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체스 챔피언 정도는 나이트 하나 떼고 시작해도 이길 수 있다는 바비 피셔의 말 처럼, 유독 체스판에는 강한 여성 선수가 잘 없음.(물론 아무리 바비 피셔라도 지금 여성 챔피언이랑 나이트 떼고 붙으면 처발림) 물론 유디트 폴가라는 예외가 있긴 하지만 이건 좀 다른 케이스고(3살 때부터 체스 신동으로 키울려고 심리학자 아버지가 붙었는데 뭐), 복싱처럼 몸을 쓰는 운동도 아닌데 이상하게 여성 선수들이 잘 활약하지 못함. 이건 사실 체스만 그런게 아니고 바둑이나 장기 같은 보드게임류는 다 그러긴 하지만, 암튼 여성이 남성보다 지능이 낮다라는 말에 증거로도 쓰일 정도로 이상하게 체스에서는 여성이 활약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음. 오늘 주제는 왜 여성이 남성보다 체스를 못할까?에 대해서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해보려고 함.
2
0. 과연 체스는 여자가 못하는 게 맞을까?
현재 체스 top 100 안에 여자는 한명(Hou Yifan)이고 그랜드마스터는 35명 밖에 되지 않아. 하지만 체스 인구는 남성이 압도적이니 여성 그랜드마스터나 탑 레벨 여성 플레이어는 적을 수 밖에 없어. 그리고 불과 몇년 전까지만 해도 세계 랭킹 8위 까지 갔던 주디트 폴가 역시 여성이었고. 어쩌면 체스는 여자가 못하는 건 우리의 고정관념이 아닐까?
이런 주제에 대해서 연구한 논문이 있음. 결론만 말하면, 여성이 남성보다 체스를 못하는 게 맞음. 근데 이걸 증명하는 과정이 좀 복잡함. 궁금하지 않은 사람은 바로 1번으로 넘어가면 됨. 그래서 최대한 간단하게 구한 원리를 설명해보면 남성과 여성의 체스 실력이 차이가 없다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남성과 여성의 숫자를 합친 총 체스 인구에서 랭킹 1위부터 사람을 추출했을 때, 처음에 여성이 나올 확률은 여성 체스인구/전체 체스인구일 거임. 그리고 남성이 나오면 나올수록 여성이 나올 확률이 올라가겠지? 이 때, 랭킹 1위 여성, 랭킹 2위 여성, 랭킹 3위 여성이 몇 등 만에 뽑힐지를 확률변수로 낼 수 있어. 이러한 확률변수를 분포로 만든 것이 확률분포고 우리가 고등학교 때 배운 이항분포가 대표적인 예시야. 이항분포는 시행횟수가 정해져있다면, 이 분포는 결과가 정해져있고 수행횟수가 확률변수지?(k번째 여성이 뽑힐 때까지의 시행횟수.) 이런 확률 분포를 음초기하분포라고 함. 이런 확룰 분포를 구하게 되면, 이제 "완전히 성별 차이가 없다는 가정 하에" n번째 선수가 k번째 여성일 확률에 대한 분포가 만들어져. 그리고 그 확률이 0.05%일때와 99.95% 일 때로 나누어서 각각의 여성의 등수를 범위로 잡으면, 성별 차이가 없다면 반드시 이 범위 안에 모든 여성들이 다 있어야 함. 하지만 실험 결과는 그렇지 않았고, 성차가 있다는 결론이 났음. 혹시 더 궁금한 사람은 Are participation rates sufficient to explain
gender differences in chess performance? 이 논문을 참고하길 바람. 논문에 따르면 아예 99.9%에 근접하지조차 못함. 그야말로 압도적이라고 해도 될 만큼 남성과 여성 간의 체스 실력의 격차가 큼.
자 그렇다면 여성이 남성보다 실제로 체스를 못한다는 건 어느정도 사실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자.
1. 지능적 측면
3
아마 여성이 남성에 비해 체스를 못하는 이유로 가장 흔히 떠올릴 수 있는 게 바로 능지차이임. 단순하게 체스는 머리쓰는 게임이니까 머리가 나빠서 못하는 게 아닐까? 라고 생각해 볼 수 있지. 그러나 지능의 성차는 매우매우매우매우 조심스러운 분야이고, 그 연구가 그 자체로 정치성을 띄는 거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학문내적, 외적으로 엄청난 논쟁거리임. 흔히 체스가 남성이 더 잘하는 이유를 지능의 격차에서 찾는 사람들의 근거는 두 가지임. 첫째는 수컷 변이 가설이라고 하는 심리학 가설에 근거하는 건데, 지능의 평균은 여성과 남성이 차이가 없다 할지라도, 표준편차는 남성이 더 크다는 거임. 다시 말해, 지능의 최상위권과 최하위권은 남성이라는 이야기지. 그니까 당연히 체스 탑 플레이어들은 남성일 수 밖에 없다는 논리야. 여성이 남성보다 멍청해서가 아니고, 여성이 남성보다 더 평균적이기 때문임. 둘째는 공간지각능력의 성차인데, 여러 연구에서 남성과 여성의 공간지각능력에는 성차가 있다고 함. 기물들이 마구마구 움직이는 수 계산과 포지션 평가는 각각 정신회전 능력(머릿속으로 도형을 2차원 혹은 3차원적으로 회전시키는 능력)과 패턴인식 능력이 결정적이니 공간지각능력이 딱봐도 체스랑 중요해보이지?
하지만 이 문제는 매우 조심스러운 분야라고 한 것 처럼, 수컷 변이 가설이 사실인지에 대해선 아직 논쟁 중임. 특히 여성의 노동 진출 비율과 교육 수준이 높은 선진국일수록 이런 격차가 줄어드는 등, 이 가설이 절대적으로 맞다고 보기는 힘듬. 또한 신경과학의 발달로 뇌를 물리적으로 뜯어볼 수 있게 되면서 이 문제에도 접근해보았는데, 남성과 여성의 뇌 구조에서 대뇌피질의 두꺼움 등에서 남성이 더 분산이 크긴 했으나, 이것 역시 변이 가설이 맞다고 단정짓기는 어려워보임. 게다가 공간지각능력 역시 남성호르몬과 관련이 있지 않을까 추측만 해볼 뿐, 아직까지 완전히 확실해진 것은 아니기에 조금 더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함. 이거에 관해선 정말 수백개의 논문이 나와있고, 정리하는 데만 해도 A4용지 5장은 족히 나올 분량이라 요 파트는 요정도만 하고, 더 궁금한 사람은 위키피디아의 Sex differences in intelligence - Wikipedia요기를 참고하길 바람. 대략 지능적 측면은 아마 불리하지 않을까 추측 정도만 할 뿐, 확실한 건 아니다 정도로 정리할 수 있겠네.
2. 신체적 측면
뭐야 그럼 ㅅㅂ 여성이 남성보다 체스를 선천적으로 못하는 건 아니네? 라고 할 수 있음. 하지만 이건 지능적 측면만 고려한거고, 매우 중요한 한 가지 요소를 빼먹은거지. 바로 체력. 체스는 체력이 매우 중요한 게임임. 당장 우리만 봐도 1시간도 제대로 집중을 못하는데, 2시간동안 체스판만 쳐다보면서 온갖 경우의 수를 계산하는 건 초인적인 체력이 필요함. 당장 지금 체스 선수들 피지컬들만 봐도 우리가 흔히 체스 하는 사람들에게 갖는 편견인 유약한 신체랑은 거리가 멈. 실제로 Why grandmasters like Magnus Carlsen and Fabiano Caruana lose weight playing chess (espn.com) 이 글에 따르면, 체스 2시간 하는 데 쓰이는 에너지는 테니스 1시간 치는 데 쓰이는 에너지와 비슷하다고 함. 또한 그랜드마스터들은 토너먼트에서 대략 6000칼로리를 태운다는데, 웬만한 성인 남성들도 버거울 정도의 에너지 소모임. 게다가 최근 체스는 더욱 더 시간이 길어지고, 엔드게임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 당연히 이를 버티기 위해선 평범한 남성의 체력 정도로는 택도 없음. 이런 점에서 여성은 불리함을 안고 들어가야 함. 당연히 남성에 비해서 여성이 체력이 약할 가능성이 높으니까 체스를 하면 할수록 멘탈에 피로가 누적이 될 거고, 한순간의 집중력 저하도 게임을 터트릴 수 있는 엔드게임에서 피로를 느끼는 건 게임을 말아먹기 딱 좋은 환경임. 갠적인 추측이지만 유디트 폴가는 당시 매우 공격적인 성향으로 유명했는데, 이것 역시 어느 정도 장기전으로 가면 체력싸움이 되기 때문에 그 전에 끝장내려는 전략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음.
3. 심리적 측면
여기서 더해서 심리적 측면 역시 존재함. 여기 여성이 체스를 못하는 이유를 심리적으로 분석한 흥미로운 논문이 하나 있음. "Checkmate? The role of gender stereotypes in the ultimate
intellectual sport" 라는 논문인데, 이 논문에서 참가자들은 온라인으로 체스를 하는데, 상대의 성별을 반대로 알려주고 게임을 뒀음. 그 결과가 흥미로운데, 여성의 경우 상대가 남성이라고 믿으면(실제론 여성임) 실력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고, 남성의 경우 성별이 다르면 더 공격적인 성향으로 바뀌고, 여성의 경우 성별이 다르면 더 방어적인 성향으로 바뀌는 경향이 있음. 다시 말해, 여성은 남성에 비해 체스를 못한다는 생각을 남성, 여성 둘 다 가지고 있고, 여성의 경우 그런 생각 때문에 실제로 경기 실력이 줄어든다고 볼 수 있음. 여성이 남성 앞에서 체스를 두면 주눅이 들어서 제대로 하지 못하는 측면 역시 존재한다는 거임. 또한 체스는 매우 경쟁적인 게임임. 한수 한수가 사활을 걸고 게임을 하며, 단 한번의 실수가 게임 전체를 말아먹는 게 매우 흔함. 이런 매우 경쟁적이고, 한수 한수의 압박감이 장난 아닌 게임을 계속 해내기 위해선 스트레스에 버티는 능력이 강해야함. 그리고 다들 알다시피 테스토스테론의 역할이 바로 이런 경쟁적인 게임을 즐기고 스트레스에 대한 압박감을 약화시키는 거임. 당연히 남성이 여성에 비해 이런 게임을 더 잘 즐기고, 더 잘 해낼 수 있을 수 밖에 없음.
4. 문화적 측면
앞서 이러한 요소에 더해서, 체스는 매우 남성중심적인 게임이고, 매우 성차별적인 분위기가 조성되어있는 사회임. 당장 챔피언들의 여성 체스 선수에 대한 이야기만 봐도 알 수 있음. 바비 피셔는 자기는 여성 챔피언이랑 나이트를 떼고 해도 이길 수 있다(참고로 나이트 떼면 체스 엔진도 평균적인 그랜드마스터한테 발림)라고 말했고, 유디트 폴가가 있던 시기에도 카스파로프는 여성은 체스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라고 말하는 등, 대놓고 여성을 차별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었음. 게다가 유디트 폴가 같은 탑 레벨 여성 선수들이 증언한 바에 따르면, 여성 체스 선수한테 진 남성들은 대부분 자기가 컨디션이 안좋았다거나, 두통이 있다는 등의 핑계를 대고, 어떤 경우 악수를 하는 것을 거부하는 등 대놓고 성차별적인 행동들을 했다고 말함. 세계 챔피언 칼슨 역시 체스계가 여전히 여성들에게 보수적이라는 사실을 지적하고 있고. Chess Player Says She Dealt With More Sexism Than 'the Queen's Gambit' (insider.com) 여기서 고담체스에서 자주 나와서 유명한 보테즈가 체스계에 여전히 존재하는 성차별에 대해서 말하고 있음. 관심있는 사람은 찾아보길 바래.
또한 체스와 매우 유사한 영역이라고 평가받는 수학, 공학 분야에서 여성들 역시 매우 적은데, 이 역시 문화적 요소가 한 요인임. 대표적인 예로 냉전 시기 동독은 서독에 비해 수학분야에서 여성의 비율이 높았는데, 동독과 서독은 당연히 같은 민족이니까 유전적인 차이가 있을리는 없음. 아마 똑똑한 체붕이들은 다들 이유를 짐작했겠지만 공산주의 하에서 평등을 강조하다보니 여성의 노동 진출 비율과 교육 비율이 상승했고, 또 전반적으로 평등을 강조하는 분위기가 여성은 수학에 약하다라는 고정관념을 조금 약하게 만들었기 때문임. 또한 선진국들의 사례를 보면, 여성의 교육 수준 향상과 노동 비율 향상은 수학, 과학계 여성 비율의 증가로 이어졌음. 물론 성차가 없다는 건 아님. 하지만 문화적 요인이 여성의 체스 실력 향상이나 선수로써의 성장을 가로막는 하나의 요인이라는 얘기임. 물론 최근엔 달라졌음. 일단 퀸즈 갬빗의 등장으로 여성들 사이에서도 체스에 대한 관심이 불고(물론 남성들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지만) 무엇보다 인터넷 체스와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더 이상 남자들만 바글바글한 체스 클럽에서 굳이 무시당하면서 대전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인터넷으로 게임하고 인공지능으로 복기할 수 있는 시대가 옴에 따라, 조금 더 체스계가 여성친화적으로 바뀌지 않을까 기대해봄.
세줄요약
1. 여자가 체스를 못하는 이유가 지능도 영향이 있을 거라 추측은 하지만 확정된 사실은 아니다.
2. 다만 체력적, 심리적 이유 때문에 여성이 선천적으로 불리한 조건에 있는 건 맞다.
3. 이렇게 된 결과에는 어느 정도 체스계에 만연하는 성차별 문화의 영향도 있다.
참고문헌
Maass, A. ( 1,2 ), C. ( 1 ) D’ettole, and M. ( 1 ) Cadinu. 2021. “Checkmate? The Role of Gender Stereotypes in the Ultimate Intellectual Sport.”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38 (2): 231–45.
Veličković, D., & Radovanović, D. (2018). Gender Differences in Chess Performance. / Rodne Razlike U Šahovskim Performansama. Facta Universitatis: Series Physical Education & Sport, 16(2), 359–364.
Merim Bilalić, Kieran Smallbone, Peter McLeod, & Fernand Gobet. (2009). Why Are (the Best) Women so Good at Chess? Participation Rates and Gender Differences in Intellectual Domains. Proceedings: Biological Sciences, 276(1659), 1161–1165
Michael Knapp. (2010). Are participation rates sufficient to explain gender differences in chess performance? Proceedings: Biological Sciences, 277(1692), 2269–2270.
Chabris, C. F., & Glickman, M. E. (2006). Sex Differences in Intellectual Performance: Analysis of a Large Cohort of Competitive Chess Players. Psychological Science (0956-7976), 17(12), 1040–1046.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