤러(223.39) 06.07 98 0
368028 제일 불쌍한 놈들 알려줌ㅋㅋㅋ [6] 백갤러(39.7) 06.07 404 4
368027 살토준 옷을 까는 글들 보면 역겨움 [12] 백갤러(180.81) 06.07 346 1
368026 코트 선호도 더블 싱글 레글런 [1] 백갤러(118.235) 06.07 192 0
368025 깔리 옷 밋밋해보이지않냐 [7] 백갤러(118.235) 06.06 315 0
368024 무리엘로는 영업하는중임? [2] 백갤러(118.235) 06.06 353 0
368020 살토준이 바지도 잘하지않아? [5] 백갤러(118.235) 06.06 342 0
368017 정점의 자켓 [2] 백갤러(118.235) 06.06 494 1
368014 구두나 부츠 안쪽 세무같은 느낌의 재질은 어케 관리함? [3] ㅇㅇ(39.7) 06.06 174 0
368013 바지 비앤 디아이 어디가낫냐 [1] 백갤러(211.248) 06.06 172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