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2023년 보르도: 재배와 양조 최신 트렌드 (1편)

Meursaul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3.22 16:20:01
조회 5267 추천 36 댓글 31

아래 글은 Wine Advocate 소속 평론가이며 보르도/부르고뉴/샹파뉴 등의 지역을 담당하는 윌리엄 켈리 William Kelley가 보르도 지역의 최신 재배 및 양조 트렌드를 정리한 글 <Bordeaux in 2023: The State of the Art>를 번역한 것입니다. 원문은 2023년 3월 8일에 업로드 됐습니다.


본문 분량이 많아 번역본은 4개로 쪼개 올릴 예정입니다. 우선 재배(Farming)에 관련한 내용을 다룬 1편을 올립니다.



a1413caa393ab360a2f1c6bb11f11a39bd7e0b5d9e677c5a57b5



Kelley는 옥스퍼드에서 공부하는 동안 와인의 매력에 빠져 역사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는 3년 동안 대학의 명망 있는 와인 서클의 회장을 맡았습니다. 그는 보르도 1등급 와인부터 소규모 생산자에 이르기까지 구세계 최고의 와이너리들과 시음회를 주최했을 뿐만 아니라 캘리포니아에서 가장 유명하고 흥미로운 와인 메이커들을 처음으로 옥스퍼드에 데려왔습니다. 이 때 켈리는 1940년대, 1950년대, 1960년대 부르고뉴와 보르도의 수많은 훌륭한 와인을 시음할 수 있는 특별한 특권을 누렸습니다. 디캔터 매거진에서 부르고뉴를 취재하고 캘리포니아와 코트 도르에서 수확 작업을 한 후 2017년 WA지에 합류했습니다. 와인을 직접 만들어 본 경험은 와인에 대한 그의 글쓰기 방식에 영향을 미칩니다. 현재 그는 WA에서 부르고뉴, 보르도, 샴페인, 소테른, 마데이라 및 영국 스파클링 와인을 리뷰하고 있습니다.


---------------------------------------------------------------------------------------


(본문 시작)


오늘날 보르도는 현대 역사상 최고의 와인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물론 보르도는 새로운 세대의 와인 애호가들을 열광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곤 했지만, 와인 미디어의 응원 덕분에 지난 30년간 위와 같은 찬사를 여러 번 들으셨을 겁니다.


그렇다면 지난 몇 년 동안 실제로 무엇이 바뀌었을까요? 왜 지금 제 말을 들어봐야 할까요?


다음 글에서는 지롱드 와인 생산의 기술적 세부 사항을 살펴보고, 최근의 농학 및 생태학적 진화를 조사하며, 순수하고 생생한 과일과 구조적 매끄러움을 강한 개별 정체성과 결합하는 '현대적 고전주의'라고 부르는 방식이 글라스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설명합니다.


또한 향후 10년과 그 이후에 보르도 와인 생산자들이 직면하게 될 몇 가지 도전 과제에 대해서도 살펴봅니다. 이 에세이는 지난 한 해 동안 15주 동안 500개 이상의 샤또를 방문하며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2023년 보르도의 최첨단 와인에 대한 광범위한 개인적 개요를 제공합니다.


재배


1980년대 보르도에 새로운 번영을 가져다준 성공적인 빈티지가 연이어 나오자 많은 와이너리들이 와인 제조 시설을 업그레이드하고 현대화했습니다. 그러나 포도밭에서는 일반적으로 생산성 중심의 접근 방식이 유지되었습니다. 당도 성숙을 통해 많은 수확량을 가져올 수 있는 클론과 대목이 선호되었고, 제초제는 오랫동안 토양 관리의 우선적 수단으로 기계 경작을 보완하거나 대체했으며, 농약을 집중적으로 투입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따라서 지난 수십 년 동안 와이너리에 진화가 있었다면, 2000년대 초반이 되어서야 지역 전체가 포도밭에 다시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는 점입니다. 이 시기 보르도의 습한 기후에서 유기농법을 고려하는 생산자는 거의 없었지만, 한편으로는 더 높은 숙성도와 농도를 추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농약 투입을 덜 집약적인 수준으로 줄이려는 노력이 초기에 있었습니다.


많은 최고급 영지들이 제초제 사용을 단계적으로 중단하기 시작했지만, (포도나무와 잡초의) 경쟁을 피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토양을 최대한 맨땅 상태로 유지했습니다. 이 시기는 수확량을 줄이기 위해 그린 하베스팅(green harvesting)을 했습니다. 또한 초본성 피라진 특성을 제거하기 위해 결실 부위를 통풍시키고 포도를 직사광선에 노출시키려 잎을 당기는 작업을 했습니다. 주로 우안에서 일부 포도밭은 포도나무 캐노피의 키를 높여 잎의 표면적을 늘림으로써 숙성을 향상시켰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잘 익거나 과숙된 페놀 성분을 추구하기 위해 늦게 수확하는 것과 결합하여 생산자들이 알코올과 pH에 있어 새로운 기록을 세울 수 있게 해주었고, 지금까지 신대륙의 독점물이었던 파워풀하고 풍부한 와인을 만들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이 2009년과 2010년 빈티지의 연이은 듀오로 절정에 달했을 때 일부 생산자들은 한계 기후에서 숙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적응한 접근 방식이 기후 변화로 인해 따뜻해진 요즘에 정말 적합한지 의문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게다가 특정 시점이 지나면 더욱 성숙한 과실 탓에 와인이 연약해진다는 점이 문제였습니다. 보르도에서 새 천년의 첫 10년간 생산된 와인 중 일부는 놀라울 정도로 일찍 과실을 잃기 시작했고, 엉 프리뫼르때 시음자들을 열광시켰던 풍성한 풍미와는 완전히 대조적인 산화 특성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의문은 오늘날 포도 재배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이어졌습니다. 더 이상 일 년 내내 토양을 그대로 두지 않고 토착 작물이나 파종한 피복 작물(cover crop)을 사용하여 토양을 관리합니다. 비가 오는 날씨에는 피복 작물을 유지하여 물을 흡수하고 트랙터로 포도밭에 쉽게 접근하여 처리제를 뿌릴 수 있으며, 화창한 날씨에는 짚을 말아서 보호막을 만들고, 매우 건조한 날씨에는 언제든지 갈아엎어 물 경쟁을 줄일 수 있습니다. 파종하는 작물은 해당 포도원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질소를 고정하는 콩과의 식물, 보호 짚을 만드는 곡류, 토양을 압축 해제하는 무와 순무와 같은 뿌리 브라시카류가 혼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러한 피복 작물은 유기물을 토양에 재투입하여 수분 보유 능력을 높이고 미생물의 활동을 촉진합니다. 이 모든 것이 포도나무가 극한 기후에 견디는 데 도움이 됩니다.



a15f1caa223669e6e2553e3ec62dafe529733afa2a538aae804e44858f1e55e2d1d88b7b0096603ea7eff51ad82e4ef44b

사진: 슈발블랑의 피복 작물


현대 보르도에서는 캐노피도 매우 다르게 관리합니다. 미래 지향적인 생산자들은 이제 케이스별로 잎 제거 작업을 수행합니다. 잎 제거 작업은 병충해가 심한 습한 재배 계절에 유용하지만, 햇볕이 뜨겁고 화창한 해에는 햇볕에 타버린 포도와 구운 과실 맛을 피하기 위해 결실 구역을 그늘지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거에는 광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캐노피 위치를 높이는 경향이 있었지만, 오늘날 재배자들은 높은 캐노피가 제공하는 추가적인 그늘이 가져다주는 이점과 더 빠른 당 축적(알코올 함량 증가) 및 증발산량 증가(수분 스트레스 가중)라는 단점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려고 노력합니다.


2022년과 같은 빈티지에는 일부 재배자들이 가뭄 조건을 고려하여 수분 스트레스를 받기 쉬운 포도밭에서 캐노피를 평소보다 낮게 다듬는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이러한 적응형 캐노피 관리 추세는 극심한 생육 환경의 영향을 완화하여 생동감 넘치는 과일 풍미를 지닌 균형 잡힌 와인을 생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적응은 거의 즉각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지만, 보르도 최고의 생산자들은 미래를 위해 포도밭을 재구성하는 장기적인 계획도 세우고 있습니다. 가장 근본적으로는 더 따뜻하고 건조한 기후의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포도나무와 대목(rootstock)의 유전학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대목 선택은 지난 몇 년 동안 상당히 진화했으며, 무엇보다도 가뭄 저항성뿐만 아니라 포도가 더욱 천천히 성숙하는 프리미엄을 누리고 있습니다(대목 선택은 와인 알코올과 pH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보르도 포도밭의 대다수는 클론 품종을 심고 있지만, 최근에는 많은 에스테이트에서 최고 품질의 포도나무에서 인증된 무병 새싹 나무를 번식하는 독점적인 마살 셀렉션*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조기 성숙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많은 클론 셀렉션과 달리 일부 마살 품종은 늦게 숙성되어 페놀성 성숙으로 가는 과정에서 당이 덜 축적되며, 이는 알코올 농도 상승과 pH 상승이라는 문제에 대한 가장 흥미로운 접근법 중 하나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최고의 마살 셀렉션이 더 복잡하고 활기찬 와인을 생산한다고 주장합니다. 보르도 포도 유전자의 평균 품질은 1956년 파괴적인 서리가 이 지역의 포도밭을 황폐화시킨 후 과잉 생산적인 품종을 다시 심으면서 크게 떨어졌고, 클론 품종의 성공으로 다양성을 희생하는 대신 약간의 개선을 가져왔지만 고품질의 마살 셀렉션은 미래로의 길을 제시합니다.


역자 주 - *마살 셀렉션(massal selection): 특정 구역에서 병충해에 강하고 맛이 좋은 포도나무를 선별해 재배함으로써 결론적으로 그 떼루아에 최적화된 클론을 지배적으로 만드는 방식



20bcc335e4de75b56bb3d3b602d82b336f21524c8dd5a672011b637906c81c6923527d9a5355de0c775014565e15c8a521946e5ecc0706c7

사진: 클론 셀렉션과 마살 셀렉션의 차이를 잘 도식화해 보여주는 와인폴리 자료



포도나무의 유전적 특성 외에도 생산자들은 햇볕에 탄 과일을 피하기 위해 포도나무의 줄(row) 방향을 최적화하고 있습니다. 포도나무의 한 쪽이 뜨거운 오후 햇볕에 노출되는 동서 방향은 이제 사라지고, 남북 방향 또는 샤또 마고와 같은 일부 포도밭에서는 북동-남서 방향이 대세입니다. 2020년과 같은 빈티지에는 햇볕에 타면 수확량이 크게 감소할 수 있으며, 겉으로 보기에는 멀쩡해 보이는 과일도 나중에 구운 과일 풍미가 드러날 수 있기 때문에 포도밭 토지의 효율성이 떨어지더라도 이러한 노력은 중요한 시도입니다.


생산자들이 변화하는 기후에 적응하고 있다면, 재배 전략도 테루아에 맞게 조정하려고 시도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리로부터 가장 잘 보호되는 메독의 자갈밭은 카베르네 재배에 적합하지만 (서리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일찍 싹이 트는 메를로 품종을 심습니다. 반대로 서리에 더 취약하고 카베르네에 적합하지 않은 낮은 곳에 카베르네를 심기도 합니다. 이러한 토양 연구를 시행한 후 그뤼오 라로즈와 같은 많은 와이너리들은 포도밭을 재구성하여 다른 고려 사항과 관계없이 가장 적합한 토양과 노출을 가진 곳에 다양한 품종을 심었습니다.


포도나무 유전자를 최적화하고 적재적소에 품종을 심는 이러한 이니셔티브와 함께 카베르네 소비뇽과 카베르네 프랑의 재배가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1956년 서리로 인해 카베르네(및 말벡과 같은 다른 품종)가 주를 이루던 곳에 메를로를 새로 심기 시작했고, 1980년대 후반에는 시음회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더 부드럽고 풍부한 와인에 대한 시장의 반응으로 메를로가 다시 부상하기 시작했으니까요. 오늘날에는 완전히 익은 까베르네가 예외가 아닌 일상적인 일이 되었기 때문에 당연히 다시 부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메를로를 완전히 외면하는 것은 실수입니다. 2020년과 2022년과 같은 빈티지에서 단순한 가정과는 달리 메를로는 매우 좋은 성과를 거두었으며 적절한 날짜에 수확된 올바른 유전 물질을 사용하면 많은 현명한 생산자들은 지롱드에서 이 품종의 미래가 보장된다고 믿습니다.


이러한 농업적 이니셔티브는 점점 더 생태학적 접근 방식으로 보완되고 있으며, 유기농으로 전환하는 농장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보르도의 습한 해양성 기후는 곰팡이 발생을 촉진하여 완전한 유기농 인증을 받기 어렵게 만드는데, 특히 프랑스 법률에 따라 미국에서 유기농 인증에 허용되는 강력한 살균제인 포스포네이트의 사용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2018년, 2020년, 2021년과 같이 비가 많이 내리는 해에는 비가 올 때마다 유기농 접촉 제품을 다시 도포해야 하고, 습한 조건(특히 피복 작물이 없는 경우)으로 인해 포도밭에 들어가 치료제를 도포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일부 유기농 생산업체는 곰팡이 방제에 실패했습니다. 토양에 구리 잔류물이 축적되는 것에 대한 의문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생산자들이 유기농법을 고수하고 있으며, 때로는 생물역학 처리로 보완하기도 합니다.



a65b3dad230eb4518bff5a48c25acfd5f206a2d30205f03f999041830fcdc0bd832b9ea03d519c326f

사진: 농림업 이니셔티브(Agroforest Initative)의 개념을 설명하는 이미지


또한 포도원 내에 야생동물 통로, 꽃이 만발한 언덕, 심지어 과수원을 조성할 수 있는 토종 수종의 울타리를 통해 생물 다양성을 재도입하는 농림업 이니셔티브(Agroforest Initative)가 점점 더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생물 다양성의 명백한 이점 외에도 포도나무와 나무 사이의 잠재적인 공생 관계, 나무와 울타리가 기후 극한에 대해 발휘할 수 있는 완충 효과는 이러한 실험의 결과가 매우 흥미로울 것임을 의미합니다. 요컨대, 2023년 보르도의 풍경은 불과 10년 전의 모습과 매우 달라질 것이며, 변화의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습니다.



- 2편에 이어집니다




출처: 와인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36

고정닉 20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공지 실시간베스트 갤러리 이용 안내 [1631/2] 운영자 21.11.18 5384183 425
235467
썸네일
[야갤] 잠수부도 들어가기 꺼려하는 부산 앞바다, 어떻길래.jpg
[3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0 1132 11
23546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이경규 정치성향
[3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55 2942 29
235463
썸네일
[이갤] 인생은 모든게 우연이고 운빨이다
[93]
당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50 3044 36
235461
썸네일
[대갤] 日, 택시 강도 권총 발포 후 도주중... 택시기사는 복부 출혈!
[60]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45 1974 32
235459
썸네일
[바갤] 바린이가 보는 로얄엔필드 출시 대기모델들과 가야할 길
[79]
스쿠터바린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40 2521 42
235457
썸네일
[중갤] 막장 윤석열, 국힘 발의 법안도 거부권 행사
[337]
ㅇㅇ(211.234) 15:35 4905 85
23545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K-파운데이션 쓰고 오열하는 니거
[26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25 11012 130
235452
썸네일
[코갤] 슈카 금투세 결론
[463]
ㅇㅇ(124.28) 15:20 9191 345
235451
썸네일
[리갤] 개추요청) KT는 이번에 진짜 심각한 사안이라는걸 알았으면 좋겠음
[224]
ㅇㅇ(211.251) 15:15 24899 473
235449
썸네일
[야갤] 100억받고 제일예쁜 여자랑살기 vs 100만원 받고 지금아내랑 살기
[190]
야갤러(211.234) 15:10 10487 73
235448
썸네일
[나갤] 오늘자 나는솔로) 역대급 수위 보여주는 여자 출연자..jpg
[31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5 48246 787
235446
썸네일
[야갤] 수능 만점 의대생 살인마 결국 구속기소 ㄹㅇ...jpg
[231]
슈화(착한대만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0 10014 190
235445
썸네일
[주갤] 바람난 여친의 일기장.jpg
[192]
주갤러(211.234) 14:55 14538 107
235443
썸네일
[이갤] 미국사과 가격 해명한 충주시...jpg
[269]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50 11561 102
235442
썸네일
[부갤] 당근으로 직원구했다가 뒤통수 맞은 보배남
[289]
부갤러(45.84) 14:45 14576 78
23544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독일 근황.jpg
[262]
mp4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40 13968 117
235439
썸네일
[카연] 닌자와 음침녀 6화 .MANHWA
[39]
군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5 6113 103
235436
썸네일
[대갤] 홍콩 국가보안법 첫 적용... 선동 혐의로 6명 체포 (천안문 사태)
[85]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25 6074 73
23543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어제 한양대 에리카 축제 외부인 만행
[223]
ㅇㅇ(211.234) 14:20 20809 130
235433
썸네일
[야갤] 오늘자) 전국노래자랑mc 된 심정 말하는 남희석.jpg
[18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5 10294 132
235431
썸네일
[새갤] 민주, 당론 어기면 '공천 불이익' 추진 검토
[165]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 4429 60
235430
썸네일
[카연] 늑대와 동거하는.manhwa(re)
[49]
이지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5 7326 130
235428
썸네일
[걸갤] 실시간 동국대 축제 상황 ㅋㅋ
[187]
걸갤러(185.206) 14:00 19982 63
235427
썸네일
[이갤] 초등학생이 남의 신용카드로 280만원 긁은 사건...jpg
[654]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55 19348 203
235425
썸네일
[디갤] 점점 여름이 느껴지는 교토
[58]
유동교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50 6990 49
235424
썸네일
[해갤] 미국의 철학자가 진단한 PC주의가 만연해진 원인
[286]
해갤러(139.28) 13:45 15183 169
23542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병동의 물리치료사...manwha
[138]
빠요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35 9957 110
235420
썸네일
[새갤] [TV조선] 남미 카르텔 공급 코카인 세종서 첫 검출…필로폰은 인천 최다
[215]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30 9008 90
235418
썸네일
[주갤] [유튜브같이보자] 저출산 원인은 여성에게 불리한 근무환경
[587]
ㅇㅇ(118.235) 13:25 17485 315
235417
썸네일
[이갤] 80년대에 게임 그래픽을 만드는법...jpg
[197]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0 17159 124
235416
썸네일
[이갤] 헤어졌는데 데이트 비용 청구한다고 난리난 사건
[240]
00(223.38) 13:15 15376 58
235414
썸네일
[카연] 원시인 소녀랑 사냥하러 가는 .manhwa
[40]
김소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0 9978 152
235413
썸네일
[남갤] 일본 여자가 생각하는 출산.jpg
[387]
ㅇㅇ(211.246) 13:05 19399 250
235412
썸네일
[새갤] [JTBC] 이종섭, 대통령 개인전화 직후 '박정훈 보직 해임' 지시
[166]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0 7201 89
235410
썸네일
[전갤] 성추행 가해자와 같은 반…학교는 “방법 없어”
[199]
몽쉘통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5 11474 42
23540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세대별 고양이 포켓몬들을 알아보자.jpg
[99]
sakur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0 9111 42
235406
썸네일
[국갤] 문다혜-靑직원 돈거래 의혹 증폭…檢 "노정연 판례 검토"
[137]
...(39.7) 12:40 7442 224
235405
썸네일
[카연] 엘프에 대한 편견.manhwa
[99]
위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5 14413 306
235404
썸네일
[전갤] 날 것의 느낌, 그때 그 시절 대학교 입학식
[140]
몽쉘통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0 12798 47
235402
썸네일
[야갤] 옥상 위 무차별 구타, 대낮에 고등학생들이 벌인 일.jpg
[20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25 12673 107
235401
썸네일
[더갤] 김대호가 말하는 mbc
[283]
대구이대남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20 13369 118
235400
썸네일
[기갤] 경악.. 손녀 성폭행, 참혹한 모습 촬영까지 한 할아버지.jpg
[60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5 23296 142
235398
썸네일
[새갤] [채널A] UAE 대통령, 한국과 CEPA 체결.. MB도 만났다
[171]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0 6599 168
235397
썸네일
[주갤] 훈련병 사망사건.. 대학교 에타, 군커뮤 근황
[526]
주갤러(211.234) 12:05 31279 776
235396
썸네일
[싱갤] 삼성전자 방사선 피폭사고 발생
[47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0 20583 156
235394
썸네일
[A갤] 해피일본뉴스 133 (중국이 새로운 일본?)
[68]
더Inform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55 5400 28
235392
썸네일
[미갤] 서현역 흉기난동범 '최원종' 근황.jpg
[58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5 22931 135
235390
썸네일
[디갤] 섞어서 푸짐하게
[22]
난꽃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0 6628 11
23538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낚시가서 총알 주운 보배인
[54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5 18089 15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