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최근 방문

NEW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미국은 왜 전쟁에서 실패하는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8.26 10:15:00
조회 2364 추천 6 댓글 50


지난 8월16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의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에서 미군 C-17 수송기가 이륙을 위해 활주로를 따라 이동하자 탑승하지 못한 아프간 시민 수백 명이 수송기를 따라 내달리고 있다. /연합뉴스



◇ “미군, 6 .25전쟁 이후 걸프전 빼고 주요 전쟁서 모두 패배”

탈레반에 항복한 아프간 정부와 군의 한심한 모습, 카불공항과 미군 수송기에서 벌어진 안타까운 장면들에 대해선 이미 언론에 너무나 많이 보도됐기 때문에 자세히 말씀드리지 않겠습니다. 아수라장이 된 카불공항의 모습은 1975년 베트남전 말기의 사이공 함락, 1950년 6·25전쟁 때의 흥남철수작전을 연상케 했습니다. 이로써 미국이 20년에 걸쳐 1000조원이 넘는 돈과 2400여명에 달하는 미군의 희생은 사실상 수포로 돌아가게 됐습니다.

이런 결과에 대해 아프간 정부 및 군의 무능과 부패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지만 미국과 미군의 문제를 지적하는 전문가들도 적지 않은 듯합니다. 미군은 현재 자타가 공인하는, 대등한 라이벌이 없는 세계 최강의 군대입니다. 그럼에도 1950년대 이후 주요 전쟁의 결과가 실패로 귀결된 적이 적지 않아 ‘미군은 왜 전쟁에서 실패하는가’라는 의문이 제기되는 것입니다.


아프가니스탄 철수작전을 위해 긴급투입된 미 82공수사단 요원들이 C-17 수송기에 탑승해 있다. /미 국방부



미국내 여러 전문가들이 이 의문에 대한 책을 썼는데요, 도널드 스토커 미 해군대학 교수도 그중 한사람입니다. 스토커 교수는 2019년 펴낸 ‘미국은 왜 전쟁에서 패배하는가:6·25전쟁에서 현재까지 제한전과 미국의 전략’을 통해 신랄하게 비판을 했는데요.

◇ 미 정치지도자와 군 수뇌부, 전쟁 목표 인식 결여

그에 따르면 미국은 6·25전쟁 이후 쉴새 없이 전쟁을 치렀지만 제대로 이긴 전쟁은 1991년 걸프전 뿐이라고 합니다. 걸프전의 경우 쿠웨이트를 침공한 이라크군을 몰아낸다는 분명한 정치적 목표가 있었고, 100시간만에 목표를 달성하자 정전을 선언했지요. 반면 아프간전이나 이라크전에선 개전 당시의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 실패했다는 것입니다. 테러리즘을 걷어내고 민주주의를 건설한다는 거창한 목표를 내세웠지만 사실상 실패했다는 것이지요. 이는 베트남전의 재현이기도 합니다.

여기엔 전쟁 일반과 제한전에 대한 정치 지도자들과 군 지휘부의 잘못된 인식이 이런 결과를 초래했다고 스토커 교수는 주장합니다. 미 정치 지도자들은 미국의 권능을 보여주기 위해 전쟁에 뛰어드는 것을 주저하지 않았지만, 정작 목표 달성을 위해 요구되는 적절한 규모의 병력을 파견하는 데는 늘 망설였다는 것이죠. 그 현실적인 타협이 ‘제한전’이었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미군을 수렁에 빠지게 했다는 것입니다.



미 정치 지도자들은 물론 미군 수뇌부도 전쟁을 수행하는 ‘목표’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결여돼 목표를 달성할 ‘전략적 사유’도 부족했다고 그는 지적합니다. 정치적 목표가 불확실하면 어떤 일관된 전략도 수립할 수 없고, 어떤 군대도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 스스로 지킬 힘과 의지 없는 나라와 국민의 비참한 말로

하란 울만도 ‘패배의 해부:미국은 왜 자신이 시작한 모든 전쟁에서 패배하는가?”(2017년)에서 비슷한 주장을 했다고 하는데요, 최영진 중앙대 교수는 ‘전쟁이라는 세계’ 저서에서 “정치 지도자나 관료들이 지금껏 건전한 전략적 사유를 하지 못했고, 파병을 결정하기 전에 현지 상황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나 이해가 없었기 때문에 늘 패배한다고 본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미국의 아프간전 실패와 미 전문가들의 이런 지적은 우리 한반도 안보상황에도 시사하는 바가 많습니다. 많은 분들이 “스스로 지킬 의지와 힘이 없는 나라와 군대의 말로가 어떤 것인가를 여실히 보여준 것” “남의 일이 아니며 우리나라도 한미동맹이 깨지거나 약화될 경우 어떻게 될 것인가를 보여준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재향군인회와 성우회에선 이런 취지의 성명을 내기도 했습니다. 맞는 말씀들이고 공감합니다. 하지만 이번 사태가 우리 안보에 주는 교훈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고 봅니다.



◇ “대규모 미 전시 증원계획은 페이퍼상 계획에 불과”

그중의 하나가 한반도 유사시 대규모 미 증원계획인데요, 전문용어로 시차별부대전개제원(TPFDD)이라 불리는 것입니다. 현재 TPFDD는 전면전시 전쟁 발발 3개월 이내에 병력 69만명, 5개 항공모함 전단, 전투기 1600여대 등이 단계적으로 한반도에 전개하도록 돼있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페이퍼상의 수치’라는 평가가 많은데요, 실제로 이라크전 당시 미군 병력이 가장 많았을 때도 20만명을 넘지 않았습니다.

더구나 이라크전, 아프간전 이후 미국은 많은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대규모 지상전 개입은 극도로 회피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바이든 미 대통령도 지난 2020년 ‘포린 어페어스’ 기고를 통해 대규모 지상군 개입은 바람직하지 않고 개입할 경우 특수부대 위주로 해야 한다는 취지의 기고를 한 적이 있습니다.



◇ 미 해공군 위주 증원 등 현실적인 작전계획 필요

결국 한반도 전면전시 지상전은 우리가 주도적으로 해야 할 가능성이 매우 크고 이번 아프간전 미군 철수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는 “차제에 현실적인 작전계획을 마련하고 여기에 맞춰 한미 연합 지휘구조도 재편돼야 할 것”이라며 “단순히 ‘자주’의 개념으로 전작권 전환을 추진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미국이 아프간과 중동에서 발을 빼고 중국 견제에 주력하면서 여기에 우리의 동참을 더 강하게 요구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데 이에 대한 우리의 입장과 정책도 명확하게 정리해야 할 것입니다.

◇ 미 해공군 위주 증원 등 현실적인 작전계획 필요

결국 한반도 전면전시 지상전은 우리가 주도적으로 해야 할 가능성이 매우 크고 이번 아프간전 미군 철수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는 “차제에 현실적인 작전계획을 마련하고 여기에 맞춰 한미 연합 지휘구조도 재편돼야 할 것”이라며 “단순히 ‘자주’의 개념으로 전작권 전환을 추진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미국이 아프간과 중동에서 발을 빼고 중국 견제에 주력하면서 여기에 우리의 동참을 더 강하게 요구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데 이에 대한 우리의 입장과 정책도 명확하게 정리해야 할 것입니다.



유용원의 밀리터리 시크릿 구독




4억 명이 방문한 대한민국 최대의 군사안보 커뮤니티

< 유용원의 군사세계 >

https://bemil.chosun.com/


추천 비추천

6

고정닉 0

44

댓글 영역

전체 댓글 7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1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본업은 완벽해 보이지만 일상은 허당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7 - -
이슈 [디시人터뷰] 모델에서 배우로, 떠오르는 스타 이수현 운영자 25/02/21 - -
1202 軍, 북한 장사정포 박살낼 KTSSM ‘우레’ 실전 배치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0 38 0
1201 서북도서부대 해상사격훈련 실시…전투준비태세 유지 차원, 정기적 사격 훈련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0 29 0
1200 공군참모총장, KF-21 시험비행 첫 탑승… 우수성·안정성 인정 [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0 280 1
1199 국방부, 6·25 전사자 유해발굴 연간업무 추진회의 개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0 31 0
1198 공군참모총장, 예천기지 대비태세 점검 현장지도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0 36 0
1197 정부·기업 공동 ‘통합한국관’ IDEX 운영, 방산수출 원팀 마케팅 추진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0 24 0
1196 한미 연합우주작전 협력 다짐…공군작전사령관·美 우주작전사령관 첫 양자대담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414 3
1195 한화 방산사, ‘L-SAM’ 중동시장 첫 공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61 0
1194 “K9 자주포 이집트 달린다!”…한화에어로, 이집트 K9 사업 본격화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57 0
1193 北 탱크부대 정밀타격할 ‘특수작전용 공격 드론’ 올해 도입한다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41 0
1192 해병대 특수수색대대, 2025년 동계 설한지 훈련 실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51 0
1191 해군 특전요원(UDT/SEAL) 혹한기 훈련…해안침투, 고속기동 항해훈련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20 0
1190 해군, 헬기 이·착함 자격 연합·합동 해상훈련 실시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93 0
1189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합참 지휘통제실 찾아 군사대비태세 점검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89 0
1188 2025년 예비군 훈련 시작… 예비전력 정예화를 위한 도약의 해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13 0
1187 합참의장, 태국 총사령관 접견…아세안 핵심국가 태국과 군사협력 강화 논의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83 0
1186 방위사업청, 견고한 “한-폴 방산협력”, 이상 무!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86 0
1185 합참의장, 서부전선 대비태세 현장점검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78 0
1184 해군 기동함대사령부 창설식… 필승해군 4.0을 선도하는 기동부대 창설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97 0
1183 공군, 2024년 공군을 빛낸 인물·단체 시상식 개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03 0
1182 해군·해병대, 2025 코브라골드 연합훈련 참가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89 0
1181 해군 기동함대사령부 창설 계기 정조대왕함 항해 및 훈련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70 0
1180 국방부장관 직무대행, 설 명절 맞아 9사단 경계부대 장병 격려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269 0
1179 국방부장관 직무대행, 에스토니아 국방장관 접견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252 0
1178 김명수 합참의장, 아파치 지휘비행으로 서부전선 군사대비태세 점검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254 0
1177 방사청장, 위성통신 및 데이터서비스 전문 노르웨이 기업 'KSAT' 방문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229 0
1176 국방부장관 직무대행, 조셉 윤 주한미국대사대리 접견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218 0
1175 올해 첫 韓美 공군 쌍매훈련 항공촬영 사진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771 2
1174 韓美 특수부대 시가전, 육상침투 등… 한미 해군 연합 특수전훈련 실시 [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815 5
1173 공군, 올해 첫 공지합동 통합화력훈련 실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186 0
1172 국방부장관 직무대행, 혹한기 공지합동 통합화력운용 실사격 훈련현장 방문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174 0
1171 Z세대 병사들의 새해 군 생활 목표 해시태그 1위는? [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2268 6
1170 숨 거두는 그날까지 기다렸건만…고 박용수 일병, 안타까움 속 가족 품으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1965 8
1169 방사청장, 사우디 국방부처와 양국 정부·업체 참여 방산협력체계 출범 합의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219 1
1168 ‘차기 호위함의 최종판’ 울산급 Batch-IV 사업 본격 착수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6238 12
1167 해병대 특수수색대대, 합동 대테러 저격사격훈련 실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627 1
1166 포병부대 사격 능력 대폭 향상…방사청, ‘자동측지장비’ 성능 개선 [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1 2679 1
1165 北 장사정포 막는 수도권의 방패, ‘한국형 아이언돔’ 개발 본격화 [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1 2644 4
1164 韓美공군, 올해 첫 쌍매훈련 시작… 美 A-10 퇴역 앞두고 마지막 참가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1 438 0
1163 K2·K9 등 K-무기체계 UAE 간다… 한-UAE 양국 연합훈련 시행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0 487 2
1162 합참의장, "NLL은 70년 넘게 목숨 바쳐 사수한 불변의 해상경계선"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0 6540 8
1161 해군 심해잠수사, 동·서·남해 일제히 혹한기 내한훈련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0 596 1
1160 방사청, 잠수함의 안전한 입출항을 책임질 ‘잠수함용예인정-Ⅱ’ 구매사업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0 360 0
1159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성능개량 사업 착수…국산 전투체계로 탈바꿈 [1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0 6134 4
1158 ‘L-SAM’ 장거리지대공유도무기 양산 착수…한국형 다층 방공망 구축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0 349 0
1157 록히드마틴 시코르스키·샤프테크닉스케이, 국내 첫 ‘S-92 헬기 지원센터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739 0
1156 해병대 국산 상륙공격헬기 초도비행 성공…2026년 하반기 개발 완료 목표 [1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2639 3
1155 방사청, ‘L-SAM-II’ 고고도요격유도탄 체계개발 착수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374 0
1154 軍 ‘개선형구급차’ 개발 성공…첨단기술로 장병 생명 지킨다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2081 1
1153 K계열 장갑차, 통합계기판·전후방 카메라 설치…더 쉽고 안전하게 조종한다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540 0
뉴스 ‘나의 완벽한 비서’ 이준혁, 대만 프로모션 현지 언론 뜨거운 취재 열기 디시트렌드 02.2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