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바둑의 정의] : 두 대국자 (p, q)가 순차로 [수행규칙]을 적용하여 밭을 추구하는 것이다.
11. [준거규정] : (p)와 (q)가 순차로 [수행규칙]을 적용하여, \'밭\'을 추구한다.
12. [한계규정] : (p)와 (q)에게 확장 가능한 \'밭\'이 없으면, 바둑이 끝난다.
2. [바둑의 구성요소] : { (p, q), 돌, 판 }이다.
--- ( 굵은 글씨 (p)는 구조, 일반 글씨 (p)는 기능을 이름한 것이다. )
21. (p, q) : 오직 두 종류의 양립불가능(|)한 구분이다.
211. (p,q)이음( 돌, 판) :
ex) 가능성으로만 존재한다.
22. 돌 : 표시기호이다.
221. 돌이음( (p|q), 판) :
ex) 자리(p) = { 자리 * (p) }
23. 판 : 충분히 유한한 직교좌표 평면이다.
ex) 19 x 19, 13 x 13, 5 x 5, ....
231. 판이음( (p|q), 돌 ) :
ex) 돌(p) = { 돌 * (p) }
232. 판의 단위 : { 밭 }이다.
2321. [밭의 구성요소] : { 자리, 둑, 밭 }이다.
23211. 자리 : 서로 이웃한 둑과 둑이 교차하는 곳인 점이다.
23212. 둑 : 서로 이웃한 밭과 밭이 마주하는 경계인 선이다.
23213. 밭 : 서로 이웃한 자리와 둑으로 둘러싸인 면이다.
☞ 포함관계 ; 돌(p) ⊂ 자리(p) ⊂ 둑(p) ⊂ 밭(p)
3. [바둑의 이음] : { 형식1 * 형식2 }을 결합하여 하나로 기능하는 것이다.
31. 판 밖에서 이음 :
311. 가능성의 받음과 버림( 자리, 형식 )
3111. 자리에로 받음 : 어떤 형식이 판 안으로 진입하는 것이다.
ex) 자리(p) = { 자리 * (p) }
한울(p) = { { 자리 * (p) } * 한울 }
3112. 자리에서 버림 : 어떤 형식이 판에서 퇴거하는 것이다.
ex) 자리(p)에서 자리와 (p)의 분리이다.
312. 수행성의 놓음과 낳음( 자리(p), 돌(p|q) )
3121. 자리에로 놓음 : 어떤 형식을 판 안으로 수용하는 것이다.
ex) 돌(p) = { 자리(p) * 돌(p) }
3122. 자리에서 낳음 : 어떤 형식을 판에서 분리하는 것이다.
ex) 돌(p)에서 돌(p)과 자리(p)의 분리이다.
/ | 가능성 | 수행성 |
판으로 진입 | 받 음 | 놓 음 |
판에서 퇴거 | 버 림 | 낳 음 |
32. 판 안에서 이음 :
321. 자리이음( 둑n, 형식 )
ex) 자리(p) = { 자리(p) * 둑n }
돌(p) = { 돌(p) * 둑n }
322. 둑이음( 둑n, 형식1, 형식2 ) ( 단, 형식1 == 형식2 )
ex) 둑(p) = { 자리(p)m * 둑i * 자리(p)n }
돌둑(p) = { 돌(p)m * 둑j * 돌(p)n }
3221. 이웃(이음)관계( 둑n, 형식1, 형식2 ) ( 단, 형식1 !== 형식2 )
ex) 이음(이웃)자리(p) = { 돌둑(p) * 둑n * 자리(r) }
이웃(이음)돌둑(q) = { 자리(p) * 둑n * 돌둑(q) }
323. 밭이음( 밭n, 형식1, 형식2 )
ex) 빈울, 한울, 두울,연속/단속이음,...
4. 이음의 형식(돌둑과 섬) :
41. 돌둑 :
411. 둑(p) = { 자리(p) or 둑이음인 자리(p)n }
412. 돌둑(p) = { 돌(p) or 둑이음인 돌(p)n }
413. 올둑(p) = { 둑(p)m과 돌둑(p)n이 이웃하는 조합 }
42. 섬 :
421. 섬(q)n = { 올둑(q)n에 포함되는 자리가 없음.} or { 돌둑(q)n에 이웃하는 자리가 없음.}
422. 마주섬(q)n = { 돌둑(p)에 대해서, 돌둑(q)n의 모든 돌(q)이 돌둑(p)과 이웃하고 섬일 때.}
4221. 맞 섬 = { 돌둑(p)과 돌둑(q)의 모든 돌(p/q)n이 서로 1:1(대응)로 이웃(이음)관계일 때. }
4222. 서로섬 = { 돌둑(p&q)이 서로 맞섬이고 섬일 때.}
423. 안에섬(q)n = { 돌둑(q)n이 돌둑(p)에 포함이고 섬일 때.}
ex) 돌둑(p)의 안에섬(q) = { 돌둑(p)에 의해서 섬인 돌둑(q).}
☞ 포함관계 ; 섬(p) ⊃ 맞섬(p) ⊃ 안에섬(p)
5. 여울의 구조 : < 안섬, 둘러섬 >인 규칙의 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이다.
51. 맺음자리와 여울자리 :
511. 맺음자리 = { 어떤 형태를 돌둑으로 구체화(결정)할 수 있는 자리.}
ex) 안섬의 맺음자리(p) = { 안섬쌍(p)이 오직 하나의 자리(p)만을 포함할 때.}
512. 여울자리(p) = { 빈울자리(p) or 한울자리(p) or 두울자리(p).}
52. [여울의 구성요소] : { 안섬, 둘러섬 }이다.
521. 안 섬 = { 둘러섬에 의해서 결정되는 구조.}
ex) 안섬(p) = { 돌둑(q)n에 의해서 결정되는 올둑(p).}
522. 둘러섬 = { 어떤 형태를 결정하는 결정된 구조.}
ex) 둘러섬(q)n = { 안섬(p)를 결정하는 돌둑(p)n.}
6. [여울의 종류] : { 빈울, 한울, 두울 }이다.
61. 빈울< 안섬 빈둑(p), 둘러섬 돌둑(p)n > :
ex) 빈둑(p) = { 둑(p)의 모든 자리(p)가 {자리(p) 혹은 돌둑(p)n}에 이웃할 때.}
611. 여울(빈울(p)) = { 빈둑(p)이 숨자리(p)를 포함할 때 발생한다.}
ex) 숨자리(p) = { 둑(p)이 오직 하나의 자리(p)만 포함.}
612. 빈울자리(p) = { 빈둑(p)의 숨자리인 맺음자리(p). }
62. 한울< 안섬 올둑(p), 둘러섬 돌둑(q)n > :
ex) 안섬올둑(p) = { 섬(인)이 가능한 올둑(p)n의 구조.}
621. 여울(한울(p)) = { 올둑(p)이 섬자리(p)를 포함할 때 발생한다.}
ex) 섬자리(p) = { 올둑(p)에 포함된 자리(p)가 오직 하나일 때. }
622. 한울자리(p) = { 올둑(p)의 섬자리인 맺음자리(p). }
63. 두울< 안섬 쌍(p&q), 둘러섬 쌍(q&p) > :
ex) 안섬쌍(p)n = { 두울(순환)조건을 만족하는 안섬올둑(p)n.}
631. 여울(두울(p)) = { 두울이음이 첫번째 or 두번째 완료일 때 발생한다.}
632. 두울자리(p) = { 여울 안에서, 안섬쌍(p)n의 맺음자리(p).}
or { 여울 밖에서, 서로 맞섬인 안섬쌍(p)n의 맺음자리(p). }
633. 두울(순환)조건 :
6330. { 안섬쌍을 모두 돌둑으로 가정하면, 서로 섬이다. }
6331. { 안으로, 안섬쌍(p)이 여울구조를 포함하지 않는다. }
6332. { 밖으로, 안섬쌍 {마주섬(q)n or 안에섬(q)n}의 합이 하나 이하이다. }
634. 두울이음(p) : 두울조건과 아래의 (1 or 2 )를 만족하는 자리(p)에 돌(p)을 받아 놓음이다.
1. <U>올둑(p)이 여울구조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연속이음),</U>
1) { 밖으로, 이웃한 돌둑(q)n의 모든 이음자리가 올둑(p)에 포함인 돌둑(q)n이 있을 때.}
2) 이미 { 두울이음인 안섬쌍(p)n의 자리(p). }
2. <U>올둑(p)이 여울구조를 포함할 경우(단속이음),</U>
가정 q. | 자리(x)에 대해서 (p)의 올둑(x)에 포함 or 이웃이고, 자리(x)를 포함하지 않는 (q)의 어느 한 올둑(q)을 안섬쌍(Q)으로 가정한다. |
가정 p. | 가정한 안섬쌍(Q)에 이웃하고, 자리(x)를 포함하는 (p)의 올둑(P)을 안섬쌍(P)으로 가정한다. |
만족조건. | 올둑(P/Q)는 여울구조를 포함하지 않는다. |
1) { 우선, 안섬쌍(P)을 돌둑(P)으로 가정하면, 오직 하나의 안섬쌍(Q)이 두울조건을 만족한다. }
& { 이어서, 안섬쌍(Q)을 돌둑(Q)으로 가정하면, 안섬쌍(P)이 두울조건을 만족한다. }
2) 이미 { 두울이음인 안섬쌍(p)n의 자리(p). }
6341. 연속인 완료 : { 두울(연속)이음이고, 그 안섬 쌍(p&q)n이 처음으로 돌둑(p)-맺음-일 때, }
63411. 두울이음이 연속이고 첫번째 완료되면, 그 발생부터 <U>첫뻔째</U> 맺음까지를 두울로 한다.
6342. 단속인 완료 : { 두울(단속)이음이고, 그 안섬쌍(p)n이 두번째로 낳음-맺음-일 때, }
63421. 두울이음이 두번째 완료되면, 그 발생부터 <U>두번째</U> 맺음까지를 두울로 한다.
7. [수행규칙] :
70. [ 읽 기 0. ] : 여울을 열어 짓는다.
700. [ 열기-00 ] : 그 둘러섬(q)n이 모두 없으면, 여울자리(p)를 버릴 수 있다.
701. [ 충분-01 ] : { 그 두울에서 안섬쌍이 서로 다르면, 여울자리(p)를 버릴 수 있다. }
702. [ 짓기-02 ] : 그 둘러섬이 모두 여울에 포함이면, 여울자리(p)를 받을 수 없다.
71. [ 지우기 1. ] : 섬인 돌둑(p)n의 돌(p)n을 모두 낳아 버린다.
711. [따 름] : 여울자리(p)를 버릴 수 있으면, 자리에서 버린다.
72. [ 쓰 기 2. ] : 오로지 하나의 돌(p)을 자리(p)에 받아 놓는다.
8. [충분규칙]의 적용...
81. 두울이음을 두번째 완료하면; [충분규칙]을 적용하지 않는다.
82. 두울이음을 벗어나면; [충분규칙]을 적용한다.
♤... 완결까지 지속적인 수정을 할 것입니다.
댓글 영역
바갤러는 갤러리에서 권장하는 비회원 전용
갤닉네임입니다. (삭제 시 닉네임 등록 가능)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